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재타당화 및 한국과 베트남 고등학생의 잠재 평균 비교

        이효녕,박병열,전재돈,이현동,Hyonyong Lee,Nguyen Thi Thuy,Byung-Yeol Park,Jaedon Jeon,Hyundong Lee 한국지구과학회 202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1) 베트남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Lee et al. (2024)에서 보고한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의 타당도를 재검증하고, 2) 연구에 참여한 우리나라 고등학생과 베트남 고등학생 간 시스템 사고 능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베트남 고등학생 234명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20문항과 STS 척도 20문항에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타당도 분석은 문항 반응 분석(Item Reliability, Item Map, Infit and Outfit MNSQ, 남녀 집단의 DIF)과 탐색적 요인 분석(프로맥스를 활용한 주축 요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고등학생 475명의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잠재평균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어로 번역된 Re_ STMI 20문항의 문항 반응 분석 결과 Item Reliability는 .97, Infit MNSQ는 .67-1.38으로 나타났으며 Item Map과 DIF 분석에서도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모든 문항들이 의도한 하위 요인에 적재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662-.833, 전체 신뢰도는 .876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고등학생과 잠재평균비교를 위한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 도출된 모형 적합도 수치는 모두 수용 가능한 값으로 분석되었다(χ<sup>2</sup>/df: 2.830, CFI: .931, TLI: .918, SRMR: .043, RMSEA: .051). 마지막으로 연구에 참여한 우리나라 고등학생과 베트남 고등학생 간 잠재평균비교에서는 시스템 분석, 정신 모델, 팀 학습, 공유비전 요인에서 작은 효과 크기가, 개인 숙련 요인에선 중간 이상의 효과 크기를 보이며, 베트남 고등학생들이 시스템 사고 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개정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문항은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연구와 관련하여 베트남어 및 영어 등으로 번역한 문항을 활용하여 시스템 사고의 국제 비교 연구도 진행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revalidate the revised Systems Thinking Measuring Instrument (Re_STMI) reported by Lee et al. (2024) among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and (2)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ystems thinking abiliti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data from 234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ranslated Re_STMI consisting of 20 items and an Scale consisting of 20 items were used.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tem response analysis (Item Reliability, Item Map, Infit and Outfit MNSQ, DIF between male and fema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using Promax). Furthermo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with data from 475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latent mea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item response analysis of the 20 translated Re_STMI items in Vietnamese, the Item Reliability was .97, and the Infit MNSQ ranged from .67 to 1.38. The results from the Item Map and DIF analysis align with previous findings.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l items were loaded onto intended sub-factors, with sub-factor reliabilities ranging from .662 to .833 and total reliability at .87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latent mean analysi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students yielded acceptable model fit indices (χ<sup>2</sup>/df: 2.830, CFI: .931, TLI: .918, SRMR: .043, RMSEA: .051). Lastly, the latent mean analysi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students revealed a small effect size in systems analysis, mental models, team learning, and shared vision factors, whereas a medium effect size was observed in personal mastery factors, with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systems thinking. This study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_STMI items. Furthermo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n systems thinking using Re_STMI translated into Vietnamese, English, and other languages are warranted in the context of students' systems thinking analysis.

      • KCI등재

        과학 탐구 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적용

        이효녕 ( Hyo-nyong Lee ),이유정 ( Yu-jeong Lee ),이현동 ( Hyun-d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과학 탐구 과정 평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문헌 조사를 통해 루브릭에 포함될 주요 핵심 요소들을 정의하고 루브릭의 종류를 결정하였다. 루브릭을 개발하는 동안 연구 세미나를 통해 루브릭에 포함되는 요소들을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루브릭을 루브릭 검토 지침에 따라 과학교육 전문가 5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는 0.80∼0.95의 CVI 값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루브릭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광역시 소재 S중학교 2학년 50명과 3학년 110명의 수행평가에 적용하여 3인의 교사가 루브릭을 활용하여 탐구 과정 평가를 실시하였다. 루브릭의 신뢰도 측정을 위하여 교사들의 채점 결과를 통해 채점자간의 신뢰도(PA)와 Kappa계수를 산출한 결과, 적합한 신뢰도 결과가 나왔다. 끝으로 평가에 참여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루브릭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탐구 과정 평가 루브릭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수행과정을 타당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개발된 루브릭은 탐구 과제의 특성(예, 시·공간의 변화와 관련된 탐구)에 따라 일부 수정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학생 개개인에 적합한 피드백을 통해 과학 탐구 과정에 대한 이해와 학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rubric to assess secondary students` scientific inquiry process. Based on reviewing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the criteria to assess science performance have been selected, the types of rubric have been determined, and the key elements have been defined. The developed rubric has been revised during three research seminars and its preliminary validity had been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rubric was verified by five science education experts with a rubric review guidelines.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rated as high value of 0.80~0.95. The verified rubric was applied to evaluate fifty students in eighth grade and one hundred ten students in ninth grade. The ability and process of conducting experiments was evaluated by observing students, the assessment results with the rubric were produced by two teachers and the research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outcome, percent agreement (PA) between graders and Kappa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the validity appeared to be satisfactory. After reporting the assessment results and giving feedback based on each evaluation criterion, students` opinions on the assessment with the rubric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Students` performance in science can be appropriately evaluated with the performance assessment rubric in science inquiry. The developed rubric could be slightly modified depending on the feature of scientific inquiry (e.g., change of time and/or space). In addition, it could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scientific inquiry and process skills by giving feedback in detail.

