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韓),중(中),일(日) 분구묘(墳丘墓)의 관련성(關聯性)과 그 배경(背景)

        임영진 ( Young Jin Yim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4

        한국의 선사·고대 묘제는 중국의 중원지역과 마찬가지로 지하에 토광을 굴착하여 시신을 안치한 다음 토광만 메운 平墓이거나 토광 상부까지 흙을 쌓은 封墳墓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한국의 馬韓 지역과 중국의 吳越 지역, 일본 彌生時代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지상의 분구에 시신을 안치하는 墳丘墓가 성행하였다. 이 가운데 중국의 분구묘는 土墩墓라 불리는데 신석기시대 湖熟文化의 주거용 土墩에서 출발하여 良渚文化 후기부터 무덤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분구묘의 기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분구묘가 중국의 토돈묘와 같이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다면 중국 토돈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발생 배경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확인된 자료로는 이를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통하고 시기적으로 앞선 중국 토돈묘가 그 기원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한국과 일본의 분구묘가 중국 토돈묘에 기원을 두었다면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른 중국의 경제적 어려움, 정치·사회적 혼란, 양자의 복합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주민의 이주가 이루어짐으로써 파급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그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秦 시황제에 의해 徐福 일행이 2차에 걸쳐 파견되었던 역사적 사건이다. 일행 가운데에는 秦의 멸망등으로 인해 귀국 대신 파견지 정착을 선택한 사람들도 적지 않았을 것이며 자연스럽게 중국의 토돈묘 전통에 따라 현지에서 분구묘를 축조하는 이들도 있었을 것이다. 또한 後漢 환제와 영제 시기의 사회 혼란에 따른 주민 이주도 토돈묘의 파급을 촉진 시켰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한국과 일본 분구묘의 기원이 중국 토돈묘에 있을 가능성과 그 배경에 대해 조망해 보았는데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적지 않다. 중국 토돈묘 축조 세력의 이주 가능성이나 중국토돈묘의 영향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고고학 자료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지만 출토유물에 있어 부족한 점이 적지 않다. 이는 중국 이주민의 세력 규모나 성격등의 문제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지만 당시 항로상의 요충지인 산동지역 토돈묘들이 최근에야 조사되기 시작하였다는 점도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 The traditional tombs in prehistoric and ancient Korea entail an interment below ground. However, Bungu tombs(墳丘墓), characterized by interment above ground, were also made in the Mahan(馬韓) region of Korea, as well as in the Owo(吳越) region of China and most of Japan during the Yayoi(彌生) period. The Bungu tombs in China are called Todon tombs(土墩墓), and are known to have originated from the dwelling mounds of the Neolithic Hushu(湖熟) culture and developed into a type of burial during the late phase of the Liangzhu(良渚) period. However, the origins of Bungu tombs in Korea and Japan continue to be eth issue of scholarly debates. If Bungu tombs in Korea and Japan have originated indigenously, the history of their developments should be elucidated as was the case in China. However, the currently available archaeological data do not support the idea of indigenous origins. Rather, it is likely that Bungu tombs in Korea and Japan have originated from Todon Tombs of China. It is possible that economic crisis induced by environmental changes, socio-political disorder, or both have caused migration out of China. Particularly, it is worth noting that Xufu(徐福) and his party were dispatched twice by the order of Qin Shi Huang(秦始皇). Many of his party would have refused to return to China after the collapse of Chin dynasty and spread the tradition of Todon tombsin the Far Eastern region. In addition, social turmoil in the period of Huan Di(桓帝) and Ling Di (靈帝) could also have spread the tradition of Todon tombs. The study highlights the possible historical links between Todon tombs of China and Bungu tombs of Korea and Japan. Yet there remain many unanswered questions. Most of all, the artifacts that could also suggest cultural diffusion are very scarce. The scarcity is possibly related to the number and other details of Chinese immigrants. It sh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the Todon tombs of the Shandong region, which was an important diffusion route, started to be studied only recently.

