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농촌전력화를 위한 개발협력 프로그램

        임소영(Soyoung L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1

        전기는 지난 세기 인류의 삶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인류는 전기를 사용하여 생산성을 증대시켰고, 교육기회의 확대 및 보건위생의 증진과 함께 여성지위 향상의 혜택을 경험하였다. 선진국들은 전기의 유용성을 몸소 경험하여, 경제 개발 단계에서 자국 내의 전기보급에 주력한 결과, 거의 100%에 달하는 국가 전기보급률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최빈국이 밀집해 있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전력사정이 매우 열악하여 여전히 전기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 세계 개도국들의 개발을 위한 노력과 생활여건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전기의 보급을 위해, 특히 에너지안보와 온실가스 감축의 차원에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독립형 전기보급 형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가 보급되지 않는 지역에 대한 전기보급인 농촌전력화는 정책, 제도, 규제, 시장, 금융 등 제도적 인프라와 자연환경, 기술 등 다양한 요소들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통합적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며, 따라서 단일 프로젝트보다 프로그램 형식으로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논문은 개도국에 대한 전기보급 지원의 당위성을 객관적인 데이터와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사업규모 및 전력화 형태, 사업주체, 에너지원 종류 등 다양한 기준에의한 유형별 전기보급 인프라 사업의 특성을 점검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개도국의 지역별, 국가별, 에너지원별 현황을 조사 · 분석하고, 우리나라 무상협력 대상국들의 농촌전력화 프로그램 필요성을 진단하여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한 국가군들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의 협력대상국들이 농촌전력화 프로그램의 지원을 절실히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농촌전력화 배경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선택, 수립, 이행, 평가의 프로그램 전 개발 단계별로 인지해야 하는 고려사항 및 유의점, 그리고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농촌전력화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동안의 우리나라 원조 경험과 개도국의 수요를 감안하여 도출한 성공적인 농촌전력화 프로그램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도기반의 마련, 인프라 확대, 역량강화, 시장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농촌전력화 프로그램의 수행사례에서 얻을 수 있었던 농촌전력화 프로그램의 성공요인과 도전과제들을 확인하고, 또한 농촌전력화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지원할 시 유의할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유 · 무상 통합국가지원전략 등 개발협력 전략 및 계획 수립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icity has innovated lifestyles in the world during the last century. We could have enhanced productivity, increased in the years of schooling, improved public health, and reduced gender inequalities with the help of electricity. Recognizing the effectiveness of electricity, developed countries have made great efforts on expanding the generation and deployment of electricity in their countries, and almost all people could have benefited from the use of electricity. However, many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especially sub-Saharan Africa and South Asia still lack electricity. In these countries, decentralized off-grid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using renewable energy has been the focus of attention in terms of energy security an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Rural electrifi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institutional system, natural resources and technology, which requires a comprehensive programmatic approach to implement rather than a stand-alone project approach. The rationale for supporting of electricity supply in developing countries was examined in this paper through the data regarding the energy condition on the basis of regional and country level. The types of technologies for rural electrification were categorized by three criteria, which are the relation with the grid, the main agent in charge of rural electrification, and the type of energy resources. This paper selected the countries in urgent need of a rural electrification program out of the partner countries in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The selected countries are mostly from Africa and Asia. I defined a development model for a rural electrification program here. The phase of this program was separated into choic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hases. The model suggested check-points to consider in each phase and four component modules considering out comparative advantage and needs from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system formation, infrastructure installation, capacity building, and market revitalization. In conclusion, the challenging obstacles against developing a successful rural electrification program as well as the preconditions for it a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 SCOPUSKCI등재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MG-63 조골세포 증식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임소영(Soyoung Lim),임재윤(Jae-Yoon Leem),이충수(Choong-Soo Lee),장여정(Yu-Jung Jang),박정우(Jeong-Woo Park),윤선(Sun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부위, 추출 용매, 산 가수 분해 전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FRAP assay를 실시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물 처리가 조골세포 증식률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시오가피의 골다공증 예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과 FRAP법으로 측정된 항산화 활성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은 함유된 폴리페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산 처리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오가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조골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가피의 물 추출물은 조골세포에서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는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전처리 과정에 따라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결과는 가시오가피의 가공법을 선정하는데 고려 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과 조골세포 증식 효과가 제시되었다. 한국산 가시오가피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물 실험과 인체 시험을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canthopanax senticosus is a common Asian herb also known as “Siberian Ginseng”. It is often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reducing damage in the liver, kidney, bone and muscl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ethanol-/water-extracts obtained from the stems and leav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Osteoblast cellular prolifer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s in the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exerted remarkable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nd contained high amount of phenolics. Among the extracts the stem-/ethanol-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Interestingly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p<0.01). Proliferation of MG-63 osteoblast cells was highest in the stem-/ ethanol-extract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ater-extract of the stems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have antioxidant activity for preventing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and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one health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 cells.

