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을 위한 공법적 고찰

        임단비 ( Im Dan-bi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3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환경문제는 오염행위를 억제하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행위기준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보전행위가 강조되어야 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는 생태계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생태계서비스 공급이라는 적극적 환경보전 행위를 유도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계서비스지불제계약을 비롯하여 생태계서비스지불을 구현하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그러한 제도 대부분이 제도 내에서의 국가 역할에 대한 고려 없이 도입되어 효과적인 환경보전수단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와 같이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가 단순 지원형 제도로 정착하게 된다면 제도 본래의 유용성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도에서의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여 국가와 사적영역이 제 영역에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여야 한다. 제도 내에서의 국가 역할의 설정을 위해서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를 사적주체의 국가 임무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생태계서비스지불제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이는 동 제도가 환경보전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할 수 있다. Today's environmental problems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act of suppressing pollution.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humanity is currently facing, it is vital to emphasize active conservation actions that go beyond the socially acceptable standards of action.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are a system encouraging activ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on by paying for the relevant supply of ecosystem services. In Korea, there is equipped with diverse systems facilitating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including the PES Contract. Nonetheless, most of such systems have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the roles of the state in the systems. The PES cannot realize its original usefulness if PES which is form of support is established as it is now. To firmly establish the PES as an effective mea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tructure in which the state and private sectors can fulfill their roles by clarify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It should be viewed anew in terms of the carrying out national mission by private sectors to defin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 new approach to the PES suggests a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this allows the PES to be established as an effective means of preserving the environment.

      • KCI등재

        스마트하수도시스템의 설치·관리를 위한 하수도법령의 개선방안

        단비(Im, Dan-Bi),李?鍾永(Yi, Jong-Yeong) 중앙법학회 2018 中央法學 Vol.20 No.2

        하수도는 국가발전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공공기반시설로서 국민과 주민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반시설이다. 1966년 「하수도법」이 제정된 이래 하수관로 및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중심으로 하수도 인프라 확장을 중심으로 하수도 사업이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공공하수처리 인구보급률은 92.9%, 하수관로 보급률은 79.9%에 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에 설치한 하수도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였고,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하수도 서비스의 품질에 대하여 국민과 주민의 요구가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하수도 시설의 보급 확대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던 하수도 정책은 앞으로 생활환경의 획기적인 개선, 청정 물 환경 조성, 하수도 안전성 확보, 국민 편의 도모에까지 기여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하수도 정책의 변화는 하수도의 양적 성장을 넘어선 하수도의 질적 수준의 향상에 나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하수도 정책의 변화에 따라 하수도 서비스를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하수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하수도 서비스가 제시되어야 한다. 서울시는 서울거주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서울시 하수도 정책 방향에 대한 온라인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민들은 하수도와 관련하여 하수도 냄새, 도시 침수, 정화조 청소(분뇨처리 차량 등)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또한 2015년 수립된 국가 하수도 종합계획(2016~2025년)에서도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불만족 사유로 하수도 냄새를 들면서 하수도 냄새 해결 등 주민 편의적 하수서비스 확대가 필요함을 적시하고 있다. 즉 국민들이 하수도 서비스에 관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인식하는 불만족 사항은 하수도에서 기인하는 악취로, 이는 대부분 개인하수처리시설인 정화조에서 기인한다. 정화조로 인한 하수도 악취를 해결하지 않는 한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힘들다. 하수도 악취의 발생원으로 지적되고 있는 정화조를 폐쇄하여 수세 분뇨가 바로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된다면 도시 환경이 더욱 쾌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정화조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하수도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하수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려면 기존 하수관로 및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효율도 같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는 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행 「하수도법」은 전통적인 하수관로를 바탕으로 한 체계와 내용을 가지고 있는 법률로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하수도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와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스마트하수도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의 하수도 설치와 관리에 대하여 고찰하고(Ⅱ), 스마트하수도 시스템 설치·관리에 있어 현행 「하수도법」과 상충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적합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Ⅲ). Sewerage is the public infrastructure that is the significant standard of national development which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of public life. Since the "Sewage Act" was legislated in 1966, the sewage project was implemented targeting expansion of sewage infrastructure focusing on the sewage system and sewage treatment facility. Thus, the public sewage treatment penetration rate of Korea in 2015 was 92.90% and the sewage system penetration rate was 79.9%. However, as the sewage facility deteriorated by time, the necessity of countermeasures arose, and along with technic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s, the needs of the public regarding sewage service quality changed. Therefore, the sewage policy which was promoted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facility distribution must now turn to the direction of contributing to national convenience by significant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creating clean environment, securing sewage safety. Such changes in policy refers to not only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of sewage, but also the improvement of sewage quality. There is a need to suggest a new sewage service that could reinforce competitiveness of sewage industry while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the policy. According to "Online survey regarding direction of Seoul sewage policy" conducted targeting residents of Seoul, the most critical problems of odor, flooding, cleaning of septic tank(excreta treatment vehicle etc) regarding sewage. Also, in national sewage comprehensive plan(2016-2025) established in 2015, the public"s dissatisfaction was sewage odor, which notes the necessity to expand sewage system for resident convenience such as solving sewage odor. In other words, the most common complaint of the public is odor which mostly comes from septic tank, the private sewage treatment facility. If the odor of sewage from septic tank is not resolved, it is hardly possible to satisfy the needs of the public regarding sewage service. If the septic tank, the source of sewage odor is closed and the excreta is treated directly at the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it will make urban environment more pleasant. Thus, the sewage service must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septic tank. To provide such service, it requires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current sewage pipe and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At this point,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very desirable. The current "Sewerage Act" is a legislation that contains the system and content based on traditional sewage pipe which somewhat contradicts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mart sewage system that appli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order to construct smart sewage system, this paper aims to contemplate on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ewage in Korea (Ⅱ), draw up contradictions of current "Sewerage Act" with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mart sewage system, and suggest an appropriate improvement plan(Ⅲ).

