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임유나(Lim Yoo Na),장소영(Jang So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최근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반영하고 학생활동 중심으로 교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적정화를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방향으로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09 와 2015 개정 초,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내용 적정화 정도를 검토해 보았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의 과학과 수업 시수는 동일하게 유지된 한 편, 새 교육과정의 학습 주제 수는 증가하였다. 성취기준의 수는 새 교육과정의 모 든 학년군에서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20% 정도 감소하였으나, 개념(학습요소), 성취 기준 해설, 교수 학습 및 평가의 유의사항, 성취기준의 병합적 조정 등을 고려하여 분석한 교육내용량은 사실상 크게 감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 적정화 는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성취기 준의 개수를 줄여서 될 문제가 아니라, 교육내용이 제시하고 있는 개념적 지식과 수 행해야 하는 탐구활동의 수준 등을 수업 시수와 함께 고려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염두에 두고, 철저한 숙고와 보다 더 엄격 한 기준에 따라 핵심개념을 선정하고 교육내용량을 실질적으로 감축할 필요가 있다. As the measures to reflect the core competencies and also to improve the classroom lesson focusing on students activitie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notified aimed for the re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reviewed the degree of reduc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science for elementary/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and 2015.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science lesson hours for both curriculums was same while the number of learning topic for the new curriculum was increased. The number of items suggested as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new curriculum was decreased about 20% in every grade group, compared to the existing curriculum. However, the volum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concepts,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structions of teaching and evaluating, and the combined adjustm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not largely reduced. Since the re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s to provide significant learning opportunities to students, the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conceptual knowledge suggested by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number of lesson hours, instead of just reducing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lso keeping the education goal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mind, the core concepts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more thorough consideration and rigorous standards, and then the volum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actually reduced.

      • KCI등재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과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임유나 ( Yoo-na Lim ),이광우 ( Kwang-woo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정책 구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은 중등교육 이후 2년의 후기중등교육을 거쳐 고등교육으로 진입하도록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고, 영국 현지의 일반계 고교들, 종합대학교, 외부시험 출제 및 채점 기관을 방문하여 조사와 자료 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의 중등교육은 필수교과 이수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고 있지만 후기중 등교육에 이르러서는 온전한 학생 선택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학교는 다양하게 많은 수의 과목을 개설하지는 않았지만 진학계열의 과목뿐만 아니라 직업계열의 과목도 개설하여 학생의 필요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있으며, 학생은 학업 능력 및 진로 희망에 따른 소수의 과목을 선택하고 2년간 심도 있는 학습을 한다. 또한 학생의 교육과정 이수와 외부평가인 GCSE와 A-level은 중등-후기중등-고등 교육을 연계하여 고교교육이 대학준비교육 또는 취업준비교육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교사의 A-level 예견서는 대입에 조건부 등급으로 활용되며, 학생 개인별 시간표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공강은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독립된 학습이나 보충학습 시간으로 활용하고 별도의 직원을 두어 관리하는 등 우리나라 고교학점제에 있어 고려해 보아야 할 특징들이 적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과목에 대한 심화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고교 교육과정 개선, 교육과정 다양화를 통한 직업교육 기회 확대, 교사별 학생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공강 시간의 성격 규정, 중등과 고등 교육 연계를 위한 학제적 검토를 주요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ngland’s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we analyze relevant documents focusing on Key Stage 4 and Sixth Form, and visited general high schools, a university, and an examination board in England. Secondary education in England comprises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the compulsory subjects, but post-secondary education features a full elective curriculum. Although schools do not offer a large variety of subjects, Sixth Form students choose a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study them extensively for two years. In addition, GCSE and A-levels link secondary, post-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nd high school education functions as university preparatory education or career readiness education. Teachers’ predicted A-level grade reports are used for university admissions and time between classes is devoted to independent study or supplementary learning, managed by the school staff. Finally, the primar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improvi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to enable in-depth learning, expanding vocational education opportunities,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eachers’ assessments, organizing time between classes, and reviewing school systems for linking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ese are discussed further.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논리의 교과별 적합성 검토: 캐나다 온타리오 주 언어과와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을 통한 탐색

