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숙이 경숙아버지>에 나타난 경계성의 미학 - 아버지 부재와 경숙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임보람 ( Im Bo-ram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50

        이 글은 연극 <경숙이 경숙아버지>에서 나타나는 ‘경계성(in-betweenness)’이어떻게 연극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 이를 다양한 극적 표현기법과 연극 기호 등을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경숙이 경숙아버지>의 서사에서 논의의 중심이 될 ‘경계성’은 아버지의 부재에서 비롯된 가족의 해체와 복원 사이에서 발생한다. 서사의 중심에 있는 주인공 경숙이는 이 연극을 가족서사로 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경숙이는 드라마적인 텍스트에서 내적화자로서 일종의 나래이터의 역할을 하며 극의 서사구조를 생산하는 서사적 주체이다. 이 극적 주체는 자신이 경험한 과거의 시간을 극적 시간으로 ‘현재화’하여 그것을 무대 위에 구현한다. 등장인물이 한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가족 단위의 서사 형성에 적극적으로 기여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가족서사라고 볼 수 있다. 가족서사는 박근형 연극을 이해하는 주요 키워드가 되어왔다. 그러나 이 작품은 박근형이 연출했던 작품들에서의 가족서사와 변별지점을 갖는다. 이들 작품들에서는 가족구성원에 의해 전통적 가족이데올로기가 부정되고 해체되면서 발생하는 경계의 지점들이, 관객에게 가족의 의미를 끊임없이 환기하면서 궁극적으로 가족 정체성의 주제로 수렴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경계의 지점들은 관객들에게 가족의 의미를 묻기도 하지만 그보다 경숙이가 가족을 통해 개인으로서 성장해나가는 과정에 무게를 둔다. 따라서 이 글은 경숙이의 성장에서 발견되는 복합적인 가족 구성의 과정이 경숙이가 아버지의 꼭짓점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도록 하는 서사적대응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 지점에서 아베와 경숙와의 긴밀한 관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아베의 꼭짓점에서부터 발생하는 경계성의 미학이 중요한 극적 장치로 활용되고 있는지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극적 장치는 첫째, 무대 공간에서, 둘째 인물형상화 양상에서, 그리고 셋째 주제적 의미에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how ``in-betweenness`` in drama < Kyoongsuk, Kyoongsukiabuji > is dramatically projected in narrative perspective through dramatic techniques of expression and symbols. There``s a main character Kyoongsuk at the center of narratives in < Kyoongsuk, Kyoongsukiabuji >. Kyoongsuk takes the role of narrator; inner speaker in the dramatic text and becomes a main agent who produces a narrative structure. The way this main character narrates is to bring her own past memories into present time dramatically and portraits them on the stage. Kyoongsuk passes her family stories to the audiences. Assuming ``narration is the way each every one perceives the world around them``, her family narrative is the way of her comprehending herself through her family. In other words, the drama``s inner communication structure, the narrator Kyoongsuk understands father while speaking of father and finds her own way to find the meaning of her family. In the sense that character who is the one of family members contru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narration, this drama can be comprehended as a family narrative which was necessarily needed in understanding Park Geun-Hyoung``s drama. However, we can notice differences between this dram and Park Geun-Hyoung``s narratives which we can find in his previous works. In Park Geun-Hyoung``s previous works, a leak which came from his denial and dissolving traditional family ideology connotes the meaning required for rebuilding the family. On the contrary, the growth of women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aning of family. In this perspective, the aesthetics of ``in-betweenness`` the drama deals with most importantly can be found in different narrative characteristics than previous family narrative ones. ``In betweenness`` in this drama functions as a narrative factor to expand its topic into ontological direction which puts more weights on each individual``s life than the understanding of family by putting up a women growth matter in front. Referring Freud``s Family Romance theory, Kyoongsuk``s growth process starts from her family triangle consisting of father, mother, me. At each angular point, there``re father who has wanderlust, mother who is devoted to her husband and Kyoongsuk. For the growth of women, not men, women``s alterite is being magnified in male-dominant patriarchy. Women have been ``others`` in dichotomous structure; men and women. In this sense, men``s alterite creates a leak in the hierarchical family structure, not strengthens it. Even if father provides the root cause of that crack, this triangle is not falling down and keeps its form, supported by mother and me. Kyoongsuk accepts her situation losing the upper angular point father and reorganized family and furthermore, she is reborn as a main character who constructs her family. Accordingly,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complex family construction process found in Kyoongsuk``s growth is a narrative reaction which enables her to understand her world through her father``s triangular points, not a resistance to family structure itself. At this point, the aesthetics of ``in-betweenness`` is being used as an important narrative tool in this drama. This article studies ``in-betweenness`` in three aspects. The first part is regarding stage space and the second one is how characters are projected and the last one is thematic meaning. In more specific, firstly, this work``s dramatic time has the structure of twofold; the past and the present. We will see how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y Kyoongsuk``s memory. Secondly, we will understand how Kyoongsuk``s father is projected in the drama and find out his border-crossing characteristic. Thirdly, we will look into the meaning of family by reviewing each character who is re-consisting of the family.