      • KCI등재

        라이시미터를 이용한 시설하우스 내에 살포한 농약의 휘산 양상

        단비(Danbi Kim),김택겸(Taek-Kyum Kim),권혜영(HyeYong Kwon),홍수명(Su-Myeong Hong),박병준(Byung-Jun Park),성진(Sung-Jin Lim),이효섭(Hyo-Sub Lee),문병철(Byeong-Cheol Moon) 한국농약과학회 2016 농약과학회지 Vol.20 No.4

        In cultivation environment, various pesticides are used and some of them could be volatilized into the air. This could affect farmer’s health and als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olatilization of pesticides, and use the reference data for preventing farmer’s pesticide intoxication and securing worker safe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greenhouse using a lysimeter which was of 1 m2 area and 1.5 m depth filled with upland soil. The pesticides treated in lysimeter soil were ethoprophos (5.0% GR), diazinon (34.0% EC), alachlor (43.7% EC), metolachlor (40.0% EC), chlorpyrifos (2.0% GR), pendimethalin (31.7% EC), carbaryl (50.0% WP), napropamide (50% WP), tebuconazole (25.0% WP) and imidacloprid (2.0% GR). Each pesticide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770.5 mg based on A.I (%). The recovery of pesticide ranged from 77.4 to 99.3%. The volatilized pesticides in air were collected by personal air sampler with PUF tube at 4 l/min flow rate. In addi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The collected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acetone in a soxhlet apparatus for 8 hours. The extracted pesticides were resoluted with acetonitrile and diluted 5 times. It was analyzed with LC-MS/MS. For 720 hours experiment, the largest vaporization amount of each pesticide in air was ethoprophos 15.24 μg/㎥, diazinon 5.14 μg/㎥, pendimethalin 2.70 μg/㎥, chlorpyrifos 1.76 μg/㎥, alachlor 1.40 μg/㎥, metolachlor 1.12 μg/㎥, carbaryl 0.27 μg/㎥, napropamide 0.22 μg/㎥, tebuconazole 0.11 μg/m3 and imidacloprid 0.05 μg/㎥. The R valu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volatilization and vapor pressure of pesticides is higher than 0.99. Therefore,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volatilization and vapor pressure of pesticides.

