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이해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문제점 논의

        임유나(Lim, Yoo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는 2017년 말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이해중심 교육과정(UbD) 관련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의 특징과 시사점을 파악하고, 향후 UbD 관련 연구 수행상 고려되어야 할 문제들을 논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UbD와 백워드 설계 모형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고, 148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하여 주제어 빈도 분석, 연구 수행 특성의 교차 분석, 결론 영역의 내용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UbD 관련 연구들은 UbD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고,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를 전후로 연구 수행이 폭발적 으로 증가하였다. 주제어로서 백워드 설계 가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로 등장하여 백 워드 설계 가 이해중심 교육과정 을 능가하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있었다.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은 백워드 설계에 따른 단원 개발 사례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UbD 이론에 근거하기 보다는 백워드 설계의 단계나 요소만이 적용되는등 다양한 형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초등학교급에서, 교과들 중에서는 사회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UbD 관련 연구들의 결론 영역에서는 UbD의 긍정적 효과와 가능성이 주로 보고되고 있었으나, 적용 효과성 측면이나 교사 전문성 결여와 부담 가중 등에 있어 부정적 한계도 보고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UbD의 근본 원리와 목적을 상실한 백워드 설계 방식의 적용을 경계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연구 수행과 교사교육에 있어서 UbD의 등장 맥락과 이론, 백워드 설계에 대한 분명한 이해와 UbD 전문성에 기반 한 수행의 필요, 국가 교육과정 교육내용 기준을 통한 UbD 구현의 난제 해결 필요 등을 논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features in 148 domestic research studies that are related to “Understanding by Design” (UbD) and to discuss problems regarding UbD research and practice.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UbD-related studies grew significantly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rm “Backward Design,” which is a curriculum design model and a term that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the term Ub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o date, UbD-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case studies regarding unit development using backward design, and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social studies’ classes, among other subjects. The conclusions of most UbD-related studies not only contain many positive effects and possibilities but also negative effects and limitations regarding UbD theory and practice. Therefore, continued research and practice are suggested to achieve the following: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s of UbD theory and backward design; solv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al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rethink the value and attractiveness of instruction via the UbD model.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준 문서 다층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임유나(Lim Yoona),홍후조(Hoojo Ho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multi-layered system in the curriculum decision making and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developme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ways necessary for realization of the school-center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curriculum decision. As a result, the form and content of the MPO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developed by the Educational Office of each region, were composed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 so, they emasculated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it was hard to identify any distinctions among the MPOE Guidelines by several regions. Moreover, in the diversified structure, schools are oversupplied by demands and rules to follow, and they rather have a difficulty in displaying autonom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POE do not make the middle-level curriculum but abolish this, and dualize the curriculum composed of two systems instead: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utside of school that reflects globally and nationally universal validity; and the school curriculum standards inside of school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cities and provinces. The MPOE should play a role of ‘supporting’ schools, so that they could plan and operate fine and excellent educ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그간 논란이 되어 온 교육과정 결정과 문서 개발의 권한을 국가-지역(시.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학교 수준으로 다층화한 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질 높은 구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근거가 되고 있는 교육법과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에 나타난 교육과정 결정 구조를 확인하였고,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와 시.도 지침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시.도교육청에서 매년 개발하고 있는 지침의 형식과 내용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와 동일하거나 대동소이하여 국가교육과정기준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시.도 지침의 지역간 특색도 부족한 가운데 학교 수준에 도달해서는 교육과정적 요구의 과잉 문제를 낳고 결과적으로 단위학교의 자율성.특수성.지역성 발휘를 위축시켜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이 중간 단계 옥상옥(屋上屋)의 교육과정기준을 만들어 학교에 하달하는 것을 개선하여, 세계적.국가적인 보편성과 공통성을 반영한 학교 밖의 ‘국가교육과정기준’과 시.도 및 학교를 둘러싼 지역의 특수성과 자율성을 반영한 학교 안의 ‘학교교육과정기준’의 두 체제로 교육과정기준 문서를 이원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방자치제 속에서 이런 제언은 논란을 낳을 수 있지만, 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은 학교가 국가기준을 바탕으로 지역 및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수용하여 질 높고 우수한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 KCI등재

        미래 사회에 대응한 북유럽 국가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 핀란드와 에스토니아를 중심으로