      • KCI등재

        「꽃과 소리」에 나타난 소리의 상상력

        임보람(Im, Bo-ram)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3

        이 글에서는 이청준의 「꽃과 소리」(1969)에 나타나는 ‘소리’의 모티프에 주목하여 이를 ‘소리의 상상력’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리와 상상력을 기획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작가 이청준이 소설을 통해 ‘소리의 상상력’을 어떻게 형상화했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상상력의 특성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꽃과 소리」는 1969년에 발표된 소설이기 때문에,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더불어 그 이후 소설의 중요한 서사적 흐름의 양상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이 서사적 물줄기는 1970년대 『남도사람』연작의 판소리의 세계로 이어진다. 「꽃과 소리」에서는 그 세계를 이끌어가는 씨앗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글은 그것을 소리의 모티프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꽃과 소리」에 나타나는 소리의 모티프를 ‘소음’과 ‘침묵’의 이미지를 통해 살펴보고, 이 이미지들이 ‘소리의 벽’, ‘소리의 무덤’으로 상상되는 과정을 ‘소리의 상상력’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은 ‘소리의 상상력’이 ‘소리의 벽’과 ‘소리의 무덤’의 이미지를 허물기 위해 ‘합창’과 ‘울림’의 이미지를 형성해가는 역동적인 과정을 밝히는데 까지 나아 갈 것이다. 「꽃과 소리」의 중요한 해석 지점은 제목에서처럼 ‘꽃’과 ‘소리’의 주요 모티프를 어떠한 관련 속에서 묶어 그 의미를 밝힐 것인가에 있다. 그러나 제목과 달리 서사 전개에 있어서는 ‘꽃’ 보다 ‘소리’의 의미에 대한 이해가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그것은 크게 두 측면에서 알 수 있다. 하나는 소설의 첫 장면에서이다. 서사적 공간인 연극 무대의 막이 오르기 전부터, 다양한 소리들이 극장을 가득 메운다. 무대 공간에서 부각되는 소리의 이미지는 소리가 서사전개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작용할 것임을 독 자가 알 수 있게 한다. 다른 하나는 작가가 이 소설을 한편의 연극으로 볼 수 있게 할 정도로, 연극적 요소들을 중요한 수사적 장치로 활용하고 있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 연극에서 부각되는 것이 소리이다. 소리의 기호들은 관객에 의해 의미화 된다. 소설에서 관객은 내적 초점자인 ‘나’로서, ‘나’는 무대 위에서의 소리를 듣고 그 소리를 서술한다. 이 서술은 연극의 관객이라는 복잡한 서술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소리의 청자를 강조하기 위한 작가적 전략이다. 독자는 ‘나’가 소리를 이해하는 과정, 그리고 ‘나’의 의식에 의해 서술된 발화를 따라간다. 이 과정에서 소리의 의미는 복잡해지며 강조되어 간다. 소리의 상상력을 기획하려는 이 글의 시도는, 소리를 어떻게 상상을 통해 공간화 하여 인식하는가라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뒤랑은 상상력을 범주화하면서 상상력이 ‘인간’에게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상력을 인간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 전개될 수 있다고 보았다. 뒤랑에게 상상력이란 인간의 모든 문화적 활동의 기반이 되는 상징적 상상력이며, 그는 이 상상력을 인간이해의 한 방식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뒤랑의 논의를 소리를 통해 이해하면, 상상력은 청각의 전개에 의해 형성되며, ‘공간적 거리’를 두고 대상(청자)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된다. 4·19세대 작가로서 숙명처럼 갈망할 수밖에 없는 자유에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이청준은 억압의 폭력으로 고통 받는 인물들이 그 꿈을 포기하지 않고 꾸어나갈 수 있도록 ‘소리의 상상력’을 소설에서 구축해놓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꽃과 소리」에 나타나는 소리의 모티프를 ‘소음’과 ‘침묵’의 이미지를 통해 살펴보고, 이 이미지들이 ‘소리의 벽’, ‘소리의 무덤’으로 상상되는 과정을 ‘소리의 상상력’의 측면에서 고찰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벽’과 ‘무덤’의 이미지를 허물기 위해 작가가 고안해 놓은 상상력이 ‘합창’과 ‘울림’의 상상이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otif in sound which appears in the sequence novels of Lee Cheong-jun; Flower and Sound and aims to discuss it in the perspective of the imagination of sound". For this process, I am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set up and design the sound and imagination and study how the author Lee Cheong-jun symbolizes and shapes ‘the imagination of sound"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First, I am to examine his critical mind to ‘the sound" in his early works. In Flower and Sound which definitely shows his critical mind to the sound, it"s possible for us to see how the ambivalence presents its aspect. The author matches personal matters to the personal sounds and social issues to social ones and finds its unification and reconcili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sound. Additionally discussing the images which noticeably appear in the narrative deploymen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each can be described as ‘a path and the image of virtue" and ‘an echo and the image of night". Especially, an echo from musical imagination which is found in the vertical axis arouses the trust people can soak into their lives. Accordingly, the musical imagination in two sequence novels broadens the prospect of those novels" interpretation in the moral imagination"s perspective to the community. Mark Johnson emphasizes the imagination as the moral essence since he regards it as the ability to create the behaviors from ethical agents and figures. This is the ability called ‘musical imagination" and through this power, we can imagine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mong figures" which Lee Cheong~jun"s novel pursues as the result of ultimate solutions to the moral issues.