      • KCI등재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임영진 ( Young Jin Yim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49 No.-

        한국의 墳周土器는 계통에 따라 壺形, 筒A形, 筒B形으로 구분되는데, 壺形은 아산만권의 분묘제사에서 술을 공헌하는데 사용되었던 원통형 특수토기가 3세기 말~4세기 초 금강 하류지역의 마한 제국 수장묘에서 분구 장엄용으로 변용된 다음 영산강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筒A形은 5세기 중엽경 영산강유역권 마한 제국 수장묘에서 당시 일본에서 성행하였던 원통형과 호통형 埴輪 set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현지 기대의 기형과 도립 분할 제작기법이 가미되어 독자적인 유형으로 성립된 다음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筒B形은 5세기 말~6세기 초 영산강유역권의 일본식 장고분에서 사용되었던것으로서 장고분 뿐만 아니라 墳周土器, 墳周木器 등의 墳周物까지 일본에서 기원하되 그 제작에 있어서는 현지 공인들이 참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분주토기의 확산과 소멸 배경에 있어, 壺形과 筒A形은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권을 중심으로 마한 제국의 수장층 사이에서 자신들의 무덤에 분주토기를 장식하는 것이 신분에 걸맞는 것이라는 인식 속에서 확산되다가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현지에서 중단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일본으로 파급되었다. 筒B形은 일본의 망명 세력이 일본의 전통을 따르면서 지속되어 나가다가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완전히 소멸되었다. It is commonly argued that the Bunju potteries plac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Mahan tombs has originated from the cylindrical potteries found in the wood coffin tombs of the Asan Bay area.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the Bunju potte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Jar, Cylindrical A, and Cylindrical B, and that each type had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es. First, the Jar type was initially made around the late 3rd and the early 4th century AD by imitating the cylindrical pottery used for religiously serving wine in the wood coffins of the Asan Bay area and then was diffused to the souethrn Mahan area. Second, the Cylindrical A type that is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of the mid 5th century AD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ylindrical Haniwa, but went through an independent developmental process by incorporating local styles. Third, the Cylindrical B type found in the Japanese style keyhole-shaped tombs from the late 5th century A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D was a direct imitation of the Japanese Haniwa. The fact that the Bunju potteries excavat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the tombs persisted only in the last Mahan area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D strongly suggests that the Mahan people maintained its power and remained independent of Baekje.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some Mahan elites who used traditional jar-coffin tombs and the Jar and the Cylindrical A type pottery went into exile to Japan in the process of Baekje’s expansion in the mid 6th century 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Japan more seriousyl.

      • KCI등재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의 거석유적

        임영진 ( Young Jin Yim ),박수현 ( Soo Hyun Park ),이정진 ( Jung Jin Lee ),( Bagyo Prasetyo ),가종수 ( Jong Soo Ka ),이동희 ( Dong Hee Lee ),조진선 ( Jin Seon Cho ),윤호필 ( Ho Pil Yun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8 No.-

        이 글은 2011년 2월에 이루어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 지대의 거석문화유적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문이다. 한국의 (재)호남문화재연구원과 인도네시아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공동으로 이 지역의 지석묘와 석실묘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지석묘 7개소, 석실묘 7개소, 석상·석물·입석 13개소, 암각화 1개소를 조사하였다. 지석묘는 평야지대에 군집되어 있으며 남방식과 개석식이 공존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연대는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석실묘는 구릉지대에 단독 또는 몇기가 모여 있으며 지하 횡구식이지만 외형만으로는 지석묘와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석실묘 역시 정확한 시기를 알기 어렵지만 철기 유입 이후 지석묘가 발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석상과 석물은 대부분 지석묘나 석실묘와 같은 지역에 공존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 용도와 상호 관계가 파악되지 못하고 있으며 입석은 단독으로 존재한다. 수마트라섬의 파세마고원 지대에 남아있는 많은 거석문화유적은 선사·고대의 동아시아 교류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지만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정밀한 발굴을 통한 정확한 연대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is a survey report on the megalithic monuments of the Pasema area in Sumatra, Indonesia, which was conducted in February 2011. The survey was carried out collaboratively by the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in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of Archaeology in Indonesia, and investigated seven dolmens, seven stone chamber tombs, thirteen stone statues, and one rock carving site. The dolmens, which can be divided into stone-supported type and capstone type, are situated on the plains and their construction dates are difficult to estimate. The stone chamber tombs, which are a side-entrance type, are situated on the low hills, but some of them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apstone type dolmens.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stone chamber tombs is equally ambiguous, although they appear to have developed after the dolmens. Most of the stone statues coexist with the dolmens or the stone chamber tombs, but their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s not clearly understood until now. Menhir exists alone. The megalithic sites of the Pasema area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s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cultural interactions in ancient East Asia. They awaits further investigation, particularly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chronology through systematic excavation.