        임유나(Lim, Yoona),홍원표(Hong, Won-Pyo)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유럽 국가인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교육과정 개정의 최근 동향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향후 개정에 유용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와 정책 문서들을 중심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이들 국가의 교육과정 정책과 개정의 동향, 그리고 미래 사회 대응 차원에서 국가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주요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문서는 세부적으로 각국의 상황과 특성에 따른 차이를 지니지만, 학교교육의 방향성으로서 일반역량의 설정과 반영, 학생과 사회적 요구를 고려한 교과목 편제 및 과목 다양화, 학습역량과 학생 주도성에 대한 강조와 평가 방향 명료화, 체계적인 프로그래밍(코딩) 교육을 통한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을 통해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공통성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 학교교육의 질과 책무성, 학교 운영과 수업 구현의 자율성 사이의 균형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대응력과 주도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 설정 및 학습과 평가 차원의 방향 구체화, 개별 학생이 지닌 강점 강화형 교육과정 및 교육 격차를 완화하는 포용적 교육과정 구성, 에듀테크의 정교화를 통한 학습의 효율성, 효과성,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교육 환경 확대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revision in Finland and Estonia and to draw relevant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Methods] By reviewing curriculum and policy documents addressing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 in the two countries, main approaches to and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ing curricular guidelines were derived to explore how these countries respond to main changes anticipated in future society. [Results]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of the two countries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features: Highlighting development of general competencies as the main goal of education; Revising subject areas and creating new modules and course to reflect changing social needs; clarifying the concept of learning and learner evaluation to enhance learning competencies and student agency; and stimulating digital competencies through systematic programming (coding) education to help learners develop ICT skills. [Conclusion] Based on main results, five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in revising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o be relevant for the future society were propos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의 과제와 개선 방향

        임유나(Yoona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의 쟁점이나 과제를 파악하고, 2022년 학점제형 교육과정으로의 개정에 있어 고려해야 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문서 분석, 진로교육 및 진로와 직업 교과서 연구·개발 전문가 자문 회의, 고교학점제 3년차 연구학교에서 진로와 직업을 담당해 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강조됨에 따라 기존의 진로진학교육 이상으로 과목에 대한 이해와 수강신청, 학점제 기반 학업 및 진로 지도와 설계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진로와 직업 과목의 위상과 역할,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 평가 방식 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진로와 직업 과목을 필수 이수하도록 하는 방안, 창의적 체험활동과 차별화되고 실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격과 내용 구성, 학습 질 제고를 위한 성취평가제 적용 검토 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ssues or tasks in the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to be considered in the revis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ethods For this, not only the 2015 revised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but also experts’ advisory opinions were collected. Als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were identified from the teache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s students’ choice of subjects is emphasized, the demand for understanding of courses, course selection and registration, and credit system-based academic and career guidance and design, etc. are increasing beyond the existing career education. So, it was found that a review of roles, characteristic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of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are necessary. Conclusions Finally, considering to make mandatory completion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ourse, organizing practical and future-oriented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learning were proposed.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 탐색

        임유나(Lim, YooNa),최한올(Choi, HanOl),이혜정(Lee, HyeJung),윤완석(Yoon, Wa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원리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백워드 설계 모형인 기대하는 학습 결과 확인하기, 다양한 이해의 증거 결정하기, 학습 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 절차에 따라 단원을 개발하였다. 첫째, 조선 후기 역사 단원의 교육과정 내용 기준을 분석하여 단원에 대한 영속적 이해, 6가지 이해의 측면, 핵심 지식, 핵심 기능, 핵심 질문을 개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3차시 수업의 수행 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루브릭과 기타 이해 의 증거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흥미롭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WHERETO 모형을 활용한 학습활동을 계획하였다. 이때 맞춤형 수업의 원리로서 이질집단 편성, 학생들의 관심사 및 흥미에 따른 전문가 협력학습 전략, 다중지능 학습 양식에 따른 선택 학습, 이해력 및 쓰기능력과 같은 학습 능력에 따른 전략을 적용하였고, 맞춤형 수업 전략의 적용에 따라 평가 루브릭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서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 하는 맞춤형 수업은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이다. 다만, 이와 같은 수업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원 설계시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영속적 이해 요소, 빅 아이디어, 핵심질문 등을 제공하는 지원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evelop History in Society as a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adapting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aims to discover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m. We developed the field unit in a three step procedure; identify desired results, which is a backward design model;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Firstly, enduring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six different aspects of understanding, core knowledge, core skills, and essential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 of curriculums of the history of the late Choseon period. Secondly, performance tasks for the 3rd section lesson were developed using the GRASPS models, and the assessment rubric from it, and evidential documents for others were suggested. Thirdly, a learning activity, using WHERETO models for a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class, was designed. For this, heterogeneous grouping as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Jigsaw model according to student s interests and attention, choice study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s, learning schemes by ability, such as understanding or writing, were applied, and assessment rubric was edited and enhanced with the strateg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As a result, understanding by design, as the educational design model,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which considers student s variabilities, could be applied as a complimentary. However, in order to design this type of class, we need a supportive system that offers enduring understanding factors, big ideas, and essential questions which can be useful during the design of the subject unit.

