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BL 모델에 기반한 협력학습과 비평적 글쓰기 활용 방안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6

        이 글은 PBL 이론에 기반한 협력학습의 운영방안과 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효능감을 연구한 논문이다. 모둠활동을 이용한 효과적인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적 모델을 고안하고 발표와 토론이 연계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을 타진해본 것이다.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 환경과 시스템을 고려할 때 협력학습은 현실적으로 필수불가결한 방법론이다. 따라서 조 발표라는 모둠활동 자체가 학습동기 활성화를 위한 요건을 갖추도록 하는 동시에 성공적인 글쓰기 학습을 위한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계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2장에서는 E여대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PBL 학습모형을 적용한 모둠활동의 운영방법을 제시한다. PBL 사전단계에서 교수자는 비평활동 과제를 제시하는데, 비평활동은 `상호 대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을 구성해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PBL의 목표와 일치하는 과제이다. 비평의 주제영역 범주를 제시해 모둠을 구성하고 구성원들은 대화와 토론을 거쳐 하위 주제를 선정한다. 주제는 PBL 문제 조건에 맞춰 시각과 방법의 창의성과 참신성, 과제 완결성과 자료 접근성, 대상의 시의성과 흥미성이라는 요건에 부합하도록 한다. PBL 모델을 응용한 모둠활동과 글쓰기 학습은 문제 확인, 정보 탐색, 정보 활용과 조직, 해결책 도출, 학습결과 공유의 5단계로 재구성해볼 수 있다. 3장에서는 협력학습 만족도와 활용도에 관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협력학습의 효과와 글쓰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탐색했다. 학생들은 모둠 발표 주제로부터 문제의 초점을 재규정해 인접주제· 파생주제· 변형주제로 자신의 개인비평문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개인 글쓰기에 모둠활동 결과를 연계시킨다. 무엇보다 학생들에게 협력학습의 경험은 글쓰기 동기를 부여하고, 주제를 선정하는 어려움과 절차적 두려움을 상쇄시키고, 결과물의 질과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글쓰기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동료 피드백이라는 지속적인 협력학습 역시 최종 결과물에 대한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여 교수·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manuscript devised the methodology model of effective education of writing in college us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tried to find the feasibility of writing class related with the announcement and discussion. For that, it suggested the plan of operating PBL (Problem-Based Learning) theory-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it recomposed the process of group activity and writing with 5 steps by applying PBL model. The instructor composed the group by suggesting the subject area after offering the task `activity of criticism` in the preliminary PBL phase. The members of group activity select the subordinate theme after carrying out the dialog and discussion. The theme should be qualified to the requirements called visual freshness in respect of method, timeliness, completeness of task, accessibility to data, interest of the object and concreteness. Group activity is finalized after passing the phases of problem-solving, information searching, information structure, solving and results sharing. A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usabil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by the students were hi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not only did offset the difficulty to select the theme and fear of process but also contributed to raise the quality and level of output. Especially, the students took the dialog, discussion in group activity and negotiation process itself as the pleasant experience. As the result, group activity motivated the student for writing and was helpful for raising the efficacy of individual criticism writing.

      • KCI등재

        순차분석을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이동 분석

        임정연(Jung-Yeon Lim),이영민(You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순차분석방법(Sequential analysis)을 적용하여 한국 베이비붐 세대 근로자의 최근 15년 동안의 직업이동 패턴과 유형의 특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탐색은 한국 근로자의 후기 경력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직 지원 전략을 탐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직업이동 유형과 빈도분석, 직업별 변환확률분석, 유의도검사 등을 활용하여 근로자 직업이동 간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노동패널의 15년차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 근로자는 전문가 및 준전문가의 비중에 비해 단순 기술?기능 조립직의 종사자와 농업임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의 비중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베이비붐 여성근로자의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기능 종사자 및 단순노무 근로비중이 상당히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 후 귀농을 선택하거나, 단순노무직과 같은 낮은 일자리로의 직업이동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전직 및 퇴직지원 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job mobility types and patterns of baby boomers over the past 15 years. Sequent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at were derived from Wave 1~15(1998~2013)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job mobility types and frequency, conversion analysis, probability, and significance r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roportional rates of male baby boomer workers such as technical, functional, and agriculture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fessionals and semi-professionals, whereas in case of female baby boomer workers, proportional rate of office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It was showed that functional and labor worker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We found that after retiring, they left their job to search for farming job or choose to work in secondary labor markets. We suggested that the retirement support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conducted in a good manner.

