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이타늄 하이드라이드 분말의 침탄에 의한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 제조

        이훈석,서향임,이영선,이동준,왕제필,이동원,Lee, Hun-Seok,Seo, Hyang-Im,Lee, Young-Seon,Lee, Dong-Jun,Wang, Jei-Pil,Lee, Dong-Won 한국분말야금학회 2017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4 No.1

        Titanium carbide (TiC) powders a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carburization of titanium hydride ($TiH_2$) powders. The $TiH_2$ powders with size lower than $45{\mu}m$ (-325 Mesh) are optimally produced by the hydrogenation process, and are mixed with graphite powder by ball milling. The mixtures are then heat-treated in an Ar atmosphere at $800-1200^{\circ}C$ for carburization to occur. It has been experimentally and thermodynamically determined that the de-hydrogenation, "$TiH_2=Ti+H_2$", and carburization, "Ti + C = TiC", occur simultaneously over the reaction temperature range. The unreacted graphite content (free carbon) in each product is precisely measured by acid dissolution and by the filtering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maximal carbon stoichiometry of $TiC_{0.94}$ is accomplished at $1200^{\circ}C$.

      • KCI등재

        흐름이 있는 문서에 적합한 비지도학습 추상 요약 방법

        이훈석 ( Hoon-suk Lee ),안순홍 ( Soon-hong An ),김승훈 ( Seung-ho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11

        Recently, a breakthrough has been made in the NLP area by Transformer techniques based on encoder-decoder. However, this only can be used in mainstream languages where millions of dataset are well-equipped, such as English and Chinese,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used in non-mainstream languages where dataset are not established. In addition, there is a deflection problem that focuses on the beginning of the document in mechanical summarization. Therefore, these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documents with flows such as fairy tales and nove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brid summarization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a dataset and improves the deflection problem using GAN with two adaptive discriminators. We evaluate our model on the CNN/Daily Mail dataset to verify an objective validity. Also, we proved that the model has valid performance in Korean, one of the non-mainstream languages.

      • KCI등재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훈석(Hoon-Suk Lee),전병준(Byung-June Chu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문화산업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그 한가운데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예술산업 종사자로서 연예인에 대한 경영의 필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연예인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문화예술산업의 종사자로서의 연예인의 근로 특성과 근로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별로 없다. 문화예술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그 산업의 한축을 이루는 연예인들의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연예인의 직무의 특성과 직무환경 및 직무태도와 이와 관련된 선행변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다른 직종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연예인의 특수한 근로 형태인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연예인의 직업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학문적 고찰을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방송연예인(가수, 탤런트, 개그맨)에게서 설문 응답을 받았다(120부).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그들의 직무 만족과 부적 상관관계(각각 -.226<SUP>*</SUP>, -.505<SUP>**</SUP>)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설명량을 가지고 있었다(?R2=.292, F=5.557, p<.01). 본 연구의 결과는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직무만족도 현황과 관계성을 보여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espite growing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er management in broadcast artist, there are very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there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broadcast artist on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s. Of the 2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120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exist stro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r=-0.226<SUP>*</SUP>) & job stress(r=-.505<SUP>**</SUP>) and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show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negatively(?R2=.292, F=5.557, p<.01).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research topics to be studied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리야 레핀의 예술관 - 사실과 현실을 넘어선 회화적 진리의 추구 -

        이훈석 ( Hoon Suk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1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러시아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인 일리야 레핀의 주요 작품들과 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예술관을 살펴본다. 1860년대 미술 아카데미 학생 시절부터 1920년대 핀란드에서 본의 아니게 망명자로서 생활하던 시절까지 장장 60여 년에 걸친 그의 긴 활동 기간 동안 제작되었던 수많은 작품을 관통하는 단어는 리얼리즘이다. 레핀의 작품 속 리얼리즘은 눈에 보이는 겉모습만을 기계적으로 복제하여 전달하는 표면적 기법으로서의 의미를 넘어서 외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인물들의 내면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주는 것은 물론, 이후 작품 외적 요소들에 의해 해석될 여지를 최소화하고 역동성과 빛, 그리고 색채가 이루어내는 순수한 작품 내적 요소들만을 통해 회화적 진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논문에서는 레핀의 활동 시기별 주요 작품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그의 창작세계의 발전 단계를 되짚어보며 광학적 재현성이나 사회 현실적 주제성만을 논하던 기존의 기준에 맞추어 과소평가되어 온 그의 후기 작품들을 한 단계 더 깊은 차원의 회화적 진리를 추구하는 리얼리즘, 즉 진리추구적 리얼리즘으로서 평가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main works of Ilya Repin, an artist representing 19th century Russian art. From his student days at the Imperial Academy of Arts in the 1860s to his unintentional life as an exile in Finland in the 1920s, the word that penetrates through numerous works that were produced during his long career span of more than 60 years was realism. Realism in Repin’s work has gone beyond a method of mechanical reproduction and conveying only the visible appearance to reveal the inner psychology and seemingly invisible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xtual reality that they faced. Also, minimizing interference by the external elements of the work for interpretation and seeking truth through the pure inner meanings of the work by dynamism, light and color.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major works of Repin and re-examine development of his creativity. With evaluation of his later work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by the existing standards that o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optical reproduction or social subjectivity, we would like to define his creative principle as a deeper level of pictorial truth-seeking realism.