      • KCI등재

        학점제 기반 고교 교육과정의 편성 체제에 관한 논의 : 교과목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의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임유나(Yoona L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우리나라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교과목 편제와 수업량 배당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며, 고교 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에는 고교 교육의 철학과 방향이 담기게 된다.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 방향에 따라 양질의 심화된 학습으로 나아갈 수 있는 교육과정 편성 체제를 갖출 때에 학점제 전환의 의의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목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 및 지침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고,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편제 구조 및 수업량 배당 기준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들을 논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과목’ 선택권 확대에 방점이 놓여 선택이 가능한 과목의 종류와 수를 상당히 다양하게 확대해 왔지만 진로 희망을 고려한 학생의 교육과정 이수를 세심하게 반영하지 못했고, 과목의 단위학교 개설 여부 등에 따라 실질적인 학생 선택권은 상당히 제약되었다. 과목에 따라 단위 수가 다르게 설정될 뿐만 아니라 단위 증감 기준에 의해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편차와 복잡성을 더 커지게 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학년제 관행에 따른 교육과정 이수가 이루어져 단위제의 취지 구현은 어려운 실정이었다. 통시적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1) 유의미한 학습 경로 측면에서 과목의 다양화와 수평적 나열보다는 과목의 위계화와 과정제시형 교육과정을 통한 학습 경로의 가시화, (2) 졸업 이수 학점과 이수 연한 측면에서 총 이수 단위의 축소 및 졸업 이수 연한의 유연화를 통한 학생의 필요와 학습 능력 고려 및 충분한 학습 기회의 제공, (3) 필수와 선택 구조의 단위 측면에서 필수 ‘교과’의 구조 구축과 필수교과 내 과목 선택 유도를 통한 교과 균형 이수 및 진로와 학업 능력에 따른 과목 이수 구조 강화, (4) 과목당 학점 크기 및 증감 기준 측면에서 진로에 따른 핵심 교과목에 대한 지속적, 심층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점의 크기 고려와 학점 증감 기준의 폐지나 최소화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ourse organization structure and unit allotment standards for developing a high school credit-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diachronic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Results show that due to the emphasis on expanding selection rights for courses, the curriculum has greatly expanded the types and number of courses that can be selected. However, the curriculum did not carefully reflect students’ curriculum completion considering their career hopes and pathways. Moreover, the students’ selection rights has been limi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chool can open. Not only are the number of unit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urses, but the variation and complexity of the school curriculum operation have been increased by the unit increase/decrease criteria.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unit system due to variations in school year practice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1) rather than diversifying and horizontally arranging courses, visualizing the learning path through a hierarchy of courses and a career-compatible curriculum, (2)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completion units/credits and flexibility of graduation completion periods, (3) building the structure of the required “subjects” and inducing the students’ selection of “courses” within the “required subjects,” and (4) considering the size of credits that enable continuous and in-depth learning and abolishing or minimizing credit increase/decrease standards.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임유나(Lim, YooNa),이수정(Lee, S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상의 주요 쟁점과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헌 분석과 전문가 협의회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 편성·운영의 자율성, 창의적 체험활동과 교과와의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실행,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색 있는 운영’을 주요 쟁점 사항으로 도출하고, 이에 따라 12개 사례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위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및 시수 편성에 있어 시·도 지침이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해 국가 교육과정의 취지와는 달리 모든 영역을 편성하고 일부 영역은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과와의 연계에 있어서는 일회적인 행사성 활동이나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 학교 특색 사업 운영 등의 시수 확보를 위한 피상적 연계가 두드러졌고, 범교과 학습 주제를 ‘필수, 의무’로 인식하여 사실상 자율활동 영역은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이 장악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 특색 활동을 편성·운영하는 데 있어서는 학교가 위치한 지역적 환경이나 학교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에서 ‘운영’으로의 관점 전환을 통한 단위학교 자율성 강화, 학생 요구를 반영한 탐구 활동 기반의 교과 연계, 시·도 교육청 차원의 범교과 학습 주제 조정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내실화, 지역과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창의적 체험활동 기반의 학교 특색 활동 운영 모델 구축 및 우수 사례 발굴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in issues and current situations of elementary school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It recognized four main issu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of twelve case school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irst, the case schools tend to organize all fours areas and superficially implement some areas in the organization of areas and instructional hour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ich is affected by local guidelines and differs from the intention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the association with subjects, the case schools tend to superficially associate with subjects for instructional hours such as temporary event, cross-curricular themes education, or school distinctive activities. Third, the case schools tend to fill the area of discretionary activities with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are recognized as required and mandatory. Fourth, the case schools tend to make a decision on school distinctive activities according to school’s local environment or school siz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four implications.