      • KCI등재

        이병주 문학의 낭만성과 낭만적 아이러니 - 『운명의 덫』을 중심으로 -

        임정연(Lim, Jung-You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이 연구는 이병주의 운명론과 인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소설 『운명의 덫』에 나타난 낭만주의 세계관 및 지향성을 발견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운명의 덫』은 추리서사의 문법에 바탕해 억울한 누명을 쓴 남상두가 탐정의 역할을 수행하며 진범을 찾는 과정을 다루고 있는데, 일체의 장애나 갈등 없이 남상두의 천재적 비범함과 내성성에 의존해 문제가 해결된다는 점에서 의지와 열정으로 비극적 운명을 극복하는 낭만주의 영웅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상두가 지닌 옴므파탈적인 매력과 여성들과의 로맨스는 이 소설이 현실의 제약을 넘어서는 이상화되고 통합된 로망스적 세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최종적으로 이 소설은 범인 찾기가 아니라 남상두 개인의 수양과 재생, 나아가 새로운 인간으로의 질적 비약과 진화를 목적지로 삼아 세계와 분리되었다 합일되는 낭만주의적 서사구조를 재현함으로써 인간 존재와 인간다움을 향한 신뢰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작가는 남상두의 문제해결과정에 우연과 필연이 어떻게 관여하는가를 통해 운명의 필요충분조건을 탐색하고자 했다. 서사의 전환점이나 사건 해결의 결정적 계기마다 남상두의 재력과 조력자들, 우연한 만남이라는 행운이 돌파구로 작용하고 있는데, 이 변이요소들로 인해 우연이 필연이 되는 과정에서 낭만적 비약과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이는 운명이란 의지와 능력, 행운과 조력이 선의와 협력하고 우연과 필연이 내적 정합성에 의해 유기체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작가의 운명론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운명의 덫』은 자신의 운명에 무한한 책임을 지고 비약하는 인간의 진화론적 열망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통해 운명론과 인본주의의 양가적 가치를 통합하면서 세계의 궁극적 합목적성에 대한 낭만주의적 비전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romantic worldview and orientation in the novel The Trap of Destiny in light of the fatalism and humanism of Lee Byung-ju. The novel concerns Nam Sang-doo, a victim and problem solver falsely accused based on the grammar of the mystery genre, who is characterized by his complete intuition and reasoning skills in the absence of obstacles or external conflicts. Nam Sang-doo is presented as a model romantic hero who overcomes his tragic fate through will and extraordinariness, while reproducing a romantic narrative structure of separation from and unification with the world. This confirms that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novel is not to find the culprit but to regenerate Nam Sang-doo. In addition, the novel presents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fate in addition to human will. At every turning point in the narrative or decisive stage of solving the case, Nam Sang-doo"s fortune, helpers, and chance encounters afford him breakthroughs, showing that romantic leaps and ironies can arise from coincidence, which reflects the writer’s fatalist view that fate is the result of coincidence and necessity acting organically through internal unity. Destiny"s Trap presents a romantic vision of the ultimate unity of the world, incorporating the ambivalent values of fatalism and humanism through trust and support for the evolutionary aspirations of humans who, accepting infinite responsibility, leap forward to their fate.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바리스타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임정연 ( Jeongyeun Lim ),유기웅 ( Kiung R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 바리스타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카페에서 근로하는 성인발달장애인 바리스타 431명의 응답 결과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 바리스타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시민행동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 바리스타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시민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나타냈으며,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부(-)적인 간접효과도 입증되었다. 셋째, 성인 발달장애인 바리스타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정(+)적 효과를 미쳤고 이 영향력은 각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job stres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of adult baristas that h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431 surveys were used in the analysis. First, the emotional labor of the adult barista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direct positive effect to turnover intention, and with the mediation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direct positive effect was shown to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showed negative direct effec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was proven that the emotional labor mediating job stress had negative indirect effec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the emotional labor of the adult barista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direct positive effect to job stress and had the most influence among each variable’s indirect and direct effect.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마프 기술 개요

        임정연(Jeongyeon Lim),김문철(Munchurl Kim),김용한(Yong Han Kim),김휘용(Hui Yong Kim),추현곤(Hyon-Gon Choo),진성호(Sung Ho Jin),김진한(Sung Ho Jin),노용만(Yong Man Ro),남제호(Jeho Na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6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6 No.-

