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 합성기둥의 내화성능에 대한 해석연구

        임윤희,강성덕,오명호,김명한,김상대,Lim, Yoon Hee,Kang, Seong Deok,Oh, Myoung Ho,Kim, Myeong Han,Kim, Sang Dae 한국강구조학회 2007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9 No.3

        The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i.e., the SC composite column) supports large-gravity loads and simplifies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work in pouring the concrete. The column takes advantage of the in-plant prefabrication of steel, the speed of erection of a steel structure, and the fire resistance of steel.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parametric study using heat transfer analysis and a P-M interaction curve, and compares these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parametric studies. The parametric studies, such as the study of the concrete ratio of an area and the fire protection thickness, provide information on the fire resistance of SC composite columns. 기존 합성기둥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충전 시 거푸집 공사의 절감과 충전상태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철골 콘크리트 합성기둥(이하 SC 합성기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C 합성기둥은 콘크리트가 철골의 웨브를 둘러싸고 있어 화재 발생시 높은 열이 웨브까지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뛰어난 내화성능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 합성기둥에 대해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P-M 상관 곡선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을 평가를 하였고, 이때의 해석변수는 콘크리트 면적비와 내화피복두께로 하였다. 또한 열전달 해석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제 수행된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이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iTECH 합성보의 내화성능에 대한 해석연구

        임윤희,강성덕,오명호,김명한,김상대,Lim, Yoon Hee,Kang, Seong Deok,Oh, Myoung Ho,Kim, Myeong Han,Kim, Sang Dae 한국강구조학회 2006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analytical study of an iTECH composite beam subjected to fire conditions is to determine the beam'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using its load ratio and fire protection as parameters. A composite structural system is expected to have a safer and more economical fire safety design than a mere collection of isolated members.heat transfe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finite element program ANSYS 10.0 using an ISO834 standard fire, following the main guidelines proposed by EC1 Part 2.2 and EC4 Part 1.2. To validate the analytical simulation of the iTECH composite beam,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tests was proposed. 본 연구는 하중비, 피복유무의 주요변수를 고려한 iTECH 합성보의 내화성능을 해석적 연구를 통해서 규명한 것이다. 합성보 구조는 개별적인 구조부재보다 내화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해석적 연구에 의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내화설계를 제시할 수 있다. 열전달 해석은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NSYS 10.0을 이용하여 ISO표준화재에 대해서 수행하였으며, EC1 Part 2.2와 EC4 Part1.2에서 제시된 모멘트 능력식과 강재와 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근거하여 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적으로 수행된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해서 그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산업부산물의 Ca 성분 용출 특성 및 액상탄산화 반응을 이용한 침강성 탄산칼슘 제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임윤희,이주열,신재란,최창식,홍범의,강호종,박병현,Lim, Yun-Hui,Lee, Ju-Yeol,Shin, Jae-Ran,Choi, Chang-Sik,Hong, Bum-Ui,Kang, Ho Jong,Park, Byung Hyu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고정화에 있어 이산화탄소 전환을 위해 MEA를 이용한 습식화학흡수법의 셔틀메카니즘을 도입하였다. 또한 알칼리 무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산업부산물을 습식탄산화법을 이용해 처리하고자 하였다. 즉, 산업부산물의 화학적 처리를 통해 칼슘이온을 용출하였다. 산성물질을 이용한 용출상징수를 ICP로 분석한 결과, 칼슘이온이 최대 17,900 ppm(1.79%)을 확보하였다. 또한 MEA를 이용한 습식 흡수공정을 통해 상온, 상압조건의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94%의 전환률을 얻었다. 슬러지의 액상탄산화를 통해 슬러지 mg 당 0.175 mg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였으며, 최종생성물의 XRD 분석결과 일반적인 탄산칼슘의 결정구조인 calcite 형상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shuttle mechanism of wet chemical absorption using MEA. In addition, industrial by-product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norganic alkali substances were utilized for wet carbonization process. Chemical pretreatment of industrial by-products extracted calcium ions. ICP result of calcium ion was obtained up to 17,900 ppm(17.9%) by acidic substance. And also, In this work, 94% of recovery rate was obtained using wet MEA absorption process from $CO_2$ flow at the ambient condition. Through the liquid carbonation process, a sludge was fixed with rate of 0.175 mg of $CO_2$ per mg of sludge. It was found from XRD results that the structure of final product was composed of a calcite structure which is general structure of $CaCO_3$.