      • KCI등재

        박피 유무에 따른 참외 중 살충제 Cyenopyrafen 및 살균제 Cyflufenamid 잔류량 비교

        성진,단비,오민석,노현호,박지현,노진호 한국농약과학회 2019 농약과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armonize the pesticide residue data of oriental melon from sample preparation methods of korea (unpeeled) and Japanese (peeled). In here, the residual differences of insecticide (cyenopyrafen) and fungicide (cyflufenamid) had been compared by the sampling method. The tested pesticides were diluted at 2,000 times and sprayed three times onto the crops at an interval of seven days and then they were collected at 0, 1, 3, 5 and 7 days after final application. Then, samples were pre-treated with unpeeled and peeled samples, separately. The residues of cyenopyrafen and cyflufenamid for unpeeled samples were 0.138-0.461, 0.056-0.195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s of cyenopyrafen and cyflufenamid for peeled samples were 0.009-0.024, 0.005-0.009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s ratio of cyenopyrafen and cyflufenamid in the unpeeled/peeled fruit at 0-7 DAT (days after treatment) were 14.6-22.9 and 10.2-21.6, respectively. If the lowest residue ratio applied to MRL guideline of Japan, MRLs of cyenopyrafen and cyflufenamid residues in unpeeled oriental melon were changed to 0.15 and 0.1 mg/kg. When cyflufenamid and cyenopyrafen residue in oriental melon were under 0.15 and 0.1 mg/kg using a pre-treatment methods of Korea, the oriental melon can be exported without test using a Japan method.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residue ratio of pesticide can contributed to solve the problem of agricultural product export. 본 실험은 한·일 양국의 참외 잔류농약분석 시료의 한국(미박피)과 일본(박피) 의 조제방법 차이에 따른 잔류농약 데이터를 비교하고, 국내 농약잔류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살충제(cyenopyrafen)와 살균제(cyflufenamid)의 잔류양상을 비교하여 일본에 참외수출 가능 기준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약제는 안전사용기준에따라 2,000배 희석하여 7일 간격으로 3회(수확전 21, 14, 7일) 살포하였다. 최종 약제살포 후 0, 1, 3, 5, 7일에 시료를 채취하였고, 박피시료와 미박피시료로 구분하여 전처리하였다. cyenopyrafen과 cyflufenamid의 미박피 시료는 각각 0.138-0.461, 0.056-0.195 mg/kg이었다. cyenopyrafen과 cyflufenamid의 박피 시료는 각각 0.009-0.024, 0.005- 0.009 mg/kg이었다. cyenopyrafen과 cyflufenamid의 최종약제 살포후 0-7일차에 미박피/박피 잔류량 비율은 각각14.6-22.9과 10.2-21.6이었다. 만약 가장 낮은 미박피/박피 잔류량 비율을 미박피 시료에 적용하여 곱하면 cyenopyrafen과cyflufenamid 잔류량은 각각 0.15과 0.1 mg/kg이 되었다. 참외시료를 한국의 잔류농약 전처리방법인 미박피시료에서잔류량을 측정할 경우 cyenopyrafen과 cyflufenamid 잔류량이 각각 0.15와 0.1 mg/kg 보다 낮은 값이 나왔을 때는 일본의 잔류농약 전처리방법인 박피시료를 가지고 실험하지 않더라도, 일본에 수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데이터는 농산물 수출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Cadusafos와 Tefluthrin의 시설하우스 내 공기, 토양, 작물 중 휘산과 잔류 특성

        단비(Danbi Kim),김택겸(Taek-Kyum Kim),진용덕(Yong-duk Jin),홍수명(Su-Myeong Hong),박병준(Byung-Jun Park),권혜영(HyeYong Kwon),노진호(Jin-ho Ro),성진(Sung-Jin Lim),문병철(Byeong-Cheol Moon) 한국농약과학회 2017 농약과학회지 Vol.21 No.2