        MPEG 표준화 그룹에서는 응용 서비스 중심의 목적 지향형 표준 규격 제정을 목표로 멀티미디어 응용 표준화(MPEG-Applications: ISO/IEC 23000, MPEG-A)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응용 표준화는 기존의 규격들 중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이미 존재하는 필요한 표준 규격만을 조합하여 하나의 표준으로 규격화하므로 산업계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6년 10월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제 78차 MPEG 회의에서 제안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AF) 기술을 소개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마프 기술은 기존의 DMB AV 콘텐츠 및 그것의 부가 데이터 그리고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소비를 돕도록 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 메타데이터 및 콘텐츠 보호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구성 하는 파일 포맷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일방적인 DMB 방송 서비스 형태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소비 형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DMB 방송 서비스 등 일회성 사용에서 벗어나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직장여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임정연(Lim, Jung-yeon),윤지영(Yoon, J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아시아여성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직장여성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여성인적자원개발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2017년 까지 “여성”, “직장” 조합어를 제목에 사용한 연구물 647편의 키워드(node) 1,900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장여성 관련 연구는 취업모, 맞벌이여성, 경력단절여성, 고학력여성, 장애여성, 결혼이주여성 등 결혼여부, 학력, 나이, 인종, 경력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집단대상 연구가 이루지고 있었으며, 심리․정신건강에서부터 결혼, 출산, 가족, 일, 젠더 이슈 등 통합적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둘째, 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일-가정 갈등”의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직장여성이 경험하는 가장 중요한 이슈는 직장과 가정에서의 갈등문제임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결과, 총 5개의 연구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여성심리와 정서, 양성평등가족정책, 출산과 다중역할, 결혼과 삶, 여성인력과 경력개발 관련 연구가 세부 연구주제를 이루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여성의 하위 대상별 핵심 이슈를 분석한 결과, 대상별 관심 연구주제가 차별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여성인력활용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향과 정책연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on working women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research on working women in the future. A total of 647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00 to 2017 were selected, with 1,900 key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various groups of research topics based on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age, race, and career. And the research papers dealt with a range of integrated issues such as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marriage, childbirth, family, work, and gender issues. Second, the most important issue experienced by working women was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Third, five research themes were derived from community analysis. The main concerns were research on women’s psychology, emotions, gender equality, family policy, childbirth and multiple roles, marriage and life, female workforce, and career development. Finally, the research subjects of interest were differentiated by sub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link women’s research with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문학의 장소 경험과 지형학적 감수성

        임정연(Lim, Jung-You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본고는 현대소설에 나타난 인도의 재현방식과 서사적 의미를 통해 1990년 이후 한국문학의 새로운 장소 경험과 지형학적 감수성을 탐색한다. 90년대 이후 인도는 추상공간(space)에서 실존적 ‘장소’(place)로, 상상에서 ‘체험’으로, 표상에서 ‘재현’이라는 맥락에 재배치되어 한국문학의 새로운 배경이자 주제로 서사적 의미를 부여받는다. 강석경과 송기원의 소설에서 인도는 개인의 구원과 구도를 위한 초월적 공간으로 추구된다. 존재의 결핍에서 추동된 인도행은 인도인의 삶을 추상화하고 낭만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상상과 현실 사이의 낙차를 극복하기 위해 보고 싶은 것을 선택하고 보고 싶지 않은 것을 배제하는 가운데 인도의 장소 정체성은 이원적으로 재구성된다. 이 같은 서사화 방식은 인도 내부의 차별과 차이를 강조하는 내부 식민화의 과정을 답습한 것에 불과하다. 궁극적으로 인도는 외부의 현실을 자의적으로 차단하고 주관적 내면에 의해 탈취한 장소로서 실재하는 지명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으로 영원히 도달하지 못한 미답지로 남게 된다. 오수연과 이화경, 하창수의 소설에서 인도는 21세기의 모순이 집약된 장소로, 오리엔탈리즘 이후 나와 타자, 계급과 계급, 동양과 서양의 경계와 존재방식을 사유하게 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들 소설은 현대 인도에 은밀하게 작동하는 계급과 권력의 문제를 통해 실체와 허상을 해부하고 인도의 현실을 지배하는 자본의 힘을 간파해낸다. 그리고 인도가 더 이상 구원의 출발점도 종착지도 아닌, 과거와 현재, 나와 타자, 계급과 계급이 공존하며 삶을 지속해가는 치열한 분투의 현장이란 사실을 상기시킨다. 이곳에서 인물들은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기보다 타자를 향한 시야를 확보하며 ‘관계’ 속에서 존재의 고통을 해소해가는 상호의존성 혹은 외존(外存)의 존재방식을 배우게 된다. 이렇게 동양과 서양의 이원성에 기초한 오리엔탈리즘의 구도가 해체되는 가운데 인도는 포스트 오리엔탈리즘 시대 타자 이해와 관계의 윤리를 모색하는 장소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narrative meanings of India shown in Korean modern novels. For this, India is relocated from abstract space to concrete ‘place’, from imagination to ‘experience’, and from symbol to ‘representation’. In novels by Kang Seok-Kyeong and Song Gi-Won, India appears as a space of salvation and seeking for the truth, as the characters go to India because of disillusionment with life in Korea. Even though the travelers feel shocked and embarrassed at the street views of India, they disregard the realistic problems there, and then romanticize India to realize their fantasy of salvation. In the journey of salvation and seeking for the truth, India is pursued not as a place, but as a symbol. Novels by Oh Soo-Yeon and Lee Hwa-Kyeong penetrate false consciousness and superiority of travelers. In these novels, India is neither the starting point nor the destination of salvation; it is no more than a site of fierce life exclusively coexisting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me and others, and one class with another. Those two authors represent the chaos and contradiction of India not as a derogatory object, but as a locality of India itself.

