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리 및 지연손해금의 약정에 대한 이자제한법의 규율

        임선지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8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원금 1억 원을 대여기간 24개월, 이자 월 1.5%(매월 말 변제)로 정하여 대여하면서 이자 지급을 지체할 경우에는 이를 원본에 산입하여 복리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리에 관한 이자제한법의 해석 문제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서 지연손해금의 약정’ 및 ‘지연손해금이 간주이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해석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먼저 금전소비대차계약에서 약정지연손해금률이 이자제한법상 최고이자율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는지는 이자제한법 제4조의 간주이자에 지연손해금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한 해석의 문제로 귀착되는데, 이자제한법 제4조에 적시된 ‘예금, 할인금, 수수료, 공제료, 체당금’ 등은 열거가 아닌 예시에 불과한 점, 지연손해금 역시 ‘명칭에도 불구하고 금전의 대차와 관련하여 채권자가 받은 것’에 해당하는 점이나 이자제한법의 입법 목적 등을 고려하면, 지연손해금도 간주이자에 포함되고 이에 따라 금전소비대차계약의 약정지연손해금률 역시 이자제한법상 최고이자율의 범위로 제한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또한 현행 이자제한법 제5조의 복리약정제한 규정의 적용범위에 관하여는, ① 이자의 변제기가 도래한 후 새로운 합의로 이자를 원본에 산입하기로 하는 약정(사후복리약정)과 ② 이자의 변제기가 도래하기 전에 미리 복리에 관한 약정을 하면서 이자 지급의 지체를 정지조건으로 원본에 산입하기로 하는 약정(정지조건부 사전복리약정)의 경우에는 그 이율 자체가 제한최고이율의 범위 내에 있는 이상 유효하지만, ③ 이자 발생과 동시에 지체 여부를 불문하고 당연히 원본에 산입하기로 하는 약정(무조건부 사전복리약정)에서는 원본에 산입된 당초의 이자와 그 이자에 대한 복리의 합계액이 최초 원본에 대한 관계에서 제한최고이율의 범위 내에 있어야 유효하고 이를 초과하는 부분은 무효라고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위의 세 가지 유형 어느 경우에나 복리를 포함한 이자 전체의 합계액이 원본에 대한 관계에서 제한최고이율을 초과하면 그 부분은 무효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복리약정제한 규정의 문언 자체에 의하더라도, 예컨대 독일 민법과 같이 ‘사전의 약정’에 한하여 복리를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자에 대하여 다시 이자를 지급하기로 하는 복리약정’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으므로, 굳이 약정의 시점을 한정적으로 좁혀 해석할 만한 근거가 없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의 이자 부담을 경감하려는 이자제한법의 목적에 비추어 보더라도 변제기 이전의 약정과 이후의 약정을 달리 취급할 만한 합리적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에 따라 계산한 이자를 그 지체 여부를 불문하고 원본에 산입하여 그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것(무조건부 사전복리약정)이나, 기발생 이자에 대한 이행지체를 조건으로 원본에 산입하여 그에 대한 이자(지체를 조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지연손해금의 요소를 포함한다)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것(정지조건부 사전복리약정)이나 간에 지연손해금이 간주이자에 해당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결국 이자제한법 제5조의 복리약정제한 규정은 약정의 시점이나 기발생 이자의 지체를 조건으로 원본에 산입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모두 포괄적으로 규율하는 것이라고 보는 ... Article 5 of Interest Limitation Act prescribes that “Any agreement on compound interest stipulating that interest shall be paid again on such interest shall be void with respect to any amount equivalent to the portion exceeding the maximum interest rate under Article 2⑴.” For the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provision, it is quite helpful to delve into the issues of overdue interest agreement as a form of estimated compensation payments and the scope of the deemed interest in Article 4⑴ thereof. As the items referred to under Article 4⑴ such as a deposit, rebate, fees, deduction, or substitute payment are only meant to be exemplifications, compensation payment in the form of overdue interest should be interpreted as deemed interest in the sense that overdue interest also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any monetary amount received by the creditor in connection with a loan’. Therefore overdue interest rate in loan transaction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maximum interest rate under Article 2⑴. As such, we can best serv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Act, which is to contribute a stable economic environment for the public and to realize economic justice by prescribing appropriate limits to interest rate. As for the scope of Article 5’s application, the ‘Agreement on Compound Interest’ should be interpreted as any agreement for payment of compound interest regardless of the time of its conclusion, and whether it is stipulated as conditional upon the non-performance of past due interest or not. Therefore, if the whole monetary amount which is calculated as interest and compound interest exceeds the amount calculated by applying the maximum interest rate specified on Article 2⑴ for the original principal amount, the excess portion shall be deemed invalid with respect to the compound agreement even if that is concluded after as well as before the due period of interest payment or the scheduled payment of compound interest is stipulated as conditional upon the non-performance of past due interest. As such, closely related provisions of Interest Limitation Act on compound interest agreement and deemed interest can be better interpreted in a harmonious way. Further, in the perspective of de lege ferenda, it is desirable to amend Article 4⑴ into a clearer expression, such as “the amount a creditor receives in connection with a loan, no matter how the items are referred to, such as a deposit, rebate, fees, deduction, overdue interest, or substitute payment, shall be deemed interest.”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이 상호 교차하는 경우에 관한 규율 - 취소채권자에 대한 부인권 행사를 중심으로