      • <제 3의 현장>에 나타난 소리의 수사학

        임보람 ( Im Bo-ra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3 No.-

        이 글은 〈제 3의 현장〉에 나타나는 제재로서의 소리에 주목하여 작가 이청준이 소리를 어떻게 형상화했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소리의 특성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제 3의 현장〉에서 소리가 핵심적인 수사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작가가 소리에 방점을 두고 있음은 이 소설의 제목이 세 차례나 바뀌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1984년 발표 당시의 소설 제목은 ‘제 3의 현장’이었다. 그 후 1988년에 제목은 ‘이교도의 성가’였고, 1993년에는 ‘그 노래 다시 부르지 못하네’였다. 그리고 1999년에는 원래 제목인 ‘제 3의 현장’으로 바뀌었다. 바뀐 제목들에는 ‘제 3의 현장’을 제외하면 ‘성가’와 ‘합창’이란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단어가 가리키는 것은 운율(韻律)을 지닌 언어라는 점에서 노래이며, 음(音)을 지닌다는 점에서 소리이다. 소리를 포함한 제목이 여러 번 등장했다는 것은 소리에 대한 작가의 애착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작가가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려고 했던 고심의 흔적은 그의 소설에서 소리와 관련된 제목과 소리의 모티프가 꾸준히 등장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이청준의 소설들에서 반복해서 사용되어 온 소리는 그의 수많은 작품들을 요약할 수 있는 한 방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청준은 〈제 3의 현장〉에서 소리에 의미를 부과하기 위해 추리기법을 중요한 서사적 장치로 삼는다. 추리기법은 한 사건을 추적해가는 서술자의 위치를 강조한다. 이 소설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전제로 서술자의 진술방식을 문제화 한다. 〈제 3의 현장〉은 중심 사건의 희생자인 ‘나’의 시점에서 서술되고 있으며, 그 서술 과정이 서사를 이룬다. 희생자를 서술자로 삼은 것은, 그가 사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희생자의 위치는 서사 전개 양상에서 감정을 쉽게 드러냄으로써, 독자가 그의 감정에 쉽게 휩싸이게 만든다. ‘나’의 진술방식은 추리기법이 요구하는 직선적인 서사논리에 문제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독자는 ‘나’의 내면 독백과 같은 사건 전개 방식에서 ‘나’가 겪은 사건에 대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추론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소리는 서사의 틈을 메우는 장치로서 기능하면서, 진술될 수 없는 서사의 영역까지 형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 영역이란 바로 ‘나’의 감정이다. 그리고 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수사적 장치가 소리이다. 즉, 소리는 서술자인 ‘나’의 감정을 이끌어내고, 그 감정은 서사적 상황들과 맞물려 의미화 되면서, 소설의 주제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즉, 독자는 작가가 구축해 놓은 소리의 이미지를 따라 그 의미를 구성해가면서 소설의 주제에 닿게 된다. 이러한 수사적 상황이 소리를 통해 소설의 주제를 형상화하려는 작가의 소리의 수사학이다. 본론에서는 ‘나’의 반복적인 진술과정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소리의 양상인 노랫소리, 총소리, 침묵의 소리의 의미를 살피고, 궁극적으로 이 소리들을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제 3의 현장〉의 제재인 소리가 궁극적으로 논리와 이성으로 환원될 수 없는 인간 세계의 다양한 현상들, 특히 현상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인간의 심리적 경험을 해명하기 위한 수사적 장치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ocus on the sound that appears at Third scene of the crime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that the author, Lee Cheong-jun, has shaped it into.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how that the sound is being used as a key investigation strategy in Third scene of the crime. The author's emphasis on sound appears on three occasions of changing the title of the novel. The novel, which was published in 1984, was titled Third scene of the crime. Then in 1988, the title was The Pagan’s chant and in 1993, it was Never to Sing That Song Again. Then in 1999, it was renamed as the original title of Third scene of the crime. Other titles that were changed include the words chant and chorus, with the exception of Third scene of the crime. What this word refers to is a song, and when you enlarge its meaning, it is a sound. The multiple entries of the title, including the sound, are considered to demonstrate the author's attachment to the sound. It can also be seen as a sign of the writer's efforts to give meaning to sounds. The author's interest in sound is also shown by the steady appearance of the titles and motif of the sounds in his novels. So Sounds which has been used repeatedly in Lee's novels, can be understood as a way to summarize his many works. In the main body, we examine the meaning of singing, gunshots and silence, which are reflected in my repeated statements as a narrator. So, ultimately, we will explore what the writer is trying to say with these sounds. The sounds shown in Third scene of the crime are the various phenomena in the human world that can not be ultimately rebuffed to logic and reason, and are not specifically identified by the use of human psychology to explain the phenomenon.