      • KCI등재

        積石塚으로 본 百濟 建國集團의 南下過程

        임영진(Yim Young-jin) 한국고대학회 2003 先史와 古代 Vol.19 No.-

        While historical documents indicate that Baekje(百濟) was founded in 18 B.C. by immigrants from Koguryo(高句麗) or Puyo(夫餘), it has not been clear whether the immigrants came from Koguryo or Puyo.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mound-tombs(積石塚), the main graves of Koguryo, in the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trongly suggests that the founders of Baekje were immigrants from Koguryo, rather than Puyo. The Stone-mound-tombs, discovered in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Koguryo-type(高句麗式), Baekje-type(百濟式) and Malgal-type(靺鞨式). Among them Koguryo-type provides a key to tracing the migration routes from Koguryo area to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漢江) Valley in Seoul, the key area of Hanseong-period(漢城時代) of Baekje.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mound-tombs of Koguryo-type suggests that immigrants from southern part of the Yalu River(鴨綠江) Valley arrived and established early Baekje in the Imjin River(臨津江) Valley first. Then, they re-moved to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 Valley in Seoul in the mid-third century. The immigrants from Koguryo, coming via Imjin River Valley, built the Koguryo-type large-scale Stone-mound-tombs at Sokchondong(石村洞) as well as a large-scale castle at Pungnapdong(風納洞). From these lines of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suggested that the early Baekje was founded around the late 2nd century in the Imjin River Valley[江北慰禮城時代], and the full-fledged Baekje State begun around the mid-3rd century in the Han River Valley in Seoul[江北慰禮城時代(漢城時代)].

      • KCI등재
      • KCI등재

        호남지역 삼국시대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과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임영진 ( Young Jin Yim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5 No.-

        이 글은 지난 20여년 동안 이루어졌던 호남지역 삼국시대 고고학의 연구 성과를 호남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토광묘·옹관묘·석실묘·장고분·취락과 농경·출토유물·성장 배경과 한계·마한 소국의 수와 위치·백제 병합 시기와 과정 등 9가지 주제로 나누어 검토하고, 용어문제·분구묘의 기원 문제·원삼국시대와의 관계 및 역사적 실체 문제·문헌사 분야와의 연계 문제 등 향후 해결해야 할 포괄적인 문제들을 제기해 본 것이다. 호남지역 삼국시대 고고학 연구는 삼국시대의 역사를 고고학 자료를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것인 만큼 문헌기록이나 그 해석과 별개의 것이 될 수 없다. 그러나 고고학적인 분석과 해석에 선행하여 문헌에 나타난 사건이나 연대 및 그에 대한 문헌사학계의 해석을 염두에 둔다면 고고학 자료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마땅히 고고학적 분석과 고고학적 해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자연환경·생업경제·생산과 유통·사회구조·대외교류 등 시간적·공간적·내용적으로 서로 연계될 수 있는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지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re are some disputes over the time and process that Mahan societies at Homan area were conquered by Baekje.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is disputes is that the research achievements between archaeology and history is not coincides with each other. This paper is made out to review every research papers producted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about pit graves, jar coffins, stone-chamber tombs, jang-go tombs, settlements, agriculture, artifacts, background and limits of developments, number and location of Mahan societies, time and process that Mahan societies at Homan area were conquered by Baekje. The purpose of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Homan area is to make clear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Homan area by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But if we accept the historical documents or the research achievements by historians ahead, the archaeological research to clear up archaeological obscurity becomes even harder. To gain better archae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Homan area, it is important not only to study multy subjects comprehensively, but also the archae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must be preceded by any others.

      • KCI등재

        일반논문 : 오키나와 구스쿠의 축조 배경 -삼별초 세력의 이주 관련성-

        임영진 ( Young Jin Y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2 호남학 Vol.0 No.52