        임선지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A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avoidance power have their common roots in Roman legal doctrine of actio pauliana, and they serve almost the same purpose which is to recover the assets fraudulently transferred or concealed by the debtor to secure a joint security for the benefit of all creditors. Meanwhile, different issues can be raised in a case where a trustee in a bankruptcy process tries to exercise her avoidance right against a creditor, who successfully revoked a fraudulent transfer between the debtor and a transferee and restored the previously transferred asset, consequently collecting her own claim before declaration of bankruptcy, and the trustee argues to deny the realization of a claim by the foregoing creditor who exercised the right of revocation against the debtor’s fraudulent transfers. This article aims to delve into proper solutions in cases where the right of revocation and the avoidance power are exercised to contradict and mutually negate each other, by examining the Korean Civil Act in the light of comparative legal studies of foreign jurisdictions and de lege ferenda.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lative effect theory adopted by Korean court rulings and legal academia regarding the effect of a creditor’s revocation on a debtor, the restored asset remains as the transferee’s own property despite the transfer of the registered title from the transferee to the debtor by means of restoration (thus a discrepancy happens between the nominal title and the substantial ownership). This leads to the fact that the restored asset does not constitute the debtor’s executable property responsible for her creditors in general, that the creditor’s collection can not be evaluated as a harmful transaction diminishing the value of the debtor’s executable property, and that the trustee may not challenge the creditor’s collection as a transaction subject to the exercise of the avoidance power. In Germany, France, and Anglo jurisdictions, the ownership title is not restored to the debtor even if a creditor exercises her revocatio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2017 amendment of the Japanese Civil Code accepted the absolute effect theory and discarded the relative effect theory that was built over a long time through court rulings and legal practices. This is unprecedented legis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and thus needs to be prudently examined to see if there will be any unexpected complications or legal instabilities. Further, Korean court rulings and legal academia interpret that the scope of creditors who are affected by creditor’s revocation and thus can claim their rights to distribution from the restored asset in civil execution procedures provided in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are confined only to such creditors who had previously acquired their claims before the revoked fraudulent transfer. This interpretation can also make the revoking creditor’s collection from the restored asset unavoidable in the following bankruptcy process, because creditors who are afforded protection of Article 407 are not creditors in general that constitute total creditors protected by the equitable doctrine in bankruptcy process. In Germany, France, and the Anglo jurisdictions, a creditor’s revocation does not affect other creditors unless those creditors do not successfully exercise their own revocation rights. In order to allow creditor’s revocation to accomplish its own roles separated from trustee’s avoidance, it is not desirable for the trustee to be vested with the overwhelming avoidance powers to cancel the effect of the creditor’s previous revocation.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은 채무자의 사해행위로 일탈된 재산을 회복하여 총 채권자의 이익을 위한 공동담보를 확보한다는 공통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그런데 도산절차 밖에서 취소채권자가 수익자 등을 상대로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확정판결을 받고, 사해행위로 일탈되었던 책임재산을 수익자 등으로부터 회복한 후 그 재산에서 자신의 피보전채권을 만족시킨 경우 그 이후에 개시된 채무자에 대한 도산절차에서 관리인 등이 위와 같은 취소채권자의 채권실현행위를 부인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 된다. 위와 같이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이 상호 대립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의 성격이나 역할, 상호관계 등을 보는 관점에 따라 상반된 검토가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부인권 행사 여부가 문제 되는 취소채권자의 행위는 원상회복행위 그 자체라기보다는 그 후 회복된 재산을 재원으로 한 피보전채권의 실현행위이고, 구체적으로는 회복된 재산에 대한 채권실현 방법에 따라 집행절차를 통한 배당금수령행위 또는 수령한 금전에 의한 피보전채권 충당행위로 특정하였다. 먼저 사해행위취소의 채무자에 대한 효력에 관하여 우리나라의 통설·판례가 취하고 있는 상대적 효력설에 의하면, 사해행위취소판결로 회복된 재산은 취소채권자 및 민법 제407조에 의하여 채권자취소의 효력을 받는 채권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채무자의 책임재산으로 취급될 뿐 채무자가 직접 그 재산에 대하여 어떠한 실체적 권리를 취득하는 것은 아니며, 채권자취소로 인한 원상회복의 결과 등기나 등록을 요하는 재산이 채무자 명의로 회복되더라도 그 재산은 여전히 수익자의 소유로서, 다만 취소채권자 등의 강제집행을 당할 수 있는 부담을 지는 데 불과하다. 이에 따르면, 취소채권자가 회복된 재산에서 강제집행절차에 의하거나 또는 수령한 금전으로 바로 피보전채권을 만족시키는 행위를 하였더라도 이와 같은 배당금수령행위나 피보전채권 충당행위는 채무자 소유가 아니었던 재산을 재원으로 한 것이어서 사해행위 또는 편파행위 등 부인대상행위가 되기 위한 공통적 요건으로 유해성을 구비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사해행위취소제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독일, 프랑스, 미국에서는 사해행위취소청구가 인용되더라도 일탈재산이 채무자의 재산으로 복귀되지 않으며 여전히 수익자 명의로 남겨둔 채 취소채권자가 마치 채무자의 책임재산인 것처럼 취급하여 강제집행을 할 권한을 가지게 될 뿐인데, 이와 같은 비교법적 검토 역시 중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다만 일본의 2017년 개정 민법은 종래 판례를 통해 구축되어 온 상대적 효력설을 폐기하고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이 채무자에게도 미친다는 절대적 효력설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비교법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뿐 아니라 로마법의 파울루스 소권에서 출발하여 도산절차상 부인권과 분화되어 발전해 온 채권자취소권의 본질과도 정합되지 않으며 오랜 시간을 두고 정착되어 온 법리를 입법의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어서 새로운 혼란을 초래하거나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도 배제하기 어려우므로, 이와 같은 방향의 민법 개정에 대하여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이 미치는 채권자의 범위에 관하여 우 ...