        In agriculture, pesticides are essential material. However, pesticides applied on soils or crops are volatilized into the air, which eventually harm the farmers’ heal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olatilization of pesticides and pesticide residues on soil and crop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oth in lysimeter filled with upland soil and greenhouse where perilla plant was cultivated. Two pesticides including cadusafos (6.0% granule) and tefluthrin (0.5% granule) were applied on both soils. The volatilized pesticides in air were collected by personal air sampler with PUF tube. The collected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acetone in a soxhlet apparatus for 10 hours. The extracted pesticides were concentrated and then dissolved with acetonitrile or acetone. The dissolved pesticides were analyzed with LC-MS/MS or GC. The retention efficient recovery of pesticides on PUF absorbent ranged from 89.3-103.2%. In lysimeter experiment, the maximum amount of vaporized pesticides in air were cadusafos 22.63 μg/㎥ and tefluthrin 6.12 μg/㎥, while the maximum amounts in air were cadusafos 2.65 μg/㎥ and tefluthrin 0.08 μg/㎥ in greenhouse experiment. After 41 days of pesticides treatment, both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perilla leaves. The residual pesticides in soil were 0.05 mg/kg (cadusafos) and 0.70 mg/kg (tefluthrin), respectively. The comprehensive studies on volatility, residues and toxicity of pesticides would have to be carried out for worker exposure assessment.

      • KCI등재

        LC-QTOF-MS를 활용한 현미 중 동물용의약품의 정량 분석

        성진(Sung-Jin Lim),오영탁(Young-Tak Oh),노진호(Jin-Ho Ro),주형곤(Hyeong-Gon Joo),이민호(Min-Ho Lee),윤효인(Hyo-In Yoon),최근형(Geun-Hyoung Choi),류송희(Song-Hee Ryu),단비(Dan-Bi Kim),박병준(Byung-Jun Park) 한국농약과학회 2017 농약과학회지 Vol.21 No.3

        SPE cartridge clean-up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eterinary pharmaceuticals (VPs) in brown ric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LC-QTOF-MS. The clean-up method was established with HLB (500 mg, 6 mL) cartridges for VPs in brown rice, and the eluate was analyzed to quantify the compounds by LC-QTOF-MS.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and the recovery, RSD, and LOQ of VPs were 70.3-112.0%, 1.1-5.7%, and 0.076-7.6 μg/k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ed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Ps contribute to monitoring of it in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agriculture product.