      • KCI등재

        교육 토론 활성화의 요인으로서 사회적 공감 : S대 교과연계 프로그램 <토론클리닉> 사례를 중심으로

        임보람(Im, Bo Ram)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이 글은 교육 토론에서 사회적 공감이 중요한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S대 <토론클리닉> 운영사례를 통해 검토하고자 했다. 서론에서는 교육 토론과 사회적 공감의 가교역할을 하는 듣기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논의를 시작했다. 교육 토론은 듣기와 말하기로 이루어진 의사소통이다. 그럼에도 교육 토론의 활동이나 이에 관한 연구에서 공적인 듣기보다 공적인 말하기 차원이 강조되었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듣기를 상호 관계에 중점을 두는 의사소통 행위로 이해하여, 자신을 타인의 위치에 놓는 것으로 간주하는 공감 차원과 연결하고자 했다. 이를 주장하기 위해 공감의 개념을 사회적 공감으로 예각화하였다. 사회적 공감은 개인적 공감의 영역을 확장하여 사회・문화적 맥락 아래에서 다른 사람들의 상황을 인식하고 그 삶을 경험함으로써 그들을 깊이 이해하려는 인지적 능력이다. 이 능력은 사회적 책임감을 불러일으키는 사회적・실천적 행동 차원으로 다뤄진다. 이는 교육 토론의 목표와 연결될 수 있다. 사회적 공감이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인지하고, 찬반 중에 하나의 입장에 있던 청중을 설득하여 그들의 태도를 바꾸도록 하는 이성적인 설득의 복합적 과정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정하에 본론에서는 사회적 공감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활성화되는 양상을 S대 교과연계 프로그램인 <토론클리닉>의 사례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이로써 사회적 공감이 궁극적으로 교육 토론의 목표에 부합하는 역동적 원리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article believes that social empathy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factor in Academic debate, and intends to review it through the operation case of S University"s <Discussion Clinic>. In the introduction, the discussion began by proposing the necessity of listening, which serves as a bridge between Academic debate and social empathy. Academic debate is communication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Nevertheless, public speaking dimension was emphasized rather than public listening in Academic debate activities or research on this. Therefore, I tried to understand listening as an act that focuses on interrelationships and connect it to the level of empathy that considers oneself to be in the position of others. To argue this, the concept of empathy was acutely etched into social empathy. Social empathy is the cognitive ability to expand the realm of personal empathy to recognize other people"s situations unde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to understand them deeply by experiencing their lives. This ability is treated as a dimension of social and practical behavior that evokes social responsibility. This can be linked to the goals of Academic debate. This is because social empathy contributes to the complex process of rational persuasion that clearly recognizes one"s position and persuades the audience in one of the pros and cons to change their attitudes. Under this assumption, in the main topic, the activ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social empathy was reviewed through the case of the S major curriculum-linked program, Discussion Clinic.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social empathy can ultimately function as a dynamic principle that meets the goals of Academic debate.