      • KCI등재

        제올라이트 및 알칼리금속을 이용한 실내용 저농도 CO2 흡착제의 성능 평가

        임윤희(Yun-Hui Lim),이주열(Ju-Yeol Lee),차유정(Yu-Joung Cha),박병현(Byung-Hyun Park) 한국유화학회 201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0 No.3

        In this study, CO2 adsorbent was produced for minimizing energy loss due to ventilation within the building. For improved selectivity about low concentration of CO2 in multiple-use facilities, the ball type adsorbent was modified from a commercial zeolite, alumina, alkali metals and activated carbon with mixing LiOH, binder, and H2O. We measured specific surface area, pore characteristic, and crystal structure of the modified adsorbent. Effects of alkalization on the absorptive properties of the adsorbents were investigated. Continuous column tests (2,000 ppm) and batch chamber tests (4m3, 5,000ppm) showed that the modified adsorbent indicated about the selectivity of CO2 more than 9.7% (0.613 mmol/g) compared with ordinary adsorbents and CO2 removal efficiency of 88.8% within l hour,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modified adsorbent was applicable to indoor environments.

      • KCI등재

        금속담지 활성알루미나 촉매의 암모니아 저온연소반응

        임윤희 ( Yun Hui Lim ),이주열 ( Ji Yeol Lee ),박병현 ( Byung Hyun Park ) 한국유화학회 201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0 No.3

        In order to improve the selective oxidation reaction of gaseous ammonia at a low temperature, various types of metal-impregnated activated alumina were prepared, and also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nversion of ammonia were determined. Both types of metal (Cu, Ag) impregnated activated alumina show high conversion rate of ammonia at high temperature (over 300℃). However, at lower temperature (200 ℃), Ag-impregnated catalyst shows the highest conversion rate (93%). In addition, the effects of lattice oxygen of the developed catalyst was studied. Ce-impregnated catalyst showed higher conversion rate than commercial alumina, but also showed lower conversion rate than Ag-impregnated sample. Moreover, 5 vol.% of Ag activation under hydrogen shows the highest conversion rate result. Finally, through high conversion at low temperatu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production of NO and NO2, toxic by-products, were effectively inhibited.

      • KCI등재

        아민 함침 입자상 활성탄의 특성 분석 및 이산화탄소 흡착능 평가연구

        임윤희 ( Yun Hui Lim ),조영민 ( Young Min Jo ),김승호 ( Seung Ho Kim ) 한국유화학회 201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1차 아민(MEA, monoethanolamine)으로 개질한 입자상 활성탄(WSC-470)을 이용하여 실내 저농도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MEA 함침농도(6.1∼42.7 wt.%)와 용매제(distillate water, ethanol, methanol) 종류에 따라 제조된 흡착제의 특성분석(BET, pore property, XPS)과 각 흡착제의 CO2가스에 대한 최대 흡착능, 3000 ppm의 저농도 CO2분위기에서의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MEA 농도가 증가할수록 물리적 특성인 비표면적, 공극률, 미세기공률 등은 감소한 반면, 표면 염기도 향상에 기여하는 질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물성변화로 인해 최대 흡착능은 초기 활성탄(RAC: 3.27 mmol/g) 대비 최대 71%(AC-MM(42.7, 40): 0.937 mmol/g)가 감소한 반면, 저농도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량은 45%(AC-MM(15.3, 40): 0.73 mmol/g)의 향상을 보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capture the low level carbon dioxide from indoor spaces using a granular activated carbon (WSC-470) which was modified with primary monoethanolamine. Adsorption capacity of the prepared adsorbents was evaluated for pure CO2 flow and 3000 ppm as a function of MEA concentration and solvents such as distilled water, ethanol and methanol. The AC based adsorbents then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pore structure by BET and chemical functionalities by XPS. While high concentration of MEA reduced specific surface area, porosity and micro pores, nitrogen content which can enhance the surface basicity was increase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decreased comparing to the initial AC pellets, whilst the potential of selective adsorption amount at low level CO2 was increased at 45% (0.73 mmol/g).