        오키나와 구스쿠는 일본 본토나 중국의 성곽과는 구조적으로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진 성곽이지만 아직까지 출현 시기나 출현 배경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그 동안 오키나와 浦添城 등지에서는 “癸酉年高麗瓦匠造” 명문을 가진 기와들이 출토된 바 있는데 이에 대해 1273년에 고려 공인에 의해 현지에서 제작되었고 이들은 1273년 제주도 항전에서 패하였던 고려삼별초 세력일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오키나와 구스쿠의 가장 큰 특징은 구릉 경사면을 따라 비대칭적으로 축조하되 성 내부 공간이 분할되어 계단상의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는 “중축선 굴절 계단형”이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고려성곽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서 개경성, 강화성, 용장산성 등이 대표적인 유적이다. 오키나와 구스크는 그 구조에 있어서나 출토유물 등에 있어 고려에서 망명한 삼별초 세력에 의해 축조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오키나와에서 고려 기와를 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몽연합군의 원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고려의 석축 성곽을 모델로 삼아 오키나와 주요 지역에 본격적인 석축 구스쿠를 축조하여 대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별초 세력은 점차 현지 토착세력과 연대하여 안정적인 기반을 구축해 나가는 한편 앞선 정치적, 문화적 경험과 다양한 철기, 원해용 선박 등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오키나와가 유구왕국으로 성장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과정에서 삼별초의 후예들은 점차 현지에 동화되어 나가면서 공식적인 기록에는 반영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4세기의 기록에 나타난 명나라와 오키나와 사이의 교역에 있어 말이 대단히 중요한 품목에 해당한다는 점과 오키나와의 여러 민속 가운데에는 세골장과 같이 호남지역과 관련된 민속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은 진도와 제주도 일대에서 활동하였던 삼별초 세력의 오키나와 이주 가능성을 뒷받침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Gusku” at the Okinawa islands is a fortress that has a typical structure. However, the origin of the Gusku is not well understood until now. This paper argues that the roof-tiles discovered at Urasoe-gusku were made by the people who migrated from Korea to Okinawa. The paper further argues that these roof-tiles were produced in 1273, the same year when the Sambyeolcho army was defeated by the allied force of Korea and Mongol. The Sambyeolcho army, which was defeated at the Jeju island, migrated to Okinawa and constructed the fortresses. The army reproduced the Korean-type fortresses at Okinawa, structurally similar to Gaegyeong-seong, as a mean to guard against the allied force of Korea and Mongol. The structures of the Gusku at Okinawa and Gaegyeong-seong at Korea are very similar in that they have several terraced spaces and bended axes.

      • KCI등재

        특집 :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

        임영진 ( Young Jin Yim ) 백제학회 2014 백제학보 Vol.0 No.11

        전남지역은 경기?충청?전북지역과 함께 54개 제국으로 구성된 마한 사회에 속하였으며 서울강남지역에서 건국되었던 백제에 의해 마한 제국들이 병합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맨 마지막으로 병합되었다.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와의 관계 문제를 논하는 데 있어서는 전남지역 마한 제국이 백제에 병합된 시기가 관건이 된다. 근초고왕 24년(369)으로 보는 견해가 통설을 이루고 있지만 성왕 초기에 해당하는 530년경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양자 사이에는 160여 년의 시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느 시기로 보느냐에 따라 마지막 단계의 사회 성격이 크게 다를 수 있으며, 필자는 530년경으로 보고 있다. 전남지역 마한 제국은 청동기시대 지석묘 사회에 세형동검문화가 파급되면서 추장사회(chiefdom)로 출발한 이후, 3세기에는 권역별로 대추장사회(great chiefdom)가 주도하는 연맹체를 형성하여 중국에 견사하는 등의 독자적인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고, 6세기 초까지 백제나 왜와 교류하면서 단절없는 발전을 지속하면서 고대국가에 버금가는 수준에 이르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남지역 마한 제국은 전북 서남부에서 전남 서부로 연결되는 서해안권, 나주를 중심으로 한영산강내해권, 고흥반도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권 등 크게 3개 세력권으로 구분되어 발전하다가 백제의 사비천도에 앞선 530년경에 완전히 병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가운데 남해안권은 백제와 왜 사이의 교류에 있어 비협조적인 지역이 됨으로써 가장 먼저 정복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이에 자극을 받은 서해안권의 비리벽중포미지반고사읍이 스스로 항복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마지막으로 영산강내해권이 백제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내해권의 마한 제국들은 영산강 내해에 고립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교류하여 왔던 큐슈지역이 529년 磐井의 난이 끝나면서 大和정권에 병합되는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남진하는 백제에 군사적으로 맞서기 보다는 평화적인 방법을 택하여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산강유역에서 출토된 6세기 중엽 이후의 백제 은화관식들은 그와 같은 사정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The Jeonnam region, along with the Gyeonggi, Chungcheong and Jeonbuk regions, was the territory of the 54 Mahan statelets and was the last land to be annexed by the Baekje Kingdom, whose early development centered around the current Gangnam district of Seou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Mahan statele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aekje, it is crucial to determine the precise annexation year of the Mahan statelets in the Jeonnam region to the Baekje kingdom. Although the predominant views date this event to be AD 369 in the 24th year of King Geunchogo, this year is not necessarily agreed upon among scholars and some estimate that the annexation was completed as late as around AD 530,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eong. Because a temporal gap of approximately 150 years exists between the two conflicting views, the precise year for the completion of the annexation is of prime importance when we try to understand Mahan in the final stage of its existence. The author himself estimates this to be around AD 530. The Mahan statelets in the Jeonnam region developed from the chiefdom-level societies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lender-Bronze-Dagger culture that spread to the dolmen society of the Bronze age. Around the third century AD, the chiefdom societies developed into allied polities led by great regional chiefs, retaining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These polities continued to grow in relation with Baekje and Wa until the early sixth century AD and eventually reached the level of ancient states. The Mahan statelets in the Jeonnam region developed in three sub-regions: the western coast region (the southwestern region of Jeonbuk and the western region of Jeonnam), the Yeongsan river region around Naju,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around the Goheung peninsula. These statelets were completely absorbed by Baekje around AD 530, prior to Baekje`s transfer of its capital to Sabi. The southern coast region was the first land to be conquered because they behaved in an uncooperative manner in the trade between Baekje and Wa. The statelet in the western coast (Bi-ri-byeok-jung-po-mi-ji-ban-go-sa-eup) surrendered at its will but under this mounting political pressure. The last land to be annexed was the Yeongsan river region. The Mahan statelets in the Yeongsan river region suffered a geographical isolation within the Yeongsan riverbank. The Kyushu region in Japan, which allied with the Yeongsan river region, witnessed the end of the Iwai revolt in AD 529 and was annexed to the Yamato regime. Mahan along the Yeongsan river opted for peaceful resolution, rather than military confrontation, to retain its vested rights. The silver diadem ornaments of Baekje, which were discovered in the Yeongsan river region and dated around the mid sixth century AD, reflect the socio-political atmosphere of this period.