      • KCI등재

        도스토옙스키의 미술비평 – “1860-61년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전시회”(1961)와 “전시회에 대하여”(1973) –

        이훈석(Lee, Hoon Suk)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4

        본 논문은 1861년 10월 도스토옙스키가 발간하던 잡지 『시대』에 게재된 미술비평문 “1860-61년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전시회”에 대하여 다룬다. 해당 비평문은 저자 표기가 되어있지 않아 그 지은이가 누구인지에 대하여 연구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존재해왔다. 본 논문은 그 중 해당 비평문이 도스토옙스키의 저작임을 주장하는 견해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작성되었다. 1861년부터 1881년까지 도스토옙스키는 자신이 발간하던 잡지인 「시대」, 「세기」, 「작가일기」의 지면에 문학과 예술에 관한 여러 평론 및 에세이를 남겼고 그러한 여러 글에 담긴 예술에 관한 도스토옙스키의 관점은 그의 미술비평에서도 마찬가지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1873년 「작가일기」9월호에 게재된 도스토옙스키의 미술비평문 “전시회에 대하여”는 “1860-61년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전시회”의 저자가 보이는 미술에 대한 관점과 유사한 시각이 반복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은 도스토옙스키의 다른 저작인 “1861년 「시대」 구독에 관한 공지” , “-보프씨와 예술에 관한 문제”, “니콜라이 우스펜스키의 단편들”에서 드러나는 예술관과 일부, 또는 전체가 일치한다. 이는 “1860-61년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전시회”의 저자가 도스토옙스키일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유의미한 증거로 작용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rticle “Exhibition at the Academy of Art in 1860-61“ published in the magazine 「Vremya」 published by Dostoevsky in October 1861. The article is not marked by the author, so there have been various opinions from researchers on who the author is. Among them, this paper was written in support of the view that the article was Dostoevsky"s work. From 1861 to 1881, Dostoyevsky left various reviews and essays on literature and art on the pages of his magazines 「Vremya」, 「Epoch」, 「Writer"s Diary」, and his view of art contained in such various writings was also repeated in his art criticism. Dostoevsky"s Art Criticism “About the Exhibition”, published in the September issue of the 「Writer"s Diary」 in 1873, shows a repetition of views on art seen by the author of “Exhibition at the Academy of Art in 1860-61“, which is also observes in ”A Notice for subscription to 「Vremya」 for 1861“, ”Mr. -bov and the Problem of Art“, and ”Short stories of N. V. Uspensky“. This serves as meaningful evidence to empower the possibility that the author of the article ”1860-61 Exhibition at the Art Academy“ is Dostoevsky himself.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미술작품 감상을 위한 색-개념 지향성 향 활용에 관한 연구

        이훈석 ( Hoon-suk Lee ),조준동 ( Jun-dong Cho )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4

        This article address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new art appreciation method using olfaction, which was not previously considered an important sense in expanding the cultural enjoyment of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human olfactory system is a faculty that is not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modern society; however, this is due to cultural factors, and from a biological point of view, the human sense of smell has sufficient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when various types of scent are perceived through this sense of smell, each has its own unconscious relation to color and concept, which researchers have termed “color directivity” and “concept directivity.” Through experiments, the researchers found that some specific scents have color directivity and concept directivity, and in using these scents, they succeeded in delivering information about colors used in artworks to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continue our research on the use of color-concept directional scents that can convey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colors and more diverse hues.

      • KCI등재

        비극서사의 전달매체로서의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의 작품들 -『죽은 병사』와 『비애의 마스크』를 중심으로-