      • KCI등재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

        임유나(Lim, Yoo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개편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고교학점제와 교육과정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온타리오 주 교육과정 문서와 정책 문서들, 주 교육부와 학교 홈페이지 등의 정보를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온타리오 주 고교 교육과정은 직업교육과 시민윤리 등의 몇 개 과목을 제외하고는 필수 ‘교과’를 제시하고 그 안에서의 과목 선택을 하도록 함으로써 균형 있는 선택과 이수를 유도하고 있었다. 선택할 수 있는 과목 수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진로 유형에 따라 수준과 내용을 달리하는 형태의 과목으로 개발하여 진로 유형별로 의미 있는 학습을 추구하였으며, 거의 모든 과목의 이수 학점을 1학점(110시간)으로 단순 화하고 학기별로 적은 수의 과목을 이수하게 하는 시간 운용을 통해 집중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고교 졸업요건뿐만 아니라 과목별 이수기준을 바탕으로 이수나 미이수를 결정하여 학생 학습의 질 관리를 하고 있고, 졸업요건 충족을 위한 여러 대안적 이수 방안과 재이수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점 등도 우리나라 학점제 도입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단위제에서 학점제로의 제도적 변화의 기반에는 학생의 진로 개척과 준비를 지원하는 교육과정으로의 변화가 전제되어야 하며, 양적으로 확대되는 과목 선택뿐만 아니라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부합하는 선택의 질적 확대가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선택에 대한 학생의 책임도 강조하여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고려한 선택을 하고 학습의 질과 깊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교 교육과정의 중요한 책무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dit system-based high school curriculum in Ontario, Canada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form. Ontario’s curriculum documents, policy documents, and information on website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hools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Ontario’s high school curriculum provides the required subjects not required courses, except for a few courses such as career studies and civics. This helps with the selection of courses within the required subjects, thus leading to a balanced selection and completion of the curriculum. Although there is a limited number of courses to choose from, Ontario’s credit-based curriculum ensures meaningful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urses that differ in level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tudent’s career. The curriculum simplifies the credits of almost all courses to one credit (110 hours) and enables intensive learning through time management, which allows students to take a small number of courses. In addition to high school graduation requirements, the curriculum also manages the quality of students’ learning by determining completion or non-completion on the basis of course-specific completion standards. Providing alternative selections and recovery methods to meet graduation requirem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credit system.