      • KCI등재

        하수도법에 따른 주방용오물분쇄기의 사용제한제도에 관한 연구

        박기선,임단비 중앙법학회 2020 中央法學 Vol.22 No.2

        The current 「Sewerage Act」 says, “By establishing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ewerage, we properly treat sewage and manure, prevent flood damage caused by flooding of sewage, contribute to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improve public sanitation. The purpose is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body”. In other words, the “Sewerage Act” ultimately aims to protect water quality in public waters, but for this purpose, directly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ewerage, proper treatment of sewage and manure, flood damage by sewage flooding”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provisions are made for it. For proper treatment of sewage, the 「Sewerage Act」 restricts the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as one of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methods for sewage facilities. When the food waste generated in the kitchen can be treated like sewage, a person who uses the kitchen can obtain considerable convenience. However, through the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food waste that is wasted in the sewer line may impair the proper function of the sewer line, and the inhibition of the function of the sewer line may cause pollution of the public waters. Restrictions on the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should be made, imported, or sold for research or testing purposes in consideration of situations where the public interests such as normalization of sewer function and prevention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and proper treatment of sewage, and legal interests of sellers and users When certain industrial products, including kitchen waste grinders, have been approv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they are not subject to exce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purpose of deriving a reason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prohibition of the sale and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with certain industrial products under Article 33 of the Sewerage Ac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Sewerage Act, a legal review of the sale and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was made, and the exceptions to the regulations for the sale and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were analyze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And a reasonable alternative to this. First of all, the restrictions on the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are limited to all citizens, and the prohibition of specific acts for all citizens, that is, prohibition of the sale and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shall be prescribed by law. Therefore, in Article 33 (1) of the current 「Sewerage Act」, general regulations prohibiting the sale and use of kitchen waste grinders are specified, and in exceptional cases, “in the case of use for research and testing”, the certified product is placed in the “Public Sewage Treatment Area”. For use at home” or “when used in a general household where a private sewage treatment facility (sewage treatment facility only) is installed outside the sewage treatment area, it is appropriate to use it. In addition, in the case of kitchen waste grinders that are not cer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announcement ``Sales and Prohibition of Kitchen Sewers'', which sets restrictions on the use of kitchen smashers, it is prohibited to sell and use them. Corresponds to disposal.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legal re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he national rule of law, the certification restricting the freedom of employment and happiness of the seller or user of the kitchen grinder by prohibiting the sale and use of the kitchen grinder should be based on the law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accordance with formal procedures. do. Nevertheless, it is not a formal meaning of the law, but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kitchen grinder that can be sold and used i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urthermore, in the notification, the safety cert... 현행 「하수도법」은 “하수도의 설치 및 관리의 기준 등을 정함으로써 하수와 분뇨를 적정하게 처리하여, 하수의 범람으로 인한 침수 피해를 예방하고 지역사회의 건전한 발전과 공중위생의 향상에 기여하며 공공수역의 수질을 보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하수도법」은 궁극적으로는 공공수역에서 수질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를 위하여 직접적으로는 “하수도의 설치 및 관리의 기준의 제정과 운영, 하수와 분뇨의 적정한 처리, 하수범람에 의한 침수피해 예방”을 목적으로 하여 그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하수의 적정한 처리를 위하여 「하수도법」에서는 하수도 시설의 설치 및 관리 방안 중 하나로서 주방용오물분쇄기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를 하수와 같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주방을 활용하는 자로서는 상당한 편이성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주방용오물분쇄기 사용을 통해 하수관로에 버려지는 음식물찌꺼기는 하수관로의 적정한 기능을 저해할 수 있고, 이러한 하수관로의 기능 저해는 공공수역의 오염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주방용오물분쇄기 사용 제한은 판매자 및 사용자 개인의 법익과 하수도의 기능 정상화 및 공공수역의 수질악화 방지, 하수의 적정한 처리라는 공익이 상충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연구 또는 시험의 용도로 제조·수입·판매하거나 주방용오물분쇄기를 포함한 특정공산품이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사용제한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하수도법」 제33조에 따른 특정공산품으로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와 사용 금지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여 그에 관한 법적 문제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으로 한다. 「하수도법」의 목적과 기능의 관점에서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와 사용금지에 관하여 법리적인 검토를 하고, 예외적으로 인증을 받은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와 사용을 허용하는 규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주방용오물분쇄기의 사용제한은 모든 국민에 대하여 제한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특정된 행위의 금지, 즉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사용금지는 법령으로 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행 「하수도법」 제33조제1항에서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와 사용을 금지하는 일반규정을 명시하고, 예외적으로 “연구·시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인증을 받은 제품을 “공공하수처리구역 내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하수처리구역외 지역 중 개인하수처리시설(오수처리시설만 해당)이 설치된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주방용오물분쇄기의 사용제한을 정하고 있는 환경부 고시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사용금지」에 따라 인증받지 아니한 주방용오물분쇄기의 경우 판매·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강제인증으로서 해당 인증은 침익적 행정처분에 해당한다. 법치국가원리에 따른 법률유보원칙에 따르면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사용의 금지를 통하여 주방용오물분쇄기의 판매자나 사용자의 직업자유와 행복추구권을 제한하는 인증은 형식적 절차에 따라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에 근거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식적 의미의 법률이 아 ...

