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측성 신장 무형성을 동반한 제 1형 비타민 D 의존성 구룻병 1례

        임동희,정지인,임형은,은백린,유기환,홍영숙,이주원,Lim, Dong-Hee,Jung, Ji-In,Yim, Hyung-Eun,Eun, Baik-Lin,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Vitamin D-dependent rickets(VDDR) is a rare autosomal disorder, characterized by hypocalcemia, hypophosphatemia,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and many other clinical features. Type I VDDR is due to congenital defects of renal 1${\alpha}$-hydroxylase, the enzyme responsible for the conversion of 25-(OH)D3 to 1,25-$(OH)_2D3$. Type II VDDR arise from target organ resistance to 1,25-$(OH)_2D3$. Unilateral renal aplasia is generally thought to result from a lack of induction of the metanephric blastema from the ureteral bud, which may be secondary to ureteral bud maldevelopment and/or to a problem with the formation of the mesonephric duct. The incidence of unilateral renal aplasia is approximately 1/500-3,200. Type 1 VDDR associated with unilateral renal aplasia has not been reported yet. Thus we report a case of a 3 month old female infant diagnosed as type 1 VDDR with unilateral aplasia of kidney. 저자들은 특별한 가족력이 없으면서 저칼슘혈증, 저인산혈증, 경련, 혈청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의 증가, 1,25-$(OH)_2$ 비타민 D3 농도의 감소,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증가 및 방사선 소견상 전형적인 구룻병 병소의 소견을 보인 제 1형 비타민 의존성 구룻병 환아에서 일측성 신장 무형성증이 동반되어 있었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대중매체를 통한 신장 관련 정보 제공 실태에 대한 고찰

        임동희,정지인,임형은,은백린,유기환,홍영숙,이주원,Lim, Dong-Hee,Jung, Ji-In,Yim, Hyung-Eun,Eun, Baik-Lin,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목적 : 최근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인들이 잘못된 의학 정보에 노출되어 건강상의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가 있어 그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대중매체를 통한 신장 관련 정보 제공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처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토대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최근 약 10년간 6개의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에 실린 신장 관련 정보 제공 기사, 최근 약 5년간 4개의 인터넷 포털사이트(야후, 네이버, 다음, 엠파스)와 17개의 인터넷 건강상담 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진 상담 내용을 검토해 정보 제공자의 신분을 조사하고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을 평가해 3점, 2점, 1점으로 점수화했다. 정보 제공자별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건강상담, 인터넷 건강상담 사이트에서의 답변 중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답변, 의료인과 답변자 미상의 답변, 내과계와 외과계 의료인의 답변 정확성을 각각 서로 비교해 그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했다. 통계법은 Mann-Whitney Rank Sum Test, 신뢰구간은 95%를 이용하였다. 결과 : 일간지의 신장 관련 정보 기사는 85.9%가 의료인에 의해 제공됐고 전체 평균 3.0점으로 정확한 내용이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의 신장 관련 건강상담 중 45.3%가 의사들에 의해, 2.7%가 한의사에 의해 답변됐으며 전체의 49.9%가 답변자 신분 미상이었다. 의료인, 비의료인, 답변자 미상의 답변은 각각 평균 2.95${\pm}$0.23, 2.25${\pm}$0.71, 2.45${\pm}$0.72점이었다. 의료인의 답변은 비의료인의 답변보다 정확했고(P=0.005), 답변자 미상의 답변보다도 정확했다(P<0.001). 내과계와 외과계 의료인의 답변 정확성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건강상담 사이트의 신장관련 상담은 91%가 의료인에 의해 답변됐고 의료인, 비의료인, 답변자 미상의 답변은 각각 평균 2.96${\pm}$0.21, 2.21${\pm}$0.77, 3.00${\pm}$0.0점이었다. 의료인의 답변은 비의료인의 답변보다 정확했고(P<0.001), 답변자 미상의 답변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과계와 외과계 의료인의 답변 정확성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일간지의 신장 관련 정보는 대체로 신뢰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인터넷을 통한 건강상담에서는 정보 제공자가 의료인인지 확인하는 것이 상담 의뢰자에게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장 전문의들이 대중매체의 신장 관련 정보 제공에 더욱 적극적으로 관여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We often have patients who acquired incorrect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mas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redibility of articles in newspapers and medical counseling on websites about renal diseases. Methods: Kidney information was searched in 6 newspapers for the past 10 years, and 4 portal websites and 17 internet health counseling sites for the past 5 years. We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ders and evaluated credibility by giving points 3, 2, 1 to correct, mostly correct but ambiguous, and incorrect contents, respectively. We compared the credibility of the groups with each other. Results: Sixty four articles from newspapers, and 789 and 506 medical counselings from portal websites and internet health counseling sites were selected, respectively. The kidney information providers in newspapers were medical journalists(doctors)(31.2%), kidney specialists(doctors)(23.4%) and so on. The consultants in the portal sites were doctors(49.1%)and anonymous reporters (49.9%). In internet health counseling sites, 91% of the consultants were doctors. All articles in the newspapers were credible. Doctors' answers were more credible than nonphysicians'(P=0.005) and anonymous contributors(P<0.001) in portal sites. In health counseling sites, doctors answered more reliably than nonphysicians. Conclusion: The kidney information in newspapers was credible. It is important for questioners to confirm the type of consultants in websites. We suggest that doctors, especially kidney specialists need to increase their roles in offering information to mass media.