        임유나 ( Yoo-na Lim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에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에서 총론이 제시하는 기본 논리로 드러나고 있는 핵심 개념, 빅 아이디어, 일반화된 지식 등을 중심으로 교과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하자는 것이 과연 ‘모든’교과에 타당한 것인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핵심 개념과 빅 아이디어 중심의 내용 구성을 띠고 있는 온타리오 주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와 비교 대상으로서 언어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과학과 교육과정은 핵심 개념과 빅 아이디어가 지식의 상위 체계에 놓이고, 교육내용은 핵심 개념과 빅 아이디어에 따른 하위 지식 및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탐구적 기능들을 종합적으로 진술하는 체계를 택하고 있는데 반해, 같은 주의 교육과정 문서임에도 불구하고 언어과 교육과정은 과학과와 달리 언어사용기능 습득이 중심이 될 수 있는 교육내용 진술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각 교과는 서로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고, 교과별 교육과정기준 문서는 이를 잘 구현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마땅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아무리 좋은 논리일지라도 어떤 하나의 논리를 모든 교과에 다 적용하려는 것은 과잉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여 교과교육을 왜곡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였다. 총론은 각론에 교과 고유의 목적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한 선정과 조직의 논리를 개발,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Rationale applied to subjects, as it claims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concept,the big idea, and generalized knowledge presented as fundamental logic to constructing the curriculum standards of individual subjects. The Ontario language curriculum was analyzed to compare it with the Ontario science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core concepts and big idea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language curriculum has the statement structure of content that focuses on obtaining language skills. In comparison, the science curriculum puts core concepts and big ideas on the high level of knowledge structure and the content has the structure to comprehensively state the exploratory skills that need to be performed to understand sub-knowledg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the core concepts and the big ideas. Therefore, to avoid distortion, it is suggested that it is reasonable to apply a different logic depending on the subject or logic that suits the purpose or characteristics of a given subject.

      • KCI등재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임유나 ( Yoo Na L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지난 한 해 동안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된 융합인재교육 (STEAM)의 여러 사례를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해보았다. 우리나라 STEAM 교육은 짧은 기간에 비해 학교 현장과 과학기술계 전반에서 많은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어 있으나, 실제 적용 모습을 살펴보면 중요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STEAM 교육을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 내용의 단순한 결합으로 이해하거나, 각 교과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STEAM 수업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이나 통합의 가능성을 가진 내용 요소를 확인하여 체계성과 연계성을 만들어내는 단계가 없다. 또한 STEAM 교육과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하여 교사들이 통합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각 교과의 핵심 개념이나 기능을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거의 모든 통합이 다학문적인 통합의 형태에만 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통합적 개념을 추출해 낼 수 있는 내용 기준의 개발, 다학문적 통합시 중심이 되는 교과와 어떤 교과들이 통합에 유의미할지에 대한 논의와 연구, 간학문적 통합과 같이 더 높은 수준의 통합 지향, STEAM 교육에 대해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질적, 양적 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various cases of STEAM practically applied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for the past year in term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Korean STEAM. A lot of interest and expectation about Korean STEAM are increasing in schools and scientific technique areas compared to its short history, but there are some critical problem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Korea regards STEAM as a simple mixture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or the provision of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subjects. In other words, there is no process where organization and connectivity are made by checking core concepts or contents with potential integration. In addition, teachers lack professionalism about STEAM and integrated curriculum so that it is hard for teachers to decide core concepts and core skills of subjects that could be the center of integration, and almost every integration just takes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contents that can extract integrated concepts, discussion and analysis on subjects that become the center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and what subjects would be significant for integration, higher level of integration such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a way to expand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teach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STEAM.

