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등숙 진전에 따른 도체내 부위별 양분 동태에 관한 연구 I. 도체내 부위별 무기양분의 동태

        이양구,임무,임병기,Lee, Yang-Ku,Lim, Moo-Sang,Im, Byeong-Gi 한국작물학회 1986 한국작물학회지 Vol.31 No.2

        In order to clarify the trend of change in mineral nutrients in rice plant on various ripening process, P$_2$O$\sub$5/, K$_2$O, MgO, CaO, SiO$_2$ and ash contents were determined for the grain, internode, leaf-5heath and leaf blade respectively for 9 times at an week interval after heading. Four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maturity and ecotype were grown under normal cultural conditions for the trial. The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in the brown rice were in the order of Ash, P$_2$O$\sub$5/, K$_2$O and MgO. CaO and SiO$_2$ were found in minute quantity in the brown rice. The hull contained SiO$_2$ in large quantity, and it also contained the mineral nutrients in the order of K$_2$O, P$_2$ O$\sub$5/O. The CaO content of hull was extremely minute.

      • KCI등재

        V형 원형휜-원형관의 강제대류 열유동 특성

        이종휘(Jong Hwi Lee),임무기(Moo Gi Lim),강희찬(Hie Chan Kang) 대한설비공학회 2009 설비공학 논문집 Vol.21 No.1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resistances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V-shaped circular fin-tube heat exchangers. Four types of V-shaped fins in which the fin areas are identical but the areas of the V-shaped portion are different have been tested numerically. The results obtained for heat transfer, pressure drop, and fin temperature are discussed in this paper. With increase in the area of the V-shaped portion, the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increase up to 40% and 24%, respectively, in the present test range.

      • KCI등재

        몽골의 농업환경과 농업생산 현항

        이동진,조은기,임무,노로빈알탄수크,이석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9 No.2

        기후와 환경은 목축생산에 중요한 요소인데 몽골인들의 전통적인 농업은 환경에 순응하는 목축경영법으로 유목생활에서 가축을 자연초지에 방목시킴으로써 행하여졌다. 생태형이 다른 지역에서는 초지경영 및 토지의 이용정책이 다르게 수행된다. 안정적 기후를 갖는 중부지역에서는 목축들은 년중 2회 정도 남쪽지역을 이동하며 방목된다. 목축들은 좋은 초지를 찾아 자주(2주에 한 번 정도) 이동하여야 한다. 안정적 기후를 갖는 중앙의 북부지역에서는 과방목으로 인한 생태적 침식이 발생한다. 작물생산이 지역적으로 편중되는 것은 강수량과 토질의 차이에서 기인되는데 재배면적의 50%이상을 21개 지역중 중앙부의 2개 지역이 차지하고 있다. 몽골에서 작물생산은 과거 10년동안 급속도로 발전하였으나 중부지역에서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낳았다. 재배 초기의 연약지반과 강한 바람은 심각한 토양침식을 발생시키는데 1990년 경작지에서 토양 침식은 59%에 이르렀는바 건조, 반건조 지대에 있어서 작물생산의 성패는 토양수분과 비옥도의 관리 정도에 다른다고 할 수 있다. 농업생산에 열악한 환경조건인 몽골에서 관개에 의한 작부방식은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하나의 방법인바 최근 관개지역은 총 재배면적의 3-5%에 달하고 있다. 경작지의 침식에도 불구하고 도시근교에서나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는 관개에 의한 소득성이 높은 원예작물, 과일, 감자 등이 재배되고 있다. 어류는 북부지역의 5개의 호수가 위치한 부근에서만 전통적으로 식량에 이용되기 때문에 시장성이 적으나 보유고가 높아 증가하는 관광객이나 eco-tourist를 대상으로 할 때 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몽골에서 지속적 농업생산에 주요한 문제점들은 열악한 자연조건, 과다방목, 휴경지 이용의 증가, 불충분한 생산기술, 수확물 관리부족, 미숙한 생산물의 저장 및 유통체계에 있다. 과거 4년간 농업생산의 감소의 주요 원인은 기후적인 요인보다는 사회경제적인 요인이 큰데 이들은 경제 장려금(economic incentive)의 부족, 부적절한 자재공급, 단기신용의 이용성 제한을 들 수 있다. 비록 몽골의 농업적 환경이 빈약하며 독특할지라도 식량 및 산업에 요구량을 충당하기 위한 목축 및 작물의 생산성의 향상은 환경에 순응하는 농업기술과 방법의 발달이 필요하다. Climate and environment have a major impact on pastoral livestock production. Mongolian traditional agriculture follows environment-friendly pastoral management strategies whereby livestock grazed on open natural pasture under nomadic or semi-nomadic conditions. Different pasture managements and land-use strategies are practiced in different ecological regions of the country. In the southern central part with stable environments, the herds move about twice a year. The herds have to move frequently (once every two weeks) in search of good pasture in the central northern provinces even with stable environment due to the ecological degradation resulted from overgrazing. Also, there are major regional differences in crop production primarily because of differences in rainfall and soil fertility. Of the 21 provinces, two central ones account for more than 50 percent of the total cropping area. Crop production in Mongolia has developed rapidly in the past decades but has caused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s in central areas. Fragile soils and high winds early in the growing season create serious wind erosion. Total eroded land as a percentage of cultivated land rose to 59% in 1990. Crop production depends on the conservation of soil fertility and soil moisture in arid or semi-arid conditions. In the Mongolian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 cropping system with irrigation is one way of maximizing productivity. In recent years, the irrigated area is 3 to 5 percent of the total cropped area. With the erosion of the state. order system, high value-crops such as vegetables, fruits and potatoes have been increasing albeit in much smaller effectively irrigated surface and their production is more concentrated around population centers while vegetable and potato production is concentrated around urban areas. Marketing possibility for commercially produced fish is difficult to assess since fish is traditionally eaten only in the northern provinces around five lakes. However, it is possible to attract eco-tourists and a growing number of foreign visitors. At present, the main constraint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in Mongolia are related to a)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b) over grazing, c) excess livestock distribution, d) inefficient use of fallow land, e) inadequate production technologies, f) postharvest losses, and g) underdeveloped processing,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Main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declining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past 4 years were more socioeconomical than environmental. These are lack of economic incentives, inadequate input supplies, and limited availability of short-term credit. Although Mongolia's agricultural environment is fragile and unique, there is a nee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actices and technologies to solve the major constraints thus increasing animal and crop productivity and meet the industrial and food demand of the country.