      • 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한 막성 신병증 1례

        이은희,임동희,임형은,유기환,원남희,홍영숙,이주원,Lee, Eun-Hee,Lim, Dong-Hee,Yim, Hyung-Eun,Yoo, Kee-Hwan,Won, Nam-Hee,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Infection of Epstein-Barr virus(EBV) gives rise to a broad spectrum of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Although renal involvement is rare, diverse renal manifestations are known from hematuria to acute renal failure. Secondary membranous nephropathy(MN) associated with systemic EBV infection is an uncommon renal pathology and only two cases have been reported. We are adding another case of MN associated with EBV infection in a child. An 8-year-old girl was admitted for renal biopsy. She had been followed up for microscopic hematuria and intermittent proteinuria for 5 months. There had been no specific findings in serology and radiology. Tonsil biopsy had been done due to exudative tonsillar hypertrophy and enlarged multiple cervical lymph nodes. And it showed EBV-associated lymphoproliferative findings. Serologic tests for EBV showed positive evidence of recent infection; viral capsid antigen(VCA) IgM was borderline positive, VCA IgG and early antigen IgG were positive, and EB nuclear antigen IgG was negative. In Situ Hybridization of tonsil for EBV mRNA was positive. Because her proteinuria and hematuria were aggravated at that time(protein 3 +, RBC >60/HPF), renal biopsy was done. Renal biopsy showed the findings of MN, characterized by thickened capillary walls with epimembranous spikes on light microscopy and subepithelial, mesangial and subendothelial electron dense deposits on electron microscopy. On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IgG, C1q, kappa and lambda chains were positive. After steroid administration, proteinuria and hematuria resolved gradually within 6 months. 막성 신병증은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는 드문 신병증으로 감염, 자가면역, 종양에 의한 이차성 신병증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의 관련은 잘 알려지지 않아, 최근 1개 보고에서 면역기능이 저하된 2례를 소개한 바 있을 뿐이다. 이에 저자들은 면역기능이 정상으로 보이는 소아에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한 막성 신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8일 간격으로 부분 계측된 유량을 연속 일유량으로 확장하는 방법