      • KCI등재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개발금융기관의 전략적 접근법 분석과 시사점

        임소영 ( Soyoung L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의 참여 아래 전 지구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금융기관(DFIs)의 기후변화 분야에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독일투자개발공사(DEG)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려는 기업을 직접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현지 기업과 협력하여 특정 사업장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하거나 재생에너지를 설치하는 활동을 지원한다. DEG의 기후변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은 주로 송배전과 폐기물 처리, 대규모 물공급 및 위생 등 규모가 큰 인프라 지원을 중심으로 하며, 중저소득국과 고중소득국을 대상으로 한다. 미국 해외민간투자공사(OPIC)는 ODA 성격의 사업은 전혀 수행하지 않고 철저히 기타공적지원(OOF) 중심으로 지원한다. OPIC은 기후변화 관련 분야들 중에서 특히 재생에너지 지원 사업에 중점을 두고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공급 사업을 확대하는 중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의 ODA는 거의 대부분 양허성 차관으로 수행되며, 기후변화 관련 섹터의 경우에 대규모 인프라 중심으로 사업을 지원하면서 최빈국에게도 상당한 규모의 지원을 한다. 복잡하고 다양해진 개발요구와 기후변화 대응 수요를 충족하려면 지금까지 사용해 온 무상증여와 양허성 차관 중심의 단순한 지원수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현재 우리의 여건에서 DFIs의 기능과 역할을 반영한 사업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The role of the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DFIs) to address climate change in worldwide efforts has been highlighted. DEG is running the program which aims at mobilizing additional actors from the private sector for climate prot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climate-friendly technology. DEG implements mostly large-scale projects, such as in the area of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waste disposal, forestatio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OPIC does not deliver ODA projects, but it supports OOF projects instead. OPIC focuses on the aid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among climate-related areas. It has increased in the amount of aid for providing electricity using renewable energy in the Sub-Saharan Africa since 2012. KEXIM bank administers ODA mainly through concessional loan. It supports primarily large-scale infrastructure projects in the area of climate change. The OOF provided by the KEXIM bank mostly goes to the energy sector in Vietnam and Indonesia. We have to plan innovative business models into which the function of the DFIs is fed to meet the tremendous demand for development and combating climate change.

      • 합성곱 신경망 기반 회귀 문제에 대한 클래스 활성화 맵 활용에 관한 연구

        임소영(Soyoung Lim),문지유(Jiyu Moon),류승형(Seunghyoung Ryu)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딥러닝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기존 결과를 뛰어넘는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으나, 모델의 복잡성에 따른 블랙박스적 특징으로 인해 추론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XAI) 기술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클래스 활성화 맵(CAM)은 CNN 기반 분류 모델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XAI 기술로서, 본 연구에서는 회귀 문제에 대한 클래스 활성화 맵 기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일 데이터셋에 대한 분류 및 회귀 모델의 GradCAM 및 GradCAM ++알고리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 KCI등재