      • KCI등재

        인도의 식물유전자원 보존 및 이용현황

        이동진,김영상,조은기,임무,윤성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9 No.3

        1993년 12월 생물다양성 협약이 발효된 이래 생물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간 이기주의가 팽배되어 농업연구를 위한 자원분양 및 이전 등이 매우 어려운 실정에 처하여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자원 빈국으로서 다양한 자원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자원의 확보를 위한 국제 협력 사업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고 본다. 인도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가지고 있는 자원 부국으로서 보유 유전자원의 현황 및 이용상황 등을 파악하여 양국간 유전자원 공동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인도는 20종이상 작물종 유전자원의 원산지이며, 160여종의 경제성 있는 재배종 및 325 야생 근연종이 서식하는 등 다양한 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음. 2. 인도의 식물유전자원은 국립 식물유전자원국(NBPGR)이 주관하고 있으며 종자은행에 식량, 특용 및 원예자원 등 153,482점의 유전자원을 저온저장고에 보관하며 활용중임. 3. 인도 식물유전자원국은 1976년 인도 농업연구 이사회의 작물부 산하에 설립되었으며, 연구소장 산하에 유전자원 자문 이사회 등 6개 위원회, 이사회가 있으며, 연구부에는 식물탐색, 수집과 등 7과가 조직되어 있고, 행정분야는 회계과 등 4개과가 있으며, 12개 지역 시험장이 조직되어 운영되고 있음. 4. 식물 유전 자원국의 주요 사업은 유전자원의 탐색, 수집, 특성검정, 안전보존 및 이용성 증대 연구 등이며, '92∼'97년간 총 연구 사업비는 2,264백만 루피였음. 5. 유전자원과 관련된 국제 협력이 매우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FAO, UNDP, World Bank, ICRISAT, CIMMYT 및 KARDA 등 국제 기구 및 연구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 India has been recognized an important center of the origin and diversity of more than 20 major crop species. About 160 domesticated species of economic importance and over 325 species of their wild forms and close relatives are native of this region and constitute an invaluable reservoir of genes that are needs for improvement of new cultivars. Most of plant breeders look towards plant genetic resources(PGR) connections. The National Bureau of Plant Genetic Resources(NBPGR) was established in 1976 by the 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ICAR), the institute has been vest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plan, undertake and coordinate activities and services related to plant genetic resources including collection, exchange. quarantine, evaluation, documentati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NBPGR Genebank preserved about 153,482 accessions of crop germplasms including cultiviars, land-races, wild and relatives species. The NBPGR actively collaborates with FAO, UNDP, World Bank, other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ICRISAT, CIMMYT, ICARDA, etc, dealing with genetic resourc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USAI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IPGRI), Overseas Development Agency, U.K. (ODA) provided funds for several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