        백경오,임동희,Baek, Kyong-Oh,Yim, Dong-Hee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의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계측된 유량자료가 있을 때 이를 연속적인 일유량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부분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결측치를 인근 혹은 수문학적으로 유사한 지점에서 연속계측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보완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부분계측이 수행된 날짜와 같은 날의 유량을 연속계측자료로부터 추출한다. 그 다음 두 자료간에 상관도가 높다면 이를 잘 표현하는 확장식을 개발하고 이 식을 통해 결측치를 내삽 또는 외삽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자료간 상관성을 잘 묘사하는 방법으로 분산유지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부분계측과 연속계측이 동시에 수행된 지점의 유량자료를 통해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분산유지법을 이용하여 한강수계 총량관리단위유역 중 15개 유역을 선택하여 각 유역의 말단부에 8일 간격으로 계측된 유량을 연속 일유량으로 확장시켰다. 확장된 자료를 기반으로 유황분석을 통해 저수량을 산정하였다. In this study, it was proposed that extension techniques of 8 day interval recorded stream-flow data which has been produced at the mouth of unit watersheds for TMDLs to daily one. The concept of this method was that the missing data at partial recording station was filled by using the daily data at a nearby, hydrologically similar streamgaging station. First, same day stream-flow was extracted from the daily stream-flow. Then, the extension equ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sample data when the same day stream-flow from daily data and the partially recorded stream-flow was deeply related each other. The missing data was interpolated or extrapolated by the equation. Especially the maintenance of variance extension (MOVE) technique was used to derive the equation and was validated. Finally the 8-day interval recorded stream-flow at the mouth of unit watersheds in Han River Basin for TMDLs was extended to continuously daily data by using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low flow at each unit watershe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low-duration curve.

      • KCI등재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과 신반흔의 관계

        정지인,임동희,임형은,박만식,유기환,홍영숙,이주원,Jung, Ji-In,Lim, Dong-Hee,Yim, Hyung-Eun,Park, Man-Sik,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목적 : 요로감염은 소아 발열의 흔한 원인이며 합병증으로 초래되는 신 반흔은 고혈압이나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에 의한 발열지속기간이 신 반흔이나 방광요관역류 등 위험요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소아 청소년과에 입원한 15세 미만 초진환자 중 1) 발열을 주소로 하고 2) 입원 전 발열 기간 및 항생제 사용의 정확한 병력을 알 수 있으며 3) 요로감염으로 처음 진단된 환아 143명을 대상으로 항생제 사용 전, 후 발열 지속기간에 따라 초기 신 결손 및 6개월 후 신 반흔 여부, CRP, 말초 혈액 백혈구, 방광요관역류 유무 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1) 항생제 사용 후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P=0.014) 초기 신 결손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 전 발열기간은 상관이 없었다. 2) 항생제 사용 전(P=0.006)과 후(P=0.015)의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 신 반흔 발생은 증가하였다. 3) 항생제 사용 후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 CRP도 높았다(r=0.287, P=0.003). 4) 말초 혈액 백혈구 수 및 방광요관역류 및 등급은 항생제 사용 전, 후 발열 지속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소아 요로 감염에서 항생제 사용 전과 후의 발열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 반흔의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열을 동반한 요로 감염 환아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Urinary tract infections(UTIs) are not uncommon findings in febrile pediatric patients and approximately one third of patients with UTI may have renal scar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fever and renal scar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43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fever as defined by an axillary temperature $\geq37.5^{\circ}C$, 2) accurate history of fever duration and the use of antibiotics 3) no previous history of UTI and 4) positive urine culture. We observed whether the longer fever duration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itial renal defects and subsequent renal scars, increased C-reactive protein(CRP), leukocytosis and the presence of vesicoureteral reflux(VUR). Results: 1) Patients with longer fever duration after antibiotics showed more frequent initial renal defects(P=0.014). However, fever duration before antibiotic us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itial renal defects(P=0.244). 2) Incidence of renal scar increased with fever duration before antibiotic use(P=0.006) and fever duration after antibiotic use(P=0.015). 3) CRP correlated with the fever duration after antibiotic use(r=0.287, P=0.003). 4) There was no relationships between fever duration and VUR(P>0.05).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fever duration before/after antibiotic us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development of renal scars in pediatric UT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