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the Balanced Approach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on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임양금,김영실 한국유아교육학회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enefits of the balanced approach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children aged three at N kindergarten in K city. Half of them (15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15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A reading ability test developed by Yun (1997) was adapted by the researchers. Green’s name-writing stages (1998) were adapted by the researchers to encompass the structure of Hangeul, the Korean alphabet. Samples of children’s name-writing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frequency, percentage,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M, SD) with the SPSS 11.0 Program. For qualitative analysis, these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levels. The study found first, that the balanced approach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generally improved their reading ability. Second, the balanced approach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improved their name-writ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balanced approach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approach that can be taken to improve young children’s written-language ability.

      • KCI등재
      •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기질 및 교육실습 불안과의 관계

        임양금,정설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기질, 교육실습 불안의 평균을 알아보고, 회복탄력성과 기질과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교육실습 불안, 기질과 교육실습 불안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K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30명, 충청남도 H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52명, 전라남도 S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84명으로 총 166명이다. 연구도구는 회복탄력성 검사(김주환, 2011), 기질 검사(Buss& Plomin, 1984)와 교육실습 불안 검사(신은희, 2003)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론 교과목 수강여부는 교육실습 불안과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하위영역은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순으로 높았으며, 교육실습 불안하위영역은 교육실습평가에 대한 불안요소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점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질의 하위영역은 정서성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활동성, 사회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질 전체와 교육실습 불안 전체의 상관은 .36(p< .01)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기질의 정서성과 교육실습 불안의 유치원직원들과의 인간관계는 .42(p<.01)으로 관련성이 가장 높고, 기질의 하위영역인 활동성과 교육실습 불안의 하위영역인 유아와의 상호작용은 .25(p< .01)으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기질과 회복탄력성과의 관련성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기질의 정서성과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력이 .50(p< .01), 대인관계능력이 .48(p< .01), 긍정성이 .46(p< .01)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불안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전체의 상관은 .12(p > .01)으로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영역별로 살펴볼 경우 교육실습 불안의 하위영역인 유치원직원들과의 인간관계와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인 긍정성이 .24(p< .01), 자기조절력이 .20(p< .01), 대인관계능력이 .18(p< .01)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 불안감의 매개효과

        김길숙,임양금 한국보육학회 2023 한국보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 불안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4년제 대학 1곳, 전라남도, 충청남도 소재 3년제 대학 각 1곳, 총 3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0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문항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학 불안감 점수는 보통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반면, 수학에 대한 불안감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 불안감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주도성은 수학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학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수학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불안감을 낮추고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수학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1)

        강정희,안진경,임양금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수효능감과 조직몰입도의 평균을 알아보고, 회복탄력성과 조직몰 입도의 관계와 교수효능감과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밝히고,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K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64명이다. 연구도구는 회복탄력성 검사(김주환, 2011), 교수효능감 검사(이분려, 1999)와 조직몰입도 검사(강지영, 2009)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하위영역은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순으로 높았으며, 교수효능감 하위영역은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평균점수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도의 하위영역은 정서적 몰입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도 전체와 각 하위요인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조직몰입도 전체에 영향을 주는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한 결과, 긍정성과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이 22%의 설명력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조직몰입도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전체와 하위요인간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질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주제에 따른 탱그램 활동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기하 개념에 미치는 효과

        안진경,김영실,임양금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에 따른 탱그램 활동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기하 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3세, 4세, 5세의 108명 유아들이 전북 J시에 소재한 두 어린이집 두 곳에서 선정되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주제에 따른 탱그램 활동의 통합적 접근에 참여했다. WPPSI-R 지능검사 중 동작성 검사가 유아의 기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에 따른 탱그램 활동의 통합적 접근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기하 개념 점수에 있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주제에 따른 탱그램 활동의 통합적 접근에 참여한 모든 연령의 유아들은 기하 개념 점수에 있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주제에 따른 탱그램 활동의 통합적 접근에 참여한 모든 성의 유아들은 기하 개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theme-based tangram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geometric concept. One hundred and eight 3-5 years 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wo day care centers in J City, Jeon-buk Province.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me-based tangram activities. The WPPSI-R intelligence test was used as pre and post test for assessing the children's geometric concep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ree results. First, the integrated theme-based tangram activities influenced the geometric concept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integrated tangram activities influenced the geometric concept of 3-5 years old children. Third, the integrated theme-based tangram activities influenced the geometric concept of boys and girls.

      • KCI등재

        예비 유아 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

        김영실(Kim YoungSil),임양금(Lim YangKeum),최인숙(Choi InSook),안진경(Ahn Ji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예비 교사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에 따른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44명으로서 질문지를 통해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불안감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불안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교수능력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해서는 예비 교사양성과정에서 과학에 대한 확고한 지식을 쌓게 하고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면서 불안감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scientific knowled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and anxiety toward science according to their grade. A total of 24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 that examined their scientific knowledge, attitude and anxiety toward scienc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scor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ere, the higher scores in anxiety were. Also, as the scor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cientific knowledge got higher, the score in attitude toward science got higher. But the score in anxiety got lower.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for training teachers with science teaching ability, ways should be found to help them have scientific knowledge, increas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So,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for science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or pre-service teachers to gain the proper scientific knowledge,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o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 KCI등재

        유아의 이름글자에 대한 인식

        김영실(Kim Youngsil),임양금(Lim Yangkeu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이름쓰기 단계와 이름 글자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세와 4세 유아 178명을 대상으로, 자기 이름을 쓴 표본을 수집하고 이름글자에 대한 인식을 면접한 후, 그 결과를 연령별로 빈도 및 백분율을 내고 x²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 이름쓰기 단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이름글자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3세아와 4세아 간에 이름을 가르쳐준 대상, 이름쓰기 학습의 목적, 유치원 환경 속의 이름글자, 그리고 친숙한 이름글자에 대한 인식에 있어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가정 환경 속의 이름글자에 대한 인식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ges of children's writing their name and their perception of name letters. 178 children-87 3-year-old children and 91 4-year-old children - were interviewed on the perception of their name letters. And samples of their name-writing were coll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ge of children' name-writing by their ag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 perception on name letter by their age. The 3 year old and 4 year old were different in their perception on goal of learning to write names, person who taught them to write their name, awareness about the name in kindergarten's environment, and familiarity with other name. Bu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bout their name in home environment between them.

      • KCI등재

        유아 미술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정설희(Jeong Seol Hee),임양금(Lim Yang keum),안진경(Ahn Jin 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 미술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논문의 분석 대상은 한국학술진흥 재단의 등재 및 등재 후보지 중에서 유아교육 관련 학회에서 발행하는 일곱 종류의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중 유아 미술과 관련된 61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도구는 선행연구의 기준을 토대로 설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련 논문의 연구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표현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미술과 유아발달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의 연령에서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의 표집 크기에서는 30명 이상~59명 이하의 사례수를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의 경우 양적연구 중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으며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관찰법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차이 검증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a trend in art for early childhood research. Sixty one treatises containing art in early childhood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treatises containing from 7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registered with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analytical tool used in these studies was based on standards set by previous studies,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ir use were calculated from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art express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rt and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the most frequently sampled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Second, in general, children used as subjects in each study ranged from 30 to 59 in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By type, quant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For collecting data, observation Method was used in most of the studies. A majority of the studies used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s the method for data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