      • KCI우수등재

        지도 바깥의 여행, 유동하는 장소성

        임정연(Lim, Jung-youn)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본고는 2000년대 해외여행서사의 장소적 속성과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여행이라는 형식에 반영된 유동적 근대의 징후를 읽어내려는 시도에 해당한다. 2000년대 여행서사에서 장소는 로컬 단위로 다양화·세분화되는 데 비해 장소 정체성은 점점 불투명해지고 역사적 의미가 지워진 비장소적 속성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장소의 고유성이 지각되지 않는 여행에서 개별 도시의 상징이나 역사적 경관은 무의미한 전시품이며 타자의 존재 역시 익명성으로 경험된다. ‘여행한다’라는 술어가 과거의 상실과 상처의 회복이라는 목적어와 필연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채 현재적 사실로만 존재하는 이런 여행의 내러티브는 귀환을 내정하지도 세계와 자아 발견을 최종 목적지로 삼지도 않는다. 무엇보다 장소에 대한 시각의 우위나 배타적 소유를 주장하는 여행주체의 욕망이 부재한다는 점에서 이 새로운 여행 이야기는 근대 시각주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상처의 기원 찾기가 잘못된 주소나 지도로 지연·실패하는 지도의 오류 모티프 역시 여행서사의 비장소성과 유동성이라는 탈근대적 속성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지도의 무용함은 무의미한 걷기 행위를 수반하고 이 과정에서 여행 주체는 지도 바깥에 있는(off the map) 장소와 장소의 의미를 재발견한다. 새롭게 발견된 장소의 의미는 상투적으로 고정되거나 완결되기보다 여행자의 감수성과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접속을 통해 형성되었다가 또다시 허물어진다. 근대적 의미의 여행서사가 지도 ‘안’에서 미지의 대상의 좌표를 설정하는 여정이었다면, 21세기 탈근대적 여행서사는 지도 ‘밖’에서 장소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새로운 소통과 공존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modernity projected on the journey through the ‘non-place’ of the 21st century travel narrative. In the 2000s, tourists living in a locality, rather than the National, appropriated the diversified and fragmented places with the rhythm of the residence and the sense of everyday life, while the place identity is becoming increasingly unclear. These places are more like "non-places" that have no uniqueness or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can not be replaced by other names. In a trip where the uniqueness of the place is not perceived, the symbol of the individual city or the historical landscape is a meaningless exhibit, and the existence of the other is also experienced as anonymity. The narrative of this trip only the current fact that "I travel" exists, does not necessarily combine with the object of past loss and recovery of wounds, Nor do they pursue discovery. Above all, there is no travel agent"s desire for visual superiority or exclusive ownership of the place. The origin or trail of a wound is delayed or failed due to errors in the address or map. However, the uselessness of the map unexpectedly leads the tourists to places off the map, and the travel agent finds a place off the map through a temporary walk or walk with a stranger. At this time, the meaning of the place is formed through the temporal and fluid connection with the sensibility of the traveler rather than being fixed or completed in a routine manner. If the travel narrative of modern meaning was a journey to set the coordinates of the unknown object in the map, it could be said that the traveler of the 21st century practiced postmodern thinking of finding a way off the map.