      • KCI등재

        百濟式積石塚의 發生 背景과 意味

        林永珍(Yim, Young-jin)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7 No.-

        서울 석촌동 일대에 남아있는 적석총들은 모두 백제 한성시대 최고지배세력의 고분으로 인정되지만 세부 구조에 있어 고구려식적석총과 백제식적석총으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백제식적석총은 그 발생 문제에 있어 논란이 분분한데 크게 보아 현지 토착세력의 선행묘제가 고구려 적석총의 요소를 도입하여 변화된 것이라는 견해와 고구려의 적석총이 서울지역에 도입된 뒤 외부만 돌로 축조하고 내부는 현지에서 구하기 힘든 돌 대신 흙을 채운 것이라는 견해로 구분되고 있다. 이 문제는 백제식적석총의 주인공이 현지의 선주민인지 고구려계 이주민인지를 구별해주는 중요한 차이임과 동시에 백제의 건국과정이나 지배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관건이 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서울 강남지역에서 고구려식적석총의 도입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던 즙석분구묘가 3세기 중엽경 고구려식적석총의 요소를 도입하여 백제식적석총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한 잘 알려진 가락동 2호분과 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의 즙석분구묘가 추가장에 의한 다장묘이면서 원래 주구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을 감안하여 서울지역 즙석분구묘들이 범마한권의 분구묘와 비슷한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백제식적석총 주인공의 출자 문제를 보다 분명히 함과 동시에 한성백제 건국의 핵심지역인 서울 강남 일대가 원래 마한권에 해당하였던 것임을 논하였다. There are two types of Stepped Stone-mound Tombs in the central area of Packche during the Hanseong period, one is Koguryo-type, the other Packche-type.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of Packche-typ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original Stone-covered Mound Tombs being influenced by the style of the Koguryo-type Stepped Stone-mound Tomb appeared during the middle of third century. It means that the immigrant group using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slowly gained control over the preexisting group using the original Stone-covered Mound Tombs in Seoul area from the middle of third century. The original Stone-covered Mound Tombs in Seoul area have several coffins inside the mound and ditches around the mound. These two elements of several coffins and ditches are equal to the Mound tombs in Chungcheong and Cheolla provinces, the territory of Mahan. It means that Seoul area belonged to the northern part of Maha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Paek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