      • KCI등재

        독일 제품안전법상 행정기관의 시판제품에 대한 감독권

        이종영,임단비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29

        독일 「제품안전법」은 시판 중에 있는 제품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관할 감독기관이 시장감독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동법 제26조는 시장감시(Marktüuberwachung)를 규정하고 있는 동법 제6절의 중심 조항으로서, 시장감독조치에 관한 감독기관의 개입 수단을 규정하고 있다. 동법 제26조는 제품안전을 위하여 감독기관의 감독권을 특별하게 규정하고 있고, 중대한 제품위험에 대해서 감독기관이 그에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품안전법」제26조제1항의 수범자는 “시장 감독 업무를 수행하는 관할권을 가진 모든 행정기관”이다. 소비자제품시장을 관할하는 감독기관은 동법 제26조1항에 따라 제품에 대한 조사업무를 부여받는다. 감독기관의 시장조사업무는 적절한 표본조사 또는 안전성조사를 통해 수행된다. “적절할 표본조사”와 관련하여 동법 제26조제1항 제3문은 주민 1000명당 연간 0.5의 표본 값을 기준치로 하여 표본조사를 하도록 정하고 있다. 「제품안전법」에 따른 감독기관의 시장조사업무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동법 제26조제2항에 따른 감독조치를 위한 준비 작업이다. 동법 제26조제2항은 제1문과 제2문으로 나뉘어, 제1문은 제품안전법적인 일반규정을 정하고 있고 제2문은 제품안전법적인 전형적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법 제26조제2항은 제26조 뿐만 아니라 동법 제6절 전체에 적용된다. 법률유보원칙에 따라 행정은 법률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아야 비로소 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감독기관이 감독권 행사로서 행정적 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 법률적 근거를 업무규정이 아니라 권한규정에서 찾아야 한다. 동법 제26조제2항은 감독기관의 감독조치에 관한 헌법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조문으로서, 제품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감독기관이 감독조치를 적합하게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법률규정이다. “(구)기기 및 제품안전법(GPSG)”과 비교할 때, 동법 제26조제2항의 권한규정에서는 감독기관의 감독조치권의 범위가 동법 제3조의 감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더 확대되었다. 「제품안전법」제26조제2항에 따른 감독조치는 관할 감독기관이 청문기회의 제공, 사업자와의 협력, 검사보고서 및 적합성 증명서의 고려와 같은 절차적 적법성을 준수하고, 감독조치의 형식적 요건을 충족해야 형식적 적법성이 인정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감독조치가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내용적으로 충분히 특정되어야 실질적인 적법성을 갖는다. 우리나라 「제품안전기본법」제9조에 따른 안전성조사와는 달리 독일 「제품안전법」에 따른 표본조사는 업무 규정에 그 근거를 두면서, 감독기관이 의무적으로 유통 중인 제품에 대해 일정 표본값을 기준치로 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제품의 시장출시 전 안전관리의 불완전성을 극복하여 제품안전을 최대한 실현한다는 측면에서 독일 「제품안전법」에서 도입하고 있는 표본조사는 「제품안전기본법」에 따른 안전성조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26 ProdSG ist eine Zentralnorm des neuen ProdSG und zweifellos der Mittelpunkt des Abschnitts 6 mit seinen Bestimmungen über die Marktüberwachung. § 26 ProdSG regelt die Kontrolle von Produkten (Abs. 1) sowie mit den sog. Marktüberwachungsmaßnahmen das (Eingriffs-)Instrumentarium der Marktüberwachungsbehörden. Adressat des § 26 Abs. 1 ProdSG sind die Marktüberwachungsbehörden. Marktüberwachungsbehörde ist nach § 2 Nr. 19 ProdSG „jede Behörde, die für die Durchführung der Marktüberwachung zuständig ist“. Diesen Behörden wird durch § 26 Abs. 1 ProdSG zunächst überhaupt die Pflicht zur Kontrolle von Produkten auferlegt. Auch im Hinblick auf die Verwendung des Rechtsbegriffs „Produkt“ ist an den Katalog der Begriffsbestimmungen in § 2 ProdSG zu denken. Laut der Legaldefinition des § 2 Nr. 22 ProdSG sind Produkte danach „Waren, Stoffe oder Zubereitungen, die durch einen Fertigungsprozess hergestellt worden sind“. Die Kontrollen durch die Marktüberwachungsbehörden sind kein Selbstzweck: Sie sind notwendige Vorbereitungshandlungen für ggf. daran anknüpfende