      • KCI등재

        과학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측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시스템 사고 비교

        이효녕 ( Hyon Yong Lee ),이현동 ( Hyun Do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이효녕 등(2013)에 의해 개발된시스템 사고 측정 검사지의 타당도 재검 및 시스템 사고 측정 검사지를 활용하여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스템 사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것이다. 과학고등학교 학생 116명과 인문계 고등학교학생 553명에게 시스템 사고 측정 검사지를 투입하고SPSS 18.0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Amos를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PSS 18.0을 활용해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두 집단의검사지 평균을 독립표본 t-test를 수행하여 시스템사고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구조가 나타났으며 각요인별 4문항씩 적재되었다. 시스템 사고 측정도구의전체 신뢰도는 .875였으며, 각 하위 요인의 신뢰도는.693~.751로 신뢰로운 검사지로 나타났다. 확인적요인분석에서도 χ2/df값이 2.765, TLI는 .907, CFI 는 .929, IFI는 .930, RMSEA는 .044로 모형 적합도5개 수치에서 적합한 값을 보여주어 모형을 수용할수 있다. 그리고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스템사고를 t-test를 이용해 비교해 본 결과 시스템 사고전체 문항 뿐 아니라 모든 하위 영역에서 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우수한 시스템 사고를 하고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가 더 낳은 성과를 얻기위해서는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살펴보는 연구에서 다른 질적 연구 도구와 함께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학교 급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사고 측정 도구도 함께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revalidate the developed Measuring Instrument Systems Thinking and 2) to compare systems thinking skill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test, 116 gifted science students and 553 non-gifted students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average of the two groups. The finding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5 factors in the model with 4 items per single factor.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5 factor model: χ2/df : 2.765,TLI=.907, CFI=.929, IFI=.930, RMSEA=.044). The reliability for 20 items turned out to be high because the Cronbach`s alphas were at .875 and .693~.751 per each factor. In addition, the result of t-test showed that systems thinking skills among gifted scienc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gifted students. This study could be expanded to measuring systems thinking with qualitative research tools and to various school levels.

      • KCI등재후보

        자연계 고등학생과 공학 전공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이효녕 ( Hyon Yong Lee ),임영구 ( Young Goo 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글쓰기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자연 계열 318명과 전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 계열 학생447명을 대상으로 이공 계열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글쓰기 능력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효녕 외(2009)에 의해 개발된 이공계열 글쓰기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응답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기초 인식 조사 결과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글쓰기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글쓰기에 관한 어려움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이수과목은 대부분 기초 글쓰기과목이고 이공 계열 글쓰기에 대한 과목은 거의 이수하지 않았다. 공학 계열 대학생의 전공별 글쓰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조사에서 각 전공별로 학생들이 요구하는 글쓰기 교육의 수준이 달랐다. 글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필요성에서 화학공학 계열이 가장 높았고 기계공학 계열과 전자공학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와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는 글쓰기를 가르치는 교사나 교수에 대한 연구, 글쓰기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그리고 대학의 전공별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track and engineer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A total of 318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track from two high schools in a metropolitan area and 447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from thre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response their perceived status and needs of writing education for science-engineering track. The survey instrument, developed by Lee et al.(2009), was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for Windows for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latively perceived that writing education was less necessary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 found writing less difficult than university students do. In related to studying their experience with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almost no high school students have taken writing classes and university students have taken an average of one class. Most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writing classes took basic writing classes that were not programmed for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basic survey to revitalize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different majors, the level of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required by students in each major was different. Writing wa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students majoring in Chemical Engineering, followed by students majoring in Mechanical Engineering and Electronic Engineering. The study of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and college should extend to studies on teachers or professors who teach writing, studies on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programs for different majors in university.

