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기 일본 ‘쇼치쿠 멜로드라마’ 속 여성 중심 관계성의 의미 - 영화 <노부코(信子)>(1940)를 중심으로

        임다함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용봉인문논총 Vol.- No.62

        본 논문에서는 시미즈 히로시(清水宏) 감독의 영화 <노부코(信 子)>(1940, 쇼치쿠)에 재현된 여성의 이미지와 여성간의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그 의미와 전략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간 전시기 일본영화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국책영화나 군국주의적인 색채가 짙은 전쟁영화들의 제작 배경 탐색 및 내용 분석에 집중되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주목하는 영화 <노부코>는 영화법이 실시된 직후인 1940년 4월 공개된 ‘오락영화’였다. <노부코>를 비롯한 일련의 여성향 멜로드라마는 이른바 ‘쇼치쿠 멜로드라마’로 불리며 1930년대∼1940년대 쇼치쿠를 대표하는 장르가 되었지만, 당대 평단의 평가가 낮았기 때문인지 본격적인 연구를 거의 찾아보기힘든 상황이다. 때문에 본 논문의 분석 시도는 전시기 일본에서 정부의 후원을 받아 제작된 국책영화는 아니었다 하더라도, 영화법 제정 이후 당시의 ‘오락영화’가 얼마나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국가의 프로파간다에 협력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논의에 유효할 것이다.

      • KCI등재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사회교화 영화정책과 ‘변사’ ― 재조일본인 발행 잡지 『조선공론(朝鮮公論)』의 기사를 중심으로 ―

        임다함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8 日本語敎育 Vol.0 No.84

        Prior studies about ‘bensh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ve a tendency to either focus on the status of benshi in the film industry and culture, or to concentrate on the regulation of colonial power over benshi. As these studies were mostly based on the press and media by the Joseon people,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recognition of benshi by the Japanese settlers living in the colonial Joseon and the perspectiv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owards the regulation of benshi. There is little discussion on how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utilized’ the use of benshi, who was the key element to box office success, as a tool of political propaganda. In this paper, I will review the film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Japan which utilized the box office success factor ‘benshi’ for social reform and education. Then I will discuss how this movi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flected upon that of the colonial Joseon, focusing on the articles of “Chosen Koron”, the magazine issued by the Japanese settlers in Joseon.

      • KCI등재

        시미즈 히로시(清水宏) 영화 속 타자의 재현 방식: 영화 <아리가토 씨(有りがたうさん)>(1936)를 중심으로

        임다함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3

        This paper is dedicated to rediscover Japanese film maker Shimizu Hiroshi and to explore how ‘otherness’ is represented in his film Mr Thank You(1936) which showed his first interest in portraying the wandering people on the road. When the movie was released it drew attention as it took motif from Kawabata Yasunari’s novel and all the scenes were shot outdoors which was a rare case at that time. Mr Thank You is a road movie that reflects contemporary social situation of Japan in the 1930s which depicts lives of underprivileged people uprooted and drifting away from society. This article will look at the way the Korean girl is depicted in this film by the code of ‘cross-dressing’ to explore how Shimizu reflects his interest in the ‘otherness’ as a denationalized subject excluded from Japan’s nation-state system in the 1930s. 본 논문은 일본 영화사에서 잊혀진 영화감독인 시미즈 히로시(清水宏)를 재발견하기 위한 연구로서, 그의 영화 속에 구현된 타자의 재현 방식을 탐색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시미즈가 본격적으로 ‘길 위를표류하는 사람들’을 다루기 시작한 작품인 영화 <아리가토 씨(有りがたうさ ん)>(1936)에 주목하고자 한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원작 소설을 모티프로 삼고, 실내 촬영 중심이었던 당시 일본 영화계에서는 드물게 올로케이션 촬영으로제작되어 화제를 모은 영화 <아리가토 씨>는, 1930년대 일본 사회의 이면에서 뿌리 뽑힌 채 표류하는 소외된 다양한 하층민들의 삶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일본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일종의 ‘로드무비’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영화에 등장하는 조선인 소녀의 재현 방식을 ‘복장 전환’이라는 코드를 통해 살핌으로써, 1930년대 일본의 국민국가 체제에서 배제된 탈민족적 주체로서의 ‘타자’에 대한 관심을 시미즈가 영화적으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탐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순직’이라는 미디어 이벤트- 『경성일보』제작영화 <빛나는 죽음(死の輝き)>(1922)을 중심으로 -