      • KCI등재

        IB PYP 학교 탐구 프로그램 분석 및 도입 양상 유형화

        임유나 ( Lim Yoon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IB 공교육 도입 초등학교의 탐구 프로그램(POI)과 탐구 단원(UOI)이 담고 있는 주요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POI의 균형성과 특징을 확인하고, POI 개발 특징에 따른 IB PYP 도입 양상을 유형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기준 IB 후보학교에 해당하는 3개의 국공립 초등학교에서 일 년간 운영된 POI와 UOI를 분석 대상으로 수집하고, POI 내 균형성 검토를 위한 기준들을 재구성하여 분석 관점으로 적용하였다. POI와 UOI 분석 결과, 학교마다 POI 균형성 충족 영역과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과 IB PYP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전반적인 이해 수준, 학교 문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POI와 UOI 설계와 구현에 있어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IB PYP 도입 양상을 ‘IB 교육과 PYP에 관심이 있으나 아직 IB 교육의 철학, PYP 프레임워크, 핵심 요소, 개념기반 탐구 등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경우’인 도입기 단계, ‘협력과 성찰의 학교 문화와 IB 교육 철학과 프레임워크, 핵심 요소, 개념기반 탐구 등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는 갖추었고 PYP 프레임워크와 국가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POI와 UOI를 개발하고 있으나, 구성원들의 이해와 POI 균형성 확보에서 보완이 필요한 경우’인 전개기 단계, ‘협력과 성찰의 학교 문화 아래 IB 교육 철학과 프레임워크, 핵심 요소, 개념기반 탐구 등을 잘 이해하고 있고, PYP 프레임워크와 국가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균형성을 갖춘 POI를 개발, 운영하는 등 학교 고유의 POI와 UOI를 발전시켜 나가는 경우’인 발전기 단계로 유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IB PYP 도입 단계별 학교 특성을 고려하여 IB를 도입, 적용하고자 하는 학교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bal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me of Inquiry (POI)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IB PYP) school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the main elements contained in the POI and the Unit of Inquiry (UOI) and typified the introduction stages in IB PYP schoo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OI development. POIs and UOIs operated for a year by three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corresponding to IB candidate schools as of 2020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criteria for reviewing the balance within the POI were reorganized and applied from an analysis viewpoint. As a result of POI and UOI analysis, differences in the area and degree of POI balance fulfillment for each school were revealed. Various factors such as overall understanding of school members about IB PYP philosophy and framework and cooperative school culture may indicate different levels in POI and UOI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B PYP introduction stages were categorized into the introduction, deployment, and settlement stages. Finally, directions to support schools that want to introduce and apply IB PYP were sugges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t each stage of IB PYP introduction.

      • KCI등재

        국제공인 유·초등학교 교육과정(IB PYP)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임유나 ( Yoona Lim ),김선은 ( Suneun Kim ),안서헌 ( Seoheon A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국제공인 유·초등 교육과정인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의 특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 전반과 PYP 교육과정, PYP를 도입한 학교 교육과정 문서들을 총론적, 각론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B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되는 ‘IB 학습자상’은 중요 지식과 기능 습득, 개념적 이해 개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 능력이 균형 있게 개발된 인간상을 담고 있었으며, 이에 PYP는 총론적 차원에서 '지식, 개념, 기능, 태도, 행동'을 학습 구성의 필수 요소로 설정하고 구체화하였다. 학교교육은 크게 교과를 통한 학습과 초학문적 주제중심 탐구학습으로 대별되었는데, 후자가 PYP 교육의 핵심적인 특징이 된다. PYP는 교과성취기준을 초학문적 주제와 연계,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한 교과 성취기준 구성, 초학문적 주제에 따른 탐구 프로그램의 틀 계획 등을 통해 교사주도의 교육과정 통합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PYP를 운영하는 학교들은 유·초등단계 학생들의 언어와 수학적 기본 기능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평가 방안과 각 교과별 평가만이 아니라 초학문적 주제 탐구학습에 대한 다면적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수 능력을 구체화하는 인간상의 설정, 각론이 상위의 총론적 교육목적을 향해 일관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각론 구성의 틀 개발, 교과통합 교육에 집중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마련, 교사들의 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작업에 수월성과 방향성을 줄 수 있는 형태의 각론 구성, 초등단계에서 언어와 수리의 기본능력 형성과 탐구중심 통합학습 활동을 위한 면밀한 평가 계획 수립과 운영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 (IB PYP)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We analyzed the IB program in general, the PYP curriculum, and the PYP-based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B Learner Profile,” which is the goal of IB education, contains balanced ideals regarding the educated person. Therefore, the PYP consists of and specifies five essential elements of knowledge, concepts, skills, attitudes, and action. Education is divided into subject learning and inquiry learning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the latter being a key feature of PYP education. The PYP has strengthened the possibility of teacher-led curriculum integration via the method of linking achievement standards to transdisciplinary themes or constructing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as well as developing the frameworks of inquiry programs based on these themes. Assessment plans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elementary students’ language and mathematical basic skills, and not only the assessment plan of each subject, but also, multidimensional assessment plans for inquiry learning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