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천지역 백제유적의 현황과 성격

        이희인 중부고고학회 2008 고고학 Vol.7 No.1

        인천은 지형적 특성을 기준으로 도서해안과 서남부내륙, 동북부내륙의 3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리적 구분은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유적의 분포현황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향후 백제 뿐만 아니라 인천지역의 고고학적 자료를 해석하는데 판단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도서해안 지역은 인천지역에서 유적의 밀집도가 가장 높은 곳으로 유적의 입지와 출토유물의 양상에서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문학산을 중심으로 하는 서남부내륙 지역은 일찍이 미추홀의 근거지로 주목받아온 곳이지만 타 지역에 비해 조사성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자세한 성격을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문학산 일대에 분포하는 10여 기의 고인돌과 최근 발굴된 청동기시대 취락의 존재로 미루어 보아 청동기시대부터 형성되었던 지역기반을 배경으로 하는 초기백제와 관련된 세력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동북부내륙지역에서는 주구묘와 토광묘, 大製소성유구 등 인천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적이 분포한다. 이들 유적들은 이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백제관련 세력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검단지역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 주거지 30여 기와 지석묘 80여 기의 존재를 통해 볼 때 이 지역의 백제관련 세력들은 청동기시대부터 형성된 지역적 전통을 바탕으로 성립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lncheon a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geographical areas: westcoast and islands, southwest inland, northeast inland, These geographical areas are well supported by archaeological evidences, The cultural attributes can be a norm of archaeological data for lncheon as well as Baek-Je. The westcoast area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archaeological remains in Incheon, The sourhwest inland, particularly the MoonHak mountain, has been regarded as the core place of the Michuhol, but relatively has not been researched by many scholars. However, recent excavations revealed ten Bronze Ages Dolmen(Goindol) and setdement sites, These remains prove that the early Baek-]e can be related with aborigine society from the Bronze Age in the MoonHak mountain area. The northeast inland produced various artifacts such as jugu-Myo, Togwang-Myo, Dae-ong, and so on, These artifacts are possibly related with relatively well developed Baekle society, On the otherhand, over thirty senlemenr sires and eighty Dolmens of the Bronze Age have been found ar the GLIJ11--dan area, This data explains the Baek-je society had relations with aborigine culture which continued from the Bronze Age.

      • KCI등재

        고려 강도 성곽의 체제와 위치 고찰

        이희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0 No.-

        The Goryeosa (a history book of the Goryeo Dynasty) shows that there was a defensive Three Wall System around the castle in the temporary capital of Gangdo, Goryeo Dynasty. These walls were called the Outer Castle Wall (外城), the Middle Castle Wall (中城), and the Inner Castle Wall (內城). Some historians argue that the Outer Castle Wall was constructed along the east coastline to defend an invasion from the mainland. The capital of Gangdo was also surrounded by the Middle Castle Wall. In addition,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nner Castle Wall was not actually constructed at that time period, but the Royal Castle Wall or Middle Castle Wall was mislabeled as the Inner Castle Wall. However, based on archeological and geological evidence, as well as newly interpreted written records, other theories have been proposed recently. For example, one theory proposes that the Outer Castle Wall on the east coast of Ganghwa Island was not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Instead, the Outer Castle Wall was actually constructed during the Jeoson Dynasty. Based on this view,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ucture and location of the Three Wall System of Gangdo.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astle Wall was consisted of stone-cubic bases, but the core of the castle was constructed with the mud-tamp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castle was covered and trimmed with mud. Considering the size and technique of the Three Walls System, its size and technology was equivalent to that of Gaegyeong, which was the original capital of Goryeo, as well as Seoul, which was the capital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seems that the 2.8m long stone bases of the eastern gate of Ganghwasanseong(江華山城) is the actually the remains of the Middle Castle Wall. It seems to surround the central area of Gangdo.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ner Castle Wall was not constructed during the Gangdo era, but it was actually the Middle Castle Wall of another time period. Therefore, the castle system of capital Gangdo consisted of three castles: Outer Castle(capital castle), Middle Castle(or Inner Castle), Castle of Palace. Comparing Gangdo with Gaegyeong, the castle system of Gangdo is almost equal to Gaegyeong, except city scale and construction sequence of castle. It means that the castle systems of Gangdo after Gaegyeong systems. 고려 강도에는 외성과 중성이 있었고, 축조기록은 없지만 내성이 존재했던 것으로 전한다. 지금까지 강도성곽체제에 대해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주장은 내륙으로부터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강화도 동쪽 해안가를 따라 외성을 쌓았고, 중성으로 강도를 둘러쌌다는 것이다. 내성은 실제로 축성된 것이 아니라 궁성 혹은 중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최근의 고고학 자료와 강도의 지형변화, 역사적 정황, 그리고 문헌자료의 재검토를 통해강도시기 강화도 동쪽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외성은 존재하지 않았고, 그동안 중성으로 보았던 강도의 도성이외성이라는 견해를 제기한 바 있다. 이 글은 강도시기 해안 외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견지에서 강도 외성의 구체적인 범위와 구조를 파악하고, 중성과 내성의 비정을 통해 강도의 성곽체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강도의 외성은 기단석렬을 설치한 후 판축으로 중심토루를 쌓고 그 위에 외피를 덮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성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여타의 유적과 비교하면 기단석렬과 판축의 정밀도가 높고, 규모면에서도 개경나성, 한양도성에 견줄 정도로 고려 도성의 위상에 걸맞게 건설되었다. 중성은 강화산성 동문지 부근에서 확인된 폭 2.8m의 석렬이 그 흔적으로 파악되며 구체적인 범위는 아직알 수 없지만 최항의 묘지명에 중성이 황도를 감쌌다는 기록과 견자산 부근의 성벽의 축선으로 보아 궁궐이위치했었을 오늘날 관청리 일대를 둘러싸는 형태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으로 볼 때 중성은 개경의 황성과같은 위상을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내성은 강도시기에 실제로 축조된 성곽이 아니라 중성을 의미하는것으로 보인다. 강도에는 외성–중성(내성) –궁성의 3개의 성곽이 존재했고 이를 개경과 비교해 보면 강도의 외성과 중성은 각각 개경의 나성과 황성에 상응한다. 이는 개경과 강도의 지형이 비슷하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강도의 성곽을 건설하는데 개경에서의 경험이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