        임다함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2 외국학연구 Vol.- No.61

        Keijo-Nippo, a Japanese newspaper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oduced several films in the early 1920s. They aimed to use entertainment films as propaganda to assimilate Koreans to Japanese culture under the 'Japan and Korea are One' policy. The Glorious Death(1922) was one of these films made by Keijo-Nippo, based on a true story about the death of Toyota Ichiryo, a teacher at a middle school in Daegu. But before the premiere, this film stirred controversy over the authenticity of the stor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hoax about the film to look into the role of Keijo-Nippo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explores how the media strategy of Keijo nippo was used through the film "The Glorious Death", by examining the film's production background and release process. In 1922, a school teacher's death in the line of duty occurred almost simultaneously both in Japan and colonial Joseon. Comparing the reactions of each country's various media handling its own incident, it came to light that 1922 was a turning point for the educational system both in Japan and colonial Joseon.

      • KCI등재

        미디어 이벤트로서의 신문 연재소설 영화화 - 『경성일보』 연재소설 「요귀유혈록」의 영화화(1929)를 중심으로 -

        임다함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8

        This paper presents a detailed study of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1929 film “Youkiryuketsroku,” which was adapted from the serial novel under the same name as the daily newspaper Keijo Nippo. The articles show that the media event of “film adaptation of newspaper serial novel,” as a propaganda media of the Government-General, has strengthened the influence and gained popularity among the public and functioned as a media mix strategy.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film, based on the serial novel published in colonial Joseon and cinematized by a Japanese film company, has never been in the spotlight and is seen as an example of a large media event that has spread from colonial Joseon to mainland Japan and even Manchuria. When the silent film production system shifted to talkies in the late 1920s, this media mix strategy helped both the popularity of the period novel and that of the film to create an interaction, resulting in the newspaper gaining popularity. In the process, Keijo Nippo was involved in all phases of the movie industry, ranging from production to distribution to the box office, and served as a planner for popular cultural products. 본 논문에서는 『경성일보』 연재소설을 원작으로 1929년 제작된 영화 <요귀유혈록(妖鬼流血錄)>의 제작배경 및 제작과정을 『경성일보』의 기사를 중심으로 상세히 밝혀냄으로써, 총독부 선전미디어로서 『경성일보』가 ‘신문 연재소설의 영화화’라는 미디어 이벤트를 통해 대중성을 획득하여 그 영향력을 더욱 키워가는 미디어믹스 전략을 구사했음을 확인해보았다. 지금까지 전혀 주목받지 못했던 이 영화의 제작과정은, 식민지 조선에서 연재된 소설이 일본 내지의 영화제작회사에 의해 영화화된 후, 식민지 조선뿐만 아니라 내지와 만주로까지 확산되어간 대형 미디어 이벤트의 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1920년대 후반, 새로운 영화기술의 발명으로 그때까지 영화계를 지배하던 무성영화 제작시스템이 유성영화로 옮겨가던 무렵, 이러한 미디어믹스 전략을 통해 시대소설의 인기와 영화라는 매체의 인기는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경성일보』가 대중성을 얻는 데 일조했다. 그 과정에서 『경성일보』는 영화의 제작・배급・흥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 관여함으로써, 대중문화상품의 ‘기획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중 선전 장치로서의 미디어 이벤트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경성고우타(京城小唄)」 현상모집(1931)을 중심으로