        이훈석 ( Lee Hoon Su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본 논문은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로 대표되는 소련 비공식 미술가들의 작품이 소련 공식 주류 미술계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들에서 이야기하지 않는 비극적 사건들과 그로 인한 사회적, 실존적 고통을 어떻게 재현하는지, 그 재현이 사회 구성원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은 어떠하였는지, 그리고 그 고통의 문화적 재현이 사회구성원들에게 전달됨으로 인하여 앞으로의 현대 러시아 사회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가 1950∼60년대 제작한 소형 조각 작품들에는 작가 자신이 이른 나이에 직접 경험하였던 전쟁의 상흔과 고통이 그대로 반영되어있다. 그러나 그러한 그의 작품들은 양식적인 면에서, 그리고 주제적인 면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있었으며, 때문에 그의 작품들은 소련이 해체되기 전에는 그의 고국에서 전시될 수 없었다. 소련 정권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네이즈베스트니는 1990년부터 러시아에서의 활동을 재개할 수 있었으며, 스탈린 시기 국가기관의 폭력에 의한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비 제작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 추모비 건립 계획은 90년대 러시아의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적 문제들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하였으며 일부는 네이즈베스트니가 사망할 때 까지 실현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네이즈베스트니의 작품들이 현대 러시아 사회에서 지닐 수 있는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문화적 트라우마, 수행집단, 진보서사와 비극서사와 같은 문화사회학적 개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러시아 미술작품 연구는 작품이 지닌 미술사적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해당 작품에 반영되어 있는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대 러시아 사회의 문화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rticle explores the stylistic features and themes of the artworks of a world-renowned Russian artist Ernst Neizvestny, especially his small statues made between the 1950s and the 1960s and public sculptures produced in the period of the 1990s-2010s in connection with the tragic incidents of Russian society in the mid-20th century. The main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not only to examine the process of reproducing social suffering, which was generated by the tragedies of the Russian society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like WWII and Stalin’s political terrorism, which were represented in Neizvestny’s artworks, but also to study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of the reproduced social suffering, which was conveyed to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 changes of contemporary Russian society. Small statues, created by Ernst Neizvestny in the 1950s-60s, directly reflect the scars and agonies of the war, which the artist experienced in his early ages. Nonetheless, his artworks were not permitted to be exhibited in his homeland of Russia until the collapse of the reign of the USSR because they went too far against the principle of socialist realism not only in terms of their styles but also their themes. Neizvestny had to flew from the USSR and seek asylum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of oppression from the authoritarian Soviet regime and could start to work in Russia again only after 1990. He made drafts of the monuments of the victims of state violence under Stalin, but the projects for establishing these monuments were confronted with lots of difficulties not only because of economic problems but also political issues. Part of the projects could not be realized until the death of the artist. Not only formalist analysis and iconological analysis, but also cultural sociological concepts, like cultural trauma, collective agent, progressive narrative and tragic narrative were actively used for defining the cultural and social values of the artworks in this article. The study of the Russian ar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not only makes us rediscover their value and meaning in art history but also can help us grasp the outlines for analyzing the cultural structure of contemporary Russian society, which is reflected in the artworks.

      • KCI등재

        “예술가를 위한 데탕트는 없다.” -‘불도저 전시’의 소련 대외관계사적 맥락에서의 고찰-

        이훈석(Hoon Suk Lee)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1

        본 논문은 1974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비공식 미술가들의 야외전시를 브레즈네프 정권이 폭력을 통해 해산시킨 사건인 일명 ‘불도저 전시’에 대하여 다룬다. 흐루쇼프의 해빙기를 통해 1960년대 소비에트 문화, 특히 문학에서의 표현의 자유는 어느 정도 진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련의 실험적 현대미술은 엄격한 전시제한 조치로 인하여 공식 미술계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비공식 지하미술로서 긴시간 동안 억압받아왔다. 그러한 상황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조직한 첫 야외전시는 불도저를 동원한 사복경찰들의 무자비한 폭력으로 인해 무산되었고, 사건은 ‘불도저 전시’라는 명칭을 얻었다. 브레즈네프 정권은 사건 현장에 있던 해외 언론 기자들을 통해 사건이 국외로 알려지고, 소비에트 정부의 현대미술 탄압에 대해 부정적인 국제 여론이 조성되려는 움직임이 보이자, 당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던 대외정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여 비공식 미술가들과의 갈등에서 이례적으로 한 발 물러서며 국내정책마저 수정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는 브레즈네프 정권이 당시 대외관계 개선에 그만큼 목말라 있었음을 방증하는 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도저 전시’라는 사건 발생 과정을 먼저 살펴보고, 사건의 결과가 남긴 변화들을 당시 소련이 처해있던 국제 정세 및 대외관계와 관련하여 고찰해보도록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o-called “Bulldozer Exhibition,” an incident in which the Brezhnev regime dispersed the outdoor exhibition of unofficial artists in Moscow in 1974. While Khrushchev’s “Thaw” of the 1960s allowed some progress in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Soviet culture, especially in literature, the experimental modern visual art of the Soviet Union has been suppressed long time and had to be formed as an unofficial underground art, because of strict restrictions in the field of visual art. The first outdoor exhibition, which was organized to make a breakthrough in such a situation was thwarted by the merciless violence of plainclothes policemen mobilizing bulldozers, so the case earned the name “Bulldozer Exhibition.” As a negative public opin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bout the Soviet government’s brutal suppression of modern art had been created by international media at the site, Brezhnev’s regime unusually appeared to revise its domestic policy, taking a step back from the conflict with unofficial artists. That was because it feared that the “Bulldozer Exhibition” would negatively affect the foreign policy it was pursuing at the time. This case shows how Breznev’s regime was desperately eager to improve its foreign relations at the time. In this study, we would look at the process of occurring of the ‘Bulldozer Exhibition’ and examine the changes left by the outcome of the incident in relation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foreign relations that the Soviet Union was in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