Marktüberwachungsmaßnahmen gemäß § 26 Abs. 2, 4 ProdSG. § 26 Abs. 2 ProdSG regelt in seinen zwei Sätzen die produktsicherheitsrechtlichen Marktüberwachungsmaßnahmen: Satz 1 regelt die produktsicherheitsrechtliche Generalklausel, wohingegen Satz 2 die produktsicherheitsrechtlichen Standardmaßnahmen zum Gegenstand hat. Vor diesem Hintergrund lässt sich § 26 Abs. 2 ProdSG als Herzstück nicht nur des § 26 ProdSG, sondern des Abschnitts 6 des ProdSG in toto qualifizieren. Weil im Rechtsstaat der Schluss von einer Aufgabe auf eine entsprechende Befugnis nicht zulässig ist, bedarf es der Regelung von ausdrücklichen Befugnisnormen. Rechtsdogmatisch ist diese zentrale Aussage im Grundsatz des Vorbehalts des Gesetzes (Gesetzesvorbehalt) verankert. Der Gesetzesvorbehalt ist – neben dem Gesetzesvorrang – Bestandteil des Grundsatzes der Gesetzmäßigkeit der Verwaltung. Danach darf die Verwaltung nur tätig werden, wenn sie dazu durch Gesetz ermächtigt worden ist. Die Herleitung des Gesetzesvorbehalts ist umstritten. Was den Tatbestand der Befugnisnormen aus § 26 Abs. 2 ProdSG anbelangt, hat sich der Gesetzgeber zu einen Paradigmenwechsel entschlossen: Im Vergleich zur Rechtslage unter dem GPSG ist eine bedeutsame Änderung darin zu sehen, dass die Befugnisnormen des § 26 Abs. 2 ProdSG insofern weitreichender sind, als sie nicht mehr nur auf eine Überwachung des § 3 ProdSG beschränkt sind; denn die Befugnisse des § 8 Abs. 4 GPSG a. F. waren tatbestandlich daran geknüpft, dass die „zuständige Behörde den begründeten Verdacht hat, dass ein Produkt nicht den Anforderungen nach § 4 entspricht“, § 8 Abs. 4 S. 1 GPSG a. F. Wenn der Gesetzgeber dieses Konzept in das ProdSG übernommen hätte, hätte er die Befugnisse des § 26 Abs. 2 ProdSG auf der Tatbestandsebene mit einem Verstoß gegen § 3 ProdSG verknüpft. Sämtliche Befugnisse des § 26 Abs. 2 ProdSG stehen den Marktüberwachungsbehörden zur Verfügung. Wer Marktüberwachungsbehörde i. S. d. § 26 Abs. 2 ProdSG ist, hat der Gesetzgeber in § 2 Nr. 19 ProdSG definiert: Es ist „jede Behörde, die für die Durchführung der Marktüberwachung zuständig ist“. Vor Erlass sämtlicher Marktüberwachungsmaßnahmen nach § 26 Abs. 2 ProdSG ist der jeweils betroffene Wirtschaftsakteur i. S. d. § 2 Nr. 29 ProdSG oder Aussteller i. S. d. § 2 Nr. 3 ProdSG anzuhören. Diese Pflicht zur Anhörung folgt unmittelbar aus § 27 Abs. 2 S. 1 ProdSG und ist somit unabhängig davon zu beachten, ob die Maßnahme als Verwaltungsakt i. S. d. § 35 (L)VwVfG, § 106 shLVwG erlassen wird oder nicht.

      • KCI등재

        서울시 PM 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에 대한 도시건조환경의 영향

        신송현,추상호,임단비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4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관련한 PM 사고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 5월 13일 정부에서는 관련 규정을 강화하였지만, PM 가해사고의 증가 추이는 피해사고의 증가 추이보다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PM 가해사고의 대부분은 보행자와의 충돌 사고로, 보행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M 대 보행자 충돌사고를 중점적으로 규제 및 기상환경, 도시건조환경특성 등을 반영하여, PM 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2020년부터 2021년 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PM 대 보행자 교통사고를 수집하였으며,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