      • KCI등재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풍경’ 연구

        임보람 ( Im¸ Bo-ra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3

        이 글은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의 형상을 ‘소리풍경’으로 읽어보고 그것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리풍경’을 소설의 분석 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용어를 정의하고, 이 개념이 선행연구와의 관계에서 「소낙비」를 해명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 글은 작가가 독자에게 청자로서 ‘듣는’ 역할을 요구하기 위해서 소리의 수사적 상황을 구축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출발한다. 작가가 서사적 요소들과 맺는 관계에서 비롯되는 소리의 효과를 중요한 소설의 기술방식으로 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지점이 독자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소리를 듣는 과정이 소설 구조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이 글의 논의를 뒷받침한다. 본론에서는 작중인물들의 ‘듣는’ 국면이 중요하게 그려지고 있는 수사적 상황에 주목하여 서사 전개에서 소리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소낙비가 내리는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2장에서는 소낙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3장에서는 소낙비가 내리고/ 그치는 상황을 각각 분석한다. 2장에서는 ‘소리풍경’을 형성하는 매개체인 바람의 역동성을 밝히고, 3장에서는 소낙비 소리의 존재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소리풍경’의 양상을 분석한다. ‘소리풍경’은 ‘보는 풍경’이 아니라 ‘들리는 풍경’이다. 이 풍경에서는 언제나 청자가 상정되기 때문에 소리의 감각을 기반으로 소리 주체와 청자의 공동 관계가 형성된다. 소설의 내적구성이 이 관계와 효과를 담지하기 때문에 ‘소리풍경’은 작중인물의 감각과 심리, 독자의 상상력, 소설의 구조와 서사 등을 만들어내는 역동적 힘을 지닌다. 나아가 ‘소리풍경’은 작가의 주제 의식까지 아우를 수 있는 수사학적 장치로 기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윤리적으로 문제 되었던 아내 팔기 모티프의 부정성을 미학적 층위에서 다시 고찰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해 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ad the shape of the sound in “Sudden Shower” as Soundscape and reveal its meaning. To this end, this article defines the term so that Soundscape can be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novels, and attempts to examine how this concept plays a role in clarifying “Sudden Shower” in its relationship with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author is building a rhetorical situation of sound to ask the reader to play the role of ‘listening’ as a listener. This is because this article believes that the effect of sound result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and the narrative elements is an important method of description of the novel. This point supports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assuming that the process of the reader listening to sound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can be part of the novel structure. In the main topic, we look at the aesthetic structure of sound in narrative development, paying attention to the rhe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listening’ phase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are depicted as important. Chapter 2 reveals the dynamics of the wind as a medium that combines sound and scenery to form a Soundscape. Chapter 3 analyzes the aspect of the Soundscape of the shower rain, focus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wer rain falls and the situation in which it stops. Soundscape is not ‘visible Scenery’ but ‘hearing Scenery.’ In Soundscape, listeners are always assumed, so a common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subject and the listener is formed to realize a sense of being together. Since the inner composition of the novel contains this relationship and effect, Soundscape is a rhetorical device that has the dynamic power to create the senses and psychology of the person in the work, the reader's imagination, the structure and narrative of the novel, and can encompass theme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oundscape provides a point where the negativity of the motif of selling wire, which was ethically problematic in existing studies, can be reconsidered at the aesthetic level.

      • KCI등재

        이청준의 『자유의 문』에 나타난 죽음의 종교학적 연구

        임보람(Bo ram Im)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figure out,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y of religion, the concept of death that Yi Cheongjun’s novel Door to Freedom (1989) presents. Death is a central subject matter for the novel in terms of both its theme and narrative constitution. Characters in the novel tell their experiences of witnessing deaths in dialogues. Much alike in a mystery story, their narrations consist in reconstruction of the events of witnessed deaths arranged with logical coherence. The characters’ perceptions of death unfold in the wake of their dialogues. The locus of the novel’s story is the Mt. Jiri―the two protagonists are having dialogues in a hut in Mt. Jiri, and the author imposes the images of death on the Mt. Jiri one by one, making readers bound with the agenda of death. Readers are gui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through the particular way of perceiving death that the author has paved. In the course of the guided tour through the characters’ dialogues on death, readers are urged to reflect seriously on what the appropriate way of life is in terms of religious ethics. This article employs, in analysing the narratives on death in this novel, the concepts of “formulation” and “formative-symbolizing” presented by Robert J. ‘Lifton, who has exercised enormous influences on recent studies in thanatology. Those concepts are about the perceptions of death formulated in the course of people’s lives before death. Applying these key concepts and Lifton’s theory to the novel, this article figure out how its characters’ perceptions of death are converge on their questions of the critical issues of life. 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Yi Cheongjun advocates, in his novel Door to Freedom, the religious sincerity of doing utmost efforts to make a better life on the basis of perception of dea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