      • KCI등재

        저온플라즈마와 촉매를 이용한 톨루엔 분해 연구

        임윤희(Yun Hui Lim),이주열(Ju-Yeol Lee),신재란(Jae-Ran Shin),최진식(Jin-Sik Choi),박병현(Byung Hyun Park) 한국유화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high conversion efficiency of C7H8 using non-thermal plasma and metal-supported catalyst. Adsorption-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was performed using 4A type (Zeolite) filled in a concentration reactor. Through this test,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reactor has 0.020 g/g of adsorption capacity (at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3,600 ppm of desorption property at 150 oC (with in 20 min). In case of developed catalyst, toluene decomposition rate of Pd-AO (Pd coated catalyst) was better than Pd/Cu-AO and Pd/Ag-AO (Pd/Ag composite metal catalyst). Developed non-thermal plasma system was obtained flame amplification effect using injection process of desorbed tolune, and 98% of removal efficiency.

      • KCI등재

        재인(才人) 이용우의 삶에 내재된 춤의 예술적 가치

        임윤희 ( Yunhee Lim ),조남규 ( Namkye Cho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경기도당굿을 기반으로 근대 무속의 정통성과 정체성의 상징과도 같던 재인(才人) 이용우의 삶을 고찰하여 그의 춤이 지니는 예술적 가치를 살피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용우는 11대 전통적인 세습무단으로서 대대로 도대방을 지낸 재인청 집안의 후예이다. 어려서부터 오랜 학습과 몸소 체득한 기예의 연마를 통해 스스로 화랭이임을 자부하며 전통세습무가의 삶을 포기하지 않고 재인으로서의 삶을 이어간 20세기 전반 당대 최고의 화랭이로 대표된다. 또한, 경기도당굿을 무형문화제 반열에 올린 근대 무속의 산증인으로 그에 대한 연구 가치는 높이 평가된다. 하지만 문화재 지정을 앞두고 1987년 이용우의 갑작스런 타계와 1990년 전후 화랭이의 예술적 기량은 혈연세습으로 전승되지 못하고 급격한 무단의 쇠퇴와 함께 전승과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재인(才人) 이용우의 삶과 그의 춤이 지닌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고 소멸위기에 처한 이용우의 춤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세습무단의 정통성과 가계의 중요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경기도당굿에서 화랭이의 예술적 기능과 춤의 특징이 돋보이는 진쇠춤과 터벌림춤을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이용우의 춤 영상과 자료 분석에 집중했다. 재인(才人) 이용우의 삶에 내재된 춤의 예술적 가치는 첫째, 이용우는 경기도당굿이 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되는데 이바지했다. 둘째, 이용우의 춤은 세습무계로 전승된 전통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이용우의 춤은 무속을 기반으로 한 예인(藝人)의 춤이다. 넷째, 이용우는 만능 종합 예술인이다. 다섯째, 이용우는 전통춤의 창작과 개발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 수많은 무형문화재는 재인들에 의해 지켜온 예술적 자산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삶이 곧 예술이었던 재인들의 삶을 재조명하며 전통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연구들로 시대적 흐름에 맞는 창조적 계승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paved the way to consider the artistic value of artist(the talented person) Lee Yong-woo's Life and dance who was the symbol of the legitimacy and identity of modern shamanism on the basis of shamanism of Gyeonggi-do Danggut. Lee Yong-woo is a descendant of Jaeincheong family, who served as the 11th dodaeba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rough long learning and honing the skills acquired from childhood, he prides himself on being a Hwa-raeng-i, does not give up on the life of a hereditary shaman family and continues his life as a artist(the talented person), and is represented as the best Hwa-raeng-i of his tim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as a living witness of modern shamanism that raised Gyeonggi-do Danggut to the ranks of the intangible cultural festival, the research value of it is highly appreciated. However, Lee Yong-woo's sudden death in 1989, four months before the designation as a cultural property, and Hwa-raeng-i's artistic skills around 1990, were not handed down due to blood ties and due to the rapid decline of shamanic groups,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are also experiencing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artistic value through the life and dance of artist(the talented person) Lee Yong-woo, and to rais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dance of Lee Yong-woo, who is in danger of extinction.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t objectively proved the traditional of the hereditary shamanism troupe and the importance of family lineage, and focused on analyzing the video and data of Lee Yong-woo's dance by selecting the JinsoeChum (Jinsoe dance) and TeobeoilimChum (Teobeoilim dance) which hav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representative Hwa-raeng-i dances. The artistic value seen through the life and dance of artist(the talented person) Lee Yong-woo is First, he contributed to the designation of Gyeonggi Danggut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98. Second, Lee Yong-woo's dance has a tradition tha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hereditary shaman family. Third, Lee Yong-woo's dance is artist dance based on shamanism. Fourth, Lee Yong-woo is a multi-talented artist. Fifth, Lee Yong-wo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dance. Today, many intangible cultural assets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artistic assets that were preserved by the artists(the talented person). It is required that various efforts for creative succession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with animated discussions and research on the value and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out the re-examining lives of artist(the talented person) whose lives were art.