        임다함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dia event “Keijo-Kouta” hosted by the Keijo-nippo in 1931, the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t. As Keijo-nippo was the official orga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t is essential to look into the media event to find out how this newspaper unfolded the propaganda of colonial policy and the role it played on shaping the readers’ thoughts and ideas. The event, which began in 1931 to promote the purpose of local autonomy by Keijo-nippo, was inspired by the popular song “Sinminyo” which appeared in the 1920s, in order to create a folk song representing Joseon in Japanese language. “Keijo-Kouta” and “Great Keijo March” were produced through the prize contest and they both reflect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however, the mood of each song is in complete contrast to one another : “Great Keijo March” is a masculine large-scale song, on the other hand, “Keijo-Kouta” is a delicate emotional song of traditional Japanese folk style. The contrasting images of the two songs representing Keijo spread throughout Korea and abroad via multiple media outlets such as records, radio broadcasts and dance performances. 본 논문의 목적은 1931년『경성일보』가 진행한 미디어 이벤트 「경성고우타」 가사 현상 모집과 그 배경 및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경성일보』의 기사와 더불어 어떠한 미디어 이벤트를 기획하고 실행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이 신문이 식민정책의 선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해나갔고, 나아가 식민지 조선의 독자들의 의식 및 사상 형성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는지를 다각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1931년 실시된 지방자치제의 취지를 선전하기 위해 시작된 이 이벤트는, 1920년대 들어 등장한 ‘신민요’가 ‘지역 노래’로서 인기를 얻은 데 착안한『경성일보』가 일본어로 조선을 대표하는 민요를 만들어내기 위해 기획한 것이었다. 현상공모를 통해 탄생한 「경성고우타」와 「대경성행진곡」은 “조선 특유의 정서”를 살린 노래였지만,「대경성행진곡」은 ‘남성적이고 스케일이 큰 힘차고 명랑한 곡’으로, 「경성고우타」는 ‘섬세하며 감정이 풍부한’ 일본 전통민요 풍의 곡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들이 만들어낸 경성의 대조적인 이미지는 레코드, 라디오 방송, 무용공연 등 복수의 미디어를 통해 국내외로 확산되어갔다.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조선 영화의 해외 진출 시도에 대한 일고찰-안철영의 <어화(漁火)>(1938)를 중심으로

        임다함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5 No.-

        This study reviews the Joseon film Fishing Fire, which was produced in the late 1930s when active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overseas export of Joseon films, focusing on director Ahn Cheol-young's perception of the movie. As previous studies dubbed his movie as an “export failure”, this paper revisits Fishing Fire as a film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Ahn Cheol-young’s debut movie and film experiment Fishing Fire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his concerns about the identity of Joseon film as a national cinema. A closer look into the film will provide the understanding of his desire to overseas expansion of Joseon films. This will also be a meaningful exploration that will lead to the “here and now” of the Korean film industry, thriving to influence the global movie market. Fishing Fire is a movie with strong local color depicting rural life which also reveals the hidden side of 1930s Gyeongseong : the story of outsiders living in the shadow of the colonial city. In the end, the failure that the characters face in Fishing Fire can be read as a vivid “reality” of Gyeongseong in the late 1930s, which embodies the experience of de-territorization and loss of hometown caused by urbanization. 본 연구는 조선 영화의 해외 수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1930년대 후반 제작된 조선 영화 <어화>를 감독 안철영의 영화 인식을 중심으로 재고찰하였다. 그간의 선행연구에서는 ‘수출 영화의 실패작’으로 평해왔던 영화 <어화>를, 일제강점기 당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반영한 영화로서 다시 읽기를 시도한 것이다. 1930년대 후반 조선 영화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 속에서 탄생한 데뷔작 <어화>에 시도된 안철영의 영화적 실험을 그 ‘실패’까지 포함하여 다시 한 번 되짚어 보는 것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공간에서 ‘민족영화’로서의 조선 영화의 나아갈 방향을 고민했던 한 영화인의 해외 진출 욕망의 연속성을 파악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또한, 이는 현재 세계영화 시장 진출을 활발하게 모색하는 한국영화계의 ‘지금 여기’와도 이어지는 탐색으로서도 의미를 가질 터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30년대 후반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조선 영화의 해외 진출 담론의 하나의 실천으로서 안철영의 영화 <어화>의 의미와 한계에 주목하였다. <어화>는 동시대에 유행했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조선의 로컬 컬러를 짙게 띤 영화이기도 했지만, 1930년대의 식민지 도시 경성의 이면을 드러낸 영화이기도 했다. 그 이면이란, 도시 경성의 그늘에서 살아가는 주변적 존재에 대한 이야기였다. 결국 영화 <어화> 속 인물들의 상경 실패담은, 도시화가 초래한 탈영역화와 고향 상실의 경험을 형상화시킨 1930년대 후반 식민지 도시 경성의 생생한 ‘현실’로서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