      • KCI등재

        공법상 계약과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해지권 - 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임선지 법제처 2023 법제 Vol.700 No.-

        민간투자법에 의한 실시협약은 생산활동의 기반이 되거나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운영을 목적으로 주무관청과 사업시행자 사이에 체결되는 공법상 계약이다. 공법상 계약에 대하여는 그 근거가 되는 개별 법령이나 일반 행정법의 관련 규정 외에, 계약 일반을 규율하는 민법 또는 계약법리가 그 공적 성격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현대의 시장경제체제에서 도산채무자의 효율적 재건이나 공정한 청산을 도모하는 채무자회생법의 미이행쌍무계약 해지규정은 강행규정으로서 공법상 계약에 대하여도 적용된다. 사회기반시설의 건설 이후 운영단계에서 실시협약이 미이행쌍무계약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상대방에 대하여 상호 부담하는 잔존 의무의 실체가 무엇이며 그것이 민간투자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상호 대등한 대가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가려야 하고, 의무가 법률의 규정에 따라 발생한 것인지 여부나 이행이 완료된 부분의 법적 성격이 물권인지 여부 등 형식적 기준에 따라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협약에서 사업시행자의 파산 등을 사유로 주무관청에게 해지권을 부여하는 조항은 도산해지조항에 해당한다. 종래 도산해지조항의 효력과 관련하여 미이행쌍무계약에서 파산관재인에게 계약의 이행・해지 등에 관하여 선택권을 부여한 의미가 몰각될 수 있다는 근거에서 무효라고 보는 경향이 있으나, 특수한 유형의 거래 등 일정한 경우에는 그 효력을 긍정하는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으며, 실시협약 역시 사업시행자가 도산으로 인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무관청이 도산해지조항에 따라 이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할 공익상의 필요가 크다. 그러나 실시협약상 도산해지조항에 근거한 약정해지권이 인정된다고 해서 채무자회생법상 미이행쌍무계약 해지규정에 의한 법정해지권이 배제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 양자는 병존할 수 있다. 민간투자사업이 중도에 해지되는 경우 주무관청이 사업시행자에게 지급할 해지시지급금의 산정방법 및 기준은 사업의 성격, 해지사유의 귀책 외에도 관리운영권(사업권)이 거래되는 시장의 성숙도 및 활성화 정도, 금융조달의 용이성 내지 그 비용 등 제반 고려사항에 대한 정책적 판단의 결과이고, 이를 전제로 실시협약의 다른 조건들이 설계되는 것이므로, 사업시행자에 대한 파산절차에서 파산관재인이 실시협약을 해지하고 주무관청에 해지시지급금을 청구한다고 하여 본래 사업시행자에게 귀속된 운영 위험이 주무관청으로 부당하게 전가되는 것이라거나 도덕적 해이를 초래하는 것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또한 실시협약에서 파산 등 사업시행자의 귀책사유에 근거하여 주무관청이 해지권을 행사한 때에 주무관청이 지급할 해지시지급금에 관한 조항을 둔 경우 이러한 기준이 미이행쌍무계약 해지규정에 따라 파산관재인이 실시협약을 해지한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인지 여부는 당사자의 의사해석의 문제로서 구체적 사실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업시행자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된 경우에 지급할 적정한 해지시지급금의 산정기준과 정산방법을 미리 정비하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성(性)적 마스커레이드를 통해 고찰한 패션사진의 유형 성(性)적 마스커레이드를 통해 고찰한 패션사진의 유형