      • SCOPUSKCI등재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한 글리신 금속염의 특성 연구

        임윤희 ( Yun Hui Lim ),박영구 ( Young Koo Park ),조영민 ( Young Min Jo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3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화학적 흡수공정의 새로운 흡수제로서 글리신 수용액의 화학적 특성과 흡수성능을 고 찰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수에 관여하는 작용기인 아미노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세 종류의 알칼리원소(Na, Li, K)를 선택하여 글리신에 함침시켰다. 제조한 흡수제에 대한 IR 분석결과, 글리신 수용액의 암모늄이온(-NH3 + , 1600 cm -1 , single)형태로 존재하던 작용기가 아미노기(-NH2, 1550∼1650 cm -1 , scissoring)형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 H-NMR과 13 C-NMR 분석결과, 금속 양이온의 치환에 의한 염화현상(salting)으로 기존 글리신에서의 수소와 탄 소원자의 화학적 이동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치환된 금속의 전기 음성도에 따라 리튬염, 나트륨염 그리고 칼륨염 순으로 화학적 이동이 나타났다. 한편 상온에서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비교대상인 1차 아민이 가장 높았으며, 나트륨 글리신염, 리튬 글리신염, 칼륨 글리신염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소공정 배출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을 가정하여 온도상승(40, 60, 80 ℃)에 따른 실험결과, 나트륨 글리신염이 MEA보다 높은 흡수량을 보였다. This work deals with the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glycine aqueous solution in CO2 absorption. Three alkali elements were impregnated into the glycine in order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amino functionalities. The analysis by IR revealed the transformation of ammonium ions to the amino group. In addition, the NMR analysis showed that the substitution of metal cations to the chemical shift of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glycine; in order of lithium glycinate, sodium glycinate and potassium glycinate depending on the electro negativity. Meanwhile, the CO2 absorption at roo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primary amine solution, but at the increasing temperature sodium glycinate could capture more CO2 than that of the pure amine solution.

      • KCI등재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킨 아미노산 염 수용액의 이산화탄소 흡수특성 연구

        임윤희 ( Yun Hui Lim ),조영민 ( Young Min Jo ),박준석 ( Joon Seok Park )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5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산에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키는 것이다. 사용된 아미노산은 글리신이었으며, 알칼리성분 추가에 따라 pH가 11까지 증가하였다. 시험제조한 아미노산 염은 회분식과 연속식 흡수공정에서 이산화탄소의 포집능을 평가하였다. 치환된 금속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Sodium Glycinate (Na-Gly) ≥ Lithium Glycinate (Li-Gly) > Potassium Glycinate (K-Gly) 순으로 나타났다. 흡수반응온도에 따른 CO2 흡수량 시험결과, 20 ℃에서는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킨 아미노산 염이 1차 아민보다 약간 낮은 흡수능을 보였으나, 연속식 흡수반응기에서는 10% CO2 흐름에 대하여 반응기 내부온도가 상승하면서(40 ℃, 60 ℃) 아미노산 염의 흡수량 증가폭이 아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mpregnate alkali metals to amino acid in order to improve CO2 absorption capacity. A used amino acid was glycine, of which pH increased up to about 11 with the addition of alkalies. CO2 absorption capacity of amino acid salts was evaluated in a batch and a continuous process. The absorption capacity appeared in turns as; Sodium Glycinate ≥ Lithium Glycinate > Potassium Glycinate. Amino acid salts showed lower absolute capacity of CO2 absorption than primary amine (Monoethanolamine) at 20 ℃. In a continuous absorption with 10% CO2 flow, the increa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increasing rate of absorption for amino and was higher that of than amino absorb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