        광주지역 유통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평가

        임소영(Soyoung Lim),문수진(Sujin Mun),이다빈(Davin Lee),양용식(Yongshik Yang),김여경(Yeo Kyung Kim),김혜진(Hye Jin Kim),정혜진(Hye Jin Jeong),김진영(Jinyeong Kim),박수정(Su Jung Park),기혜영(Hye Young Kee),이향희(Hyang Hee Lee),박정희(J 한국농약과학회 2024 농약과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est method and principal items for residual pesticides and to evaluate potential risks to human health from contaminated agricultural products in Gwangju. GC-MS/MS and LC-MS/MS were performed on 12,817 samples collected from 2020 to 2022 and analysis for 311 (from Jan 2020 to Sept 2021) and 340 (from Oct 2021 to Dec 2022) pesticides was performed using multi-residue methods included in the Korean Food Code. The detection rates and violation rates that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showed a steady increase to 45.8% (1.0%) in 2020, 47.1% (1.4%) in 2021, and 54.2% (2.8%) in 2022.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test method and principal items, the detection rates and violation rates increased from 45.7% (1.2%) to 53.9% (2.6%). The contaminated agricultural products mainly included leafy vegetables and stalk and stem vegetables, and crown daisy was the most contaminated agricultural product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A continual increase in the rates of multi-residue pesticides detected has been observed over the past three years (51.2%, 51.6%, and 64.0%). Diazinon (10), Fluopyram (12), and Dinotefuran (14) were the pesticides detected most frequently by year. The results of risk assessment showed that the hazard index was below 100% for the contaminated agricultural products, which was confirmed as a safe level.

      • KCI등재

        다채널 음향방출 신호에 대한 딥러닝을 통한 3차원 위치 표정

        임소영(Soyoung Lim),서호건(Hogeon Seo),이항로(Hang-Lo Lee),김진섭(Jin-Seop Kim)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2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음향방출 신호로부터 발진 위치 좌표를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활용함에 있어서 손실함수 및 데이터 전처리 조건에 따른 성능을 평가했다. 7 채널의 음향방출 신호를 이미지 형태로 모델의 입력으로 활용하였고, 출력은 X, Y, Z 좌표를 각각 출력하는 경우와 한 번에 출력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딥러닝 모델로는 EfficientNet B3을 활용했으며, 평가지표는 평균 절대 오차를 채택했다. 손실함수로는 평균제곱오차와 평균절대오차, 시계열 데이터 전처리 기법으로는 스케일링(MinMaxScaler, StandardScaler, MaxAbsScaler), 신호 전처리(Abs, MA, LPF), 샘플링 길이(1024, 512, 342)에 따른 위치 표정 성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손실함수로는 평균제곱오차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했고, 스케일링으로는 MaxAbsScaler가 효과적이었다. MaxAbsScaler 적용 후, 절대값을 취해준 후 저역통과필터나 이동평균을 적용한 데이터의 단순화는 성능에 악영향을 미쳤다. MaxAbsScaler 적용 후, 512 개만 샘플링 했을 때 더 좋은 성능을 보였고, X, Y, Z의 각 좌표를 개별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이 최고 성능을 보였다. This study evaluated source localiz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loss function and preprocessing conditions when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hat predicts the source coordinates from multi-channel acoustic emission signals. Signals of seven channels were fed as input into a model in the form of an image, and two output cases were considered: outputting X, Y, and Z coordinates one at a time and outputting them at the same time. EfficientNet B3 was used as the model, and the mean absolute error was adopted as the performance index. Mean square error and mean absolute error were used as loss functions.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respect to scaling (MinMaxScaler, StandardScaler, MaxAbsScaler), preprocessing (Abs, MA, LPF), and sampling length (1024, 512, 342). The results show the advantage of using the mean squared error and the effectiveness of MaxAbsScaler. After applying MaxAbsScaler, the simplification of the data, such as taking the absolute value, and applying a low-pass filter or moving average method,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performance. The MaxAbsScaler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when 512 samples were input, and each coordinate of X, Y, and Z was separately estim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