      • KCI등재

        학점제 기반 고교 교육과정의 편성 체제에 관한 논의 : 교과목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의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임유나(Yoona L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우리나라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교과목 편제와 수업량 배당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며, 고교 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에는 고교 교육의 철학과 방향이 담기게 된다.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 방향에 따라 양질의 심화된 학습으로 나아갈 수 있는 교육과정 편성 체제를 갖출 때에 학점제 전환의 의의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목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 및 지침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고,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편제 구조 및 수업량 배당 기준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들을 논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과목’ 선택권 확대에 방점이 놓여 선택이 가능한 과목의 종류와 수를 상당히 다양하게 확대해 왔지만 진로 희망을 고려한 학생의 교육과정 이수를 세심하게 반영하지 못했고, 과목의 단위학교 개설 여부 등에 따라 실질적인 학생 선택권은 상당히 제약되었다. 과목에 따라 단위 수가 다르게 설정될 뿐만 아니라 단위 증감 기준에 의해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편차와 복잡성을 더 커지게 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학년제 관행에 따른 교육과정 이수가 이루어져 단위제의 취지 구현은 어려운 실정이었다. 통시적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1) 유의미한 학습 경로 측면에서 과목의 다양화와 수평적 나열보다는 과목의 위계화와 과정제시형 교육과정을 통한 학습 경로의 가시화, (2) 졸업 이수 학점과 이수 연한 측면에서 총 이수 단위의 축소 및 졸업 이수 연한의 유연화를 통한 학생의 필요와 학습 능력 고려 및 충분한 학습 기회의 제공, (3) 필수와 선택 구조의 단위 측면에서 필수 ‘교과’의 구조 구축과 필수교과 내 과목 선택 유도를 통한 교과 균형 이수 및 진로와 학업 능력에 따른 과목 이수 구조 강화, (4) 과목당 학점 크기 및 증감 기준 측면에서 진로에 따른 핵심 교과목에 대한 지속적, 심층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점의 크기 고려와 학점 증감 기준의 폐지나 최소화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ourse organization structure and unit allotment standards for developing a high school credit-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diachronic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Results show that due to the emphasis on expanding selection rights for courses, the curriculum has greatly expanded the types and number of courses that can be selected. However, the curriculum did not carefully reflect students’ curriculum completion considering their career hopes and pathways. Moreover, the students’ selection rights has been limi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chool can open. Not only are the number of unit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urses, but the variation and complexity of the school curriculum operation have been increased by the unit increase/decrease criteria.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unit system due to variations in school year practice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1) rather than diversifying and horizontally arranging courses, visualizing the learning path through a hierarchy of courses and a career-compatible curriculum, (2)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completion units/credits and flexibility of graduation completion periods, (3) building the structure of the required “subjects” and inducing the students’ selection of “courses” within the “required subjects,” and (4) considering the size of credits that enable continuous and in-depth learning and abolishing or minimizing credit increase/decrease standards.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 탐색

        임유나(Lim, YooNa),최한올(Choi, HanOl),이혜정(Lee, HyeJung),윤완석(Yoon, Wa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원리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백워드 설계 모형인 기대하는 학습 결과 확인하기, 다양한 이해의 증거 결정하기, 학습 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 절차에 따라 단원을 개발하였다. 첫째, 조선 후기 역사 단원의 교육과정 내용 기준을 분석하여 단원에 대한 영속적 이해, 6가지 이해의 측면, 핵심 지식, 핵심 기능, 핵심 질문을 개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3차시 수업의 수행 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루브릭과 기타 이해 의 증거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흥미롭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WHERETO 모형을 활용한 학습활동을 계획하였다. 이때 맞춤형 수업의 원리로서 이질집단 편성, 학생들의 관심사 및 흥미에 따른 전문가 협력학습 전략, 다중지능 학습 양식에 따른 선택 학습, 이해력 및 쓰기능력과 같은 학습 능력에 따른 전략을 적용하였고, 맞춤형 수업 전략의 적용에 따라 평가 루브릭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서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 하는 맞춤형 수업은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이다. 다만, 이와 같은 수업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원 설계시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영속적 이해 요소, 빅 아이디어, 핵심질문 등을 제공하는 지원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evelop History in Society as a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adapting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aims to discover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m. We developed the field unit in a three step procedure; identify desired results, which is a backward design model;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Firstly, enduring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six different aspects of understanding, core knowledge, core skills, and essential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 of curriculums of the history of the late Choseon period. Secondly, performance tasks for the 3rd section lesson were developed using the GRASPS models, and the assessment rubric from it, and evidential documents for others were suggested. Thirdly, a learning activity, using WHERETO models for a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class, was designed. For this, heterogeneous grouping as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Jigsaw model according to student s interests and attention, choice study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s, learning schemes by ability, such as understanding or writing, were applied, and assessment rubric was edited and enhanced with the strateg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As a result, understanding by design, as the educational design model,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which considers student s variabilities, could be applied as a complimentary. However, in order to design this type of class, we need a supportive system that offers enduring understanding factors, big ideas, and essential questions which can be useful during the design of the subject uni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관계성 분석:

        임유나(Lim, YooNa),장소영(Jang,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influence of six key competencie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general curriculum on subjects and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appli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argeting ‘nature of subject’ section of ten subjects curricula that explains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kinds and definition of subject competencie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kinds and power of key competencies and the network relations between competencies are different. Key competencies that shows great influence and forms strong network throughout subjects are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while the influences of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re relatively small. This result is reflected that school education has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indicate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the range of each key competency’s meaning is not balanced but has a big difference. Also, it is found that although subject competencies is different in their names and the range of meanings by subject, they were set up almost not to get out of the range of key competenc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ould be a way of promoting key competencies by setting up a few key competencies appropriately and educating well in accordance with each subject’s nature, rather than setting up separate subject competencies and making the status of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objectives ambiguou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역량이 교과에서 나타내고 있는 영향력과 역량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별 특성과 교과역량을 안내하고 있는 교과교육과정의 성격 영역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에 따라 반영되고 있는 핵심역량의 종류와 비중, 역량 간 네트워크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과 전체적으로 영향력을 보이며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지식정보처리 역량과 자기 관리 역량이었고, 상대적으로 창의적 사고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의 영향력은 작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교육이 지식정보처리 및 자기관리 역량이 포함하고 있는 측면들에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핵심역량의 의미 범위가 균 형적이지 못하고 큰 차이를 지니고 있다는 것도 재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한편, 교과역량은 교과에 따라 명칭과 의미 범위를 달리하고는 있지만 총론 핵심역량의 범위 내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게 설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과역량을 별도로 설정하여 핵심역량과 교과목표의 위상을 모호하게 하기보다는, 소수 의 핵심역량을 타당하게 설정하고 이를 비전으로 삼아 교과의 특성을 잘 살리는 교육을 한다면 그것이 곧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제공인 유·초등학교 교육과정(IB PYP)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임유나 ( Yoona Lim ),김선은 ( Suneun Kim ),안서헌 ( Seoheon A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국제공인 유·초등 교육과정인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의 특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 전반과 PYP 교육과정, PYP를 도입한 학교 교육과정 문서들을 총론적, 각론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B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되는 ‘IB 학습자상’은 중요 지식과 기능 습득, 개념적 이해 개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 능력이 균형 있게 개발된 인간상을 담고 있었으며, 이에 PYP는 총론적 차원에서 '지식, 개념, 기능, 태도, 행동'을 학습 구성의 필수 요소로 설정하고 구체화하였다. 학교교육은 크게 교과를 통한 학습과 초학문적 주제중심 탐구학습으로 대별되었는데, 후자가 PYP 교육의 핵심적인 특징이 된다. PYP는 교과성취기준을 초학문적 주제와 연계,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한 교과 성취기준 구성, 초학문적 주제에 따른 탐구 프로그램의 틀 계획 등을 통해 교사주도의 교육과정 통합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PYP를 운영하는 학교들은 유·초등단계 학생들의 언어와 수학적 기본 기능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평가 방안과 각 교과별 평가만이 아니라 초학문적 주제 탐구학습에 대한 다면적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수 능력을 구체화하는 인간상의 설정, 각론이 상위의 총론적 교육목적을 향해 일관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각론 구성의 틀 개발, 교과통합 교육에 집중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마련, 교사들의 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작업에 수월성과 방향성을 줄 수 있는 형태의 각론 구성, 초등단계에서 언어와 수리의 기본능력 형성과 탐구중심 통합학습 활동을 위한 면밀한 평가 계획 수립과 운영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 (IB PYP)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We analyzed the IB program in general, the PYP curriculum, and the PYP-based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B Learner Profile,” which is the goal of IB education, contains balanced ideals regarding the educated person. Therefore, the PYP consists of and specifies five essential elements of knowledge, concepts, skills, attitudes, and action. Education is divided into subject learning and inquiry learning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the latter being a key feature of PYP education. The PYP has strengthened the possibility of teacher-led curriculum integration via the method of linking achievement standards to transdisciplinary themes or constructing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as well as developing the frameworks of inquiry programs based on these themes. Assessment plans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elementary students’ language and mathematical basic skills, and not only the assessment plan of each subject, but also, multidimensional assessment plans for inquiry learning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청년층 의료이용 양상: 1인 가구 청년과 동거 가구 청년 간 비교를 중심으로