        선지,은혁 복식문화학회 2015 服飾文化硏究 Vol.23 No.1

        This study, which focuses on a masquerade, starts from the concept that all men exist as visual objects as well as visual subjects before discussing an issue of sexuality to inquire into masquerad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hotography. Masquerade is a concept that can describe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of humans in social norms prescrib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till now, and the concep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fashion. However, it is considered a measure to analyze contemporary expressions of sexuality, on which a need for this research is raised. This study looks into the basic concept of the object and the ego through a psychoanalysis-relate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then inquires into Jacques Lacan's notion of gaze and Roger Caillois's theory of mimicry through related specialty publications. This study reinterprets the concept of masquerade from Lacan's perspective and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masquerade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based on the result drawn in parallel. Sexual masquerade shown in fashion photography based on the concept of masquerade is as follows: first, it appears as normative sexual description,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by social norms; second, sexual ambiguity, obscur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rough playful and bombastic forms; and lastly, sexual subversion, disguising as the opposite sex through putting on clothes of the opposite sex.

      • KCI등재

        연구논문 : 무정형 패션에 대한 동,서양의 시각 비교

        선지 ( Seon Ji Park ),은혁 ( Hyuk Yim Eun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4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6 No.6

        This study deals with formlessness designs that indicate a variety of related shapes between the human body and clothes depending on the 2D shape of fabric rather than a cubic and clear shape of fabric proportional to the human body. There have been formlessness fashion designs since the 1980s; however, there has been no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formlessness fashion designs. This study focuses on how formlessness clothing was named for clothes with no specific shape due to recognizing the body as a flat surface as referred in various prior studies and how a formlessness design is expressed. This study reviews formlessness designs from the viewpoint of eastern concepts as well as from the viewpoint of ancient Greek clothes to understand how eastern and western designers approached formlessness designs. We also simultaneously utilize a literature research and a case study of actual work. The scope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case of female clothing starting from the 1980s when the formlessness trend first appeared.

      • KCI등재

        1960년대 『새농민』표지에 표상된 여성 이미지

        선지,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시각매체에 재현된 여성 이미지는 여성성에 관한 이데올로기의 표상에 적극적으로 이용되어왔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에 대중매체의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본격적으로 대중사회로 전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여성의 초상이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대중매체가 정비되던 1960년대의 지배적 담론은 농업의 근대화로『새농민』을 비롯한 관제 대중매체가 이러한 농촌 근대화 담론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60년대관제 농민 잡지『새농민』표지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여성 이미지의 재현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1960 년대의 잡지를 통한 매스미디어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조사한 후, 사례 연구를 통해 1961년 10월 창간호부터 1966년 12월호까지의 총 99권의『새농민』의 표지를분석하였다. 잡지 표지에 사용된 사진은 독자에게 잡지의 내용을 1차적으로 이미지화해서 전달하여 독자의흥미를 유발하고 구매 의욕을 자극하며, 당시 사회문화적 배경 및 이데올로기를 내포한다. 본 연구의『새농민』표지 분석 결과, 1960년대『새농민』의 표지에 재현된 여성의 이미지는 다음의 세 시기로 파악되었다. 제 1기의 표지는 이상적인 ‘새농민’의 모습을 전파하기 위해 실제 농민 여성을 모티프로 한 농민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났고, 제 2기에는 대중에게 정부 정책과 농촌 근대화 담론을 호소하기 위해 농민 역할의 여자 연예인으로 변화되었으며, 마지막 제 3기에는 대다수의 국민이 구독하는 대중잡지로 변모하면서 유행을 전파시키는 패션모델로서의 여자 연예인의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잡지 표지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가당시 해당 잡지가 형성하는 담론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과 당시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여성상이 변화함에 따라 잡지 표지의 여성의 이미지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Female images represented in visual media are utilized to symbolize female ideologies of the time. In the 1960s, Korea was transitioning to mass socie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the course of which female images were frequently used. Alongside the organization of mass media of the 1960s,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time was the modernization of an agricultural community for which the government magazine『Saenongmin』supported the idea. The study examines the role of mass media through the use of a magazine in the 1960s and analyzes changes in the covers of『Saenongmin』in order to investigate how women were represented and examine its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magazine. As for the method of study,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oretically examine social backgrounds of the time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the magazine『Saenongmin』; the covers of the total of 99 issues from the first issue of october 1961 to the final of december 196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age of women that appeared in the cover of『Saenongmin』in the 1960s was divided into a female farmer(the first period), a female celebrity playing a role of a farmer(the second period), and a female fashion model(the third period). The images of women were used to disseminate the image of ideal new farmers based on realistic female farmers in the first period, to effectively spread governmental policies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on the back of public support in the second period, and to disseminate trends as the magazine was transformed into mass media subscribed by general public in the third period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female images represented in the covers of the magazin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discourses and were embodied as corresponding images.