      • KCI등재

        1950년대 새로운 "통속"으로서의 아메리카니즘과 "교양" 메커니즘 -김말봉의 『방초탑』을 중심으로-

        임정연 ( Jung Youn L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김말봉의 『방초탑』은 『여원』에 연재된 장편소설로,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연애서사이다. 이 소설은 아메리카니즘이 새로운 ‘통속’의 내용을 구성하는 동시에 이를 통제하는 여성 "교양"의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던 1950년대의 시대적 맥락에서 산출된 대중소설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는 1950년대 아메리카니즘에 대한 선망과 거부, 모방과 통제의 메커니즘이 양방향에서 작용하고, 작가의 이념적 지향과 욕망이 복합적으로 투사되어 있다.『방초탑』의 플롯은 "연애"와 "여행"의 메타포 안에 로망스 양식이 지니는 모험과 탐색의 구조에 기반하고 있다. "미국"은 낭만적 자유연애의 판타지를 실현시키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등장하고, "데이트"라는 새로운 연애 스타일을 도입해 이국적 풍경과 문화 기호들을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연애의 낭만에 입체성을 부여한다. 공감각적 이미지를 동원해 "자유"라는 추상적 가치를 감각적으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진실된 사랑의 신화라는 대중 판타지와 통속적 로망을 소비하는 것이다. 『방초탑』의 서사를 견인해가는 또 다른 동력은 교양과 계몽에의 욕망으로, 지리적확대의 여정에 대응하는 동심원들의 확산이라는 여로 구조로 구현되고 있다. 엘리트여성 교양주체를 구심점으로 공간적 여로를 따라 오염되고 혼종적인 사이비 유사 교양을 형상화한 여성 인물들이 배치되고, 이들과의 차이와 배제를 통해 교양의 실체에 접근해 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대적인 여성상", 즉 동양적 미덕을 바탕으로 서구적교양과 매너를 내면화하여 민족주의적 고결함을 수호하는 여성상을 전범으로 하는 1950년대 여성교양담론이 소환된다. 이처럼 『방초탑』은 멜로드라마의 문법에 기대어 통속과 교양, 낭만과 도덕이라는 양가적 가치 체계를 ‘연애의 자유’라는 판타지로 봉합함으로써 아메리카니즘을 통속적으로 소비하고 재생산하는 1950년대 대중서사의 새로운 지형을 구축해낸다. The novel Bangchotab by Malbong Kim is a popular novel that was published serially in Yeowon. The novel is a melodrama whose setting is America. While the novel pursues the legend of ‘romantic love’ with relationship and freedom combined, love is controlled by ‘refinement`. Therefore, it satisfies both public interest and morals. By revealing specific place names, exotic scenery and symbols of advanced culture through "date", a new romantic relationship style, the novel stimulates the public`s curiosity. It also searches for the true nature of female cultural discourse in the 1950s and pursues it through female figures. Jeongsil Jang, who is an ideal woman and has Oriental virtues and Western manners and sophistication, never ruins masculinity. Meanwhile, Helen and set-up woman are products of negativity that include a mixture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e and pursuit and imitation of the West. In the end, Namhak and Jeongsil Jang accomplish their love under the Bangchotab, which is the symbol of Americanism. The novel intends to seal the opposite values of romance versus morals and popular versus cultured with the fantasy of "freedom". Therefore, Bangchotab can be considered as a text that embraces new pop and romance of the public in the 1950s.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융합기술 연구동향 분석

        임정연,Lim, Jung-Yeo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8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4 No.1

        본 연구는 국내 융합기술 관련 연구물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과 구조, 현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3년(2005년~2018년)동안 연구명에 '융합기술' 단어를 사용한 학술지 177편의 저자키워드 653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융합기술 연구는 지난 13년 동안 꾸준히 수행되어 왔으며 주로 융합, 디지털, 기술, 예술디자인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검색어 빈도분석 결과, '융합기술', '기술융합', '융합', '디자인', '융합교육', 'STEAM', '융합연구', '4차 산업혁명', '특허분석' 등이 융합기술의 주요 키워드로 사용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결과, 5개의 커뮤니티가 분류되었고, 검색어의 특성을 반영해 '나홀로 IT', '융합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산업', '기술혁신과 연구분석', '융합교육', '기술융합과 특허개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래사회 융합기술교육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2005 to 2018 revised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0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of 653 authors' keyword from 177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onverging Technology has been studied steadily over the past 13 years in Department of Industry Converg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search term frequency analysis show that the 'convergence technology', 'technology convergence', 'convergence',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STEAM', 'convergence research' were used as the main keyword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ird, Commun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ve communities have been classified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rch terms 'only IT', 'Cultural industry utilizing Convergence contents', 'Technology innovation and research analysis' And patent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