        임유나 ( Lim You-na ),조윤민 ( Cho Yoon-min ),이태진 ( Lee Tae-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1인 가구 청년과 동거 가구 청년의 의료이용 양상을 비교하여 가구 유형에 따른 청년층의 의료이용 관련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의료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39세 이하 미혼자 2,342명을 연구 대상으로 정의하였다. 가구 유형 이외에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수행하였고, 투파트 모델(Two-Part Model)을 이용하여 의료이용 여부와 의료이용량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 의료이용에서 1인 가구 청년의 의료이용 오즈가 동거 가구 청년보다 낮게 나타났다(오즈비: 0.77). 경제적 이유 및 방문시간제한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이용 경험에 관한 분석에서는 1인 가구 청년이 동거 가구청년보다 미충족 의료이용을 경험할 오즈가 약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상태별 하위군 분석 결과 경제활동 중 1인 가구 청년을 기준으로 학업 중 1인 가구청년이 의료를 이용할 오즈가 더 낮았고, 취업/진학 준비 중인 1인 가구 청년의 경우에도 의료를 이용할 오즈가 더 낮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1인 가구 청년과 동거가구 청년 간 의료이용 양상의 차이는 가구 유형이 의료이용과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보건학적 관심 대상에서 비교적 논의가 부족했던 청년층의 의료이용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 of medical services among Korean young adults by the types of household. This study used the 2016 Korean Health Panel data, and 2,342 single young adults aged between 20 and 39 were included.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to control other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medical use except for the household types. Also Two-Part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ffect of household types on medical service u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adults living alone were less likely to use medical services (odds ratio: 0.77). Moreover, the analysis of experiences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showed that the young adults living alone were about 1.8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 needs. The subgroup analysis by economic status indicated that when the young adults living alone were in college, they had a lower chance of using medical service. In the case of those who were preparing for higher education or for employment, the probability of using medical service of those living alone was significantly low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medical service use between the two groups could be influenced by the types of households. The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 on medical service use of young adults who have been relatively underrepresented in public health studies.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의 과제와 개선 방향

        임유나(Yoona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의 쟁점이나 과제를 파악하고, 2022년 학점제형 교육과정으로의 개정에 있어 고려해야 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문서 분석, 진로교육 및 진로와 직업 교과서 연구·개발 전문가 자문 회의, 고교학점제 3년차 연구학교에서 진로와 직업을 담당해 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강조됨에 따라 기존의 진로진학교육 이상으로 과목에 대한 이해와 수강신청, 학점제 기반 학업 및 진로 지도와 설계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진로와 직업 과목의 위상과 역할,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 평가 방식 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진로와 직업 과목을 필수 이수하도록 하는 방안, 창의적 체험활동과 차별화되고 실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격과 내용 구성, 학습 질 제고를 위한 성취평가제 적용 검토 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ssues or tasks in the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to be considered in the revis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ethods For this, not only the 2015 revised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but also experts’ advisory opinions were collected. Als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were identified from the teache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s students’ choice of subjects is emphasized, the demand for understanding of courses, course selection and registration, and credit system-based academic and career guidance and design, etc. are increasing beyond the existing career education. So, it was found that a review of roles, characteristic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of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are necessary. Conclusions Finally, considering to make mandatory completion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ourse, organizing practical and future-oriented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learning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