      • KCI등재

        패션과 건축에 표현된 기능주의적 미니멀리즘 비교

        선지 ( Seon Ji Park ),은혁 ( Eun Hyuk Yim ) 한국의류학회 2013 한국의류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conceptually approaches and clearly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ashion and architecture through a focus on their correlations.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functional minimalism by an examination of function that represents the largest similarity between architecture and fashion. This study classifies the nature of functional minimalism and studies cases for each architectural classification in the areas of: the simplicity of a structure, unitarity pursuit of economic value, repeatability in an efficiency unit, reducibility stressing property, and multi-functional spatiality.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inimalism fashion are distinguish as: simplicity in a structure that highlight structural lines in non-decorated design, unitarity pursuit of economic value represented in united process and pattern for its economic effect, repeatability in an efficiency unit represented through the repeated decoration of a functional unit, reducibility stressing a property that emphasizes property with a dominant design element through a high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multi-functional spatiality that represents variability in clothes through an expansion of limited spatial function. This study approaches each discipline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nd suggests standards for a comparative study of architecture and fashion.

      • KCI등재

        성(性)적 마스커레이드를 통해 고찰한 패션사진의 유형

        선지 ( Seon Ji Park ),은혁 ( Eun Hyuk Yim ) 복식문화학회 2015 服飾文化硏究 Vol.23 No.1

        This study, which focuses on a masquerade, starts from the concept that all men exist as visual objects as well as visual subjects before discussing an issue of sexuality to inquire into masquerad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hotography. Masquerade is a concept that can describe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of humans in social norms prescrib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till now, and the concep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fashion. However, it is considered a measure to analyze contemporary expressions of sexuality, on which a need for this research is raised. This study looks into the basic concept of the object and the ego through a psychoanalysis-relate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then inquires into Jacques Lacan``s notion of gaze and Roger Caillois``s theory of mimicry through related specialty publications. This study reinterprets the concept of masquerade from Lacan``s perspective and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masquerade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based on the result drawn in parallel. Sexual masquerade shown in fashion photography based on the concept of masquerade is as follows: first, it appears as normative sexual description,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by social norms; second, sexual ambiguity, obscur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rough playful and bombastic forms; and lastly, sexual subversion, disguising as the opposite sex through putting on clothes of the opposite sex.

      • KCI등재

        패션 광고에 표상된 남성 몸에 관한 담론

        선지(Seon Ji Park),은혁(Eun Hyuk Yim) 한국복식학회 2013 服飾 Vol.63 No.6

        In this study, the image of the male body represented in fashion advertisement is analyzed based on discourses on the male body. Fashion brand advertisements, which emphasized the images of the male body, were selected from two magazines: GQ, a men`s magazine, and VOGUE, a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 The published dates of the selected images were from Feb. 2010 to Oct. 2012, and these imag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results of the discourse on the male body appearing in fashion advertisement based on the discussion of changing masculinity suggests the following 4 features: i) macho, powerful and muscular male representing the hegemonic manhood; ii) refined and decorated male representing the wealthy and disengaged figure of a successful businessman; iii) androgynous male represented by the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embedded in gender; iv) as an aesthetic object, the male with sex role of changed from a subject to an ornament, whose body becomes the object of voyeuristic view.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ideal and modern masculinity, and in particular, attempted to offer suggestions in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ale body image depending on the consumer type in order to enhance the brand image. This new masculinity is thought to be a foundation on which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s suitable for the demands of future customers can be p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