      • KCI등재

        공학 계열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이효녕 ( Hyo Nyong Lee ),이상숙 ( Sang Sook Lee ),이성수 ( Seong Soo Lee ),김남석 ( Nam Seok Kim ),박경숙 ( Kyung Suk Park ),권혁수 ( Hyuk Soo Kwon ),임영구 ( Young Goo 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 계열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전국의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 계열 학부생과 대학원생 696명을 대상으로 공학 계열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 요구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이공계 글쓰기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논문과 대학교재를 수집 분석한 문헌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으며,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자료는 SPSS 14.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백분율 등의 기술적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학 계열 전공자들의 의식조사에서 64.1%에 해당하는 대학생과 85.9%의 대학원생이 글쓰기 능력이 부족하여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체계적이지 못한 대학 글쓰기 교육과 이공계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글쓰기 교육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세분화된 글쓰기 능력의 필요성의 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인문, 사회 계열은 물론 자연 계열과도 차별화된 글쓰기 능력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이는 공학 계열 글쓰기 교육이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차별화, 세분화, 전문화될 필요가 있음을 증명한다고 하겠다. 이 조사 결과를 통해 현재 공학 계열을 위한 글쓰기 교육 과정에 대해 재고하는 계기가 마련되고, 공학 계열 특성에 맞는 글쓰기 교육 방법과 수업 모델 그리고 교재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about writ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track. A total of 696 students on engineering track at 5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response their perceived status, problems, and needs of writ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64.1% of engineering undergraduates and 85.9% of the 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expressed that it was difficult to study their major due to lack of writing skill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major reasons were non-systematic writing education and no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In relation to students` needs for writing education, they reported that the writ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track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rack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specified, expertly for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The results in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curriculum of writ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regarding engineering track-based writing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송파산대놀이> 문화재 지정 전후 연희자 연구

        이효녕 ( Lee Hyo-nyo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본고는 문화재 지정을 전후로 한 송파산대놀이 연희자들의 삶과 연행을 살펴보면서, 그 속에서 나타나는 송파산대놀이의 변화 및 전승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2장에서는 송파산대놀이의 유래설과 을축년 대홍수 이전 연희자들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면서, 이를 통해 발견되는 연희자들의 인식과 특징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을축년 이후 송파산대놀이를 주도 했던 돌마리 연희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재 지정 전까지의 전승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그동안 부족했던 돌마리 연희자들의 연행과 삶의 행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됐으며, 특히 이범만, 여태산, 엄준근 등에 대한 실상은 기존 연구와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3장에서는 허호영을 중심으로 문화재 지정과 그 이후의 전승양상을 고찰했다. 이제까지의 논의에서는 허호영이 문화재 지정에 큰 기여한 것은 사실이나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졌는지는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또한 허호영 자체에 대해서도 밀도 있게 논의되지 않아, 마치 수수께끼의 인물과 같은 인상을 갖고 있었다. 여러 문헌과 기록을 재검토하고 제자들, 현지인들의 증언을 종합한 결과, 허호영이 송파산대놀이는 물론, 다양한 전통예술의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허호영이 남긴재담, 춤사위, 탈 등은 그의 연행을 새롭게 평가할만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와 같은 사실들은 송파산대놀이를 떠나 현재 그 실체가 선명하지 못한 본산대놀이의 연행양상을 고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ve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Songpa Sandae-nori(a korean traditional mask dance drama)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as cultural heritage, and reviews the changes and the inheritance patterns of the mask dance which appeared in the lives of the performers. Chapter 2 reviewed previous debates about the derivational theory and the players of Songpa Sandae-nori before the flood in 1925, and discussed on awar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ers found through the review. Then the study went on to the inheritance patterns of the drama before the designation, focusing on the figures of Dolmari(a name of village in Songpa, Seoul) players who led the stage after 1925. As a result, the missing part of the activities and the lives of Dolmari performers have been more clearly identified, especially about Lee Beomman, Yeo taesan and Eum Joongeun(the main performers of Songpa Sandae-nori). Chapter 3 is about the inheritance patterns of the cultural heritage after the designation, and Heo Hoyoung was the main focus of the discussion. The researches so far have admitted his great contributions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asset, although they have not proved how. After investigating various records and combining the testimonies of his students and locals, Heo Ho-young was found that he did not only gave plays of Songpa Sandae-nori but also actively engaged in the field of various traditional arts. Furthermore, jokes, dances, and masks left by him are considered to be evidences to reassess his performances.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이효녕 ( Hyonyong Lee ),권혁수 ( Hyuksoo Kwon ),박경수 ( Kyungsuk Park ),이현동 ( Hyindo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10 validate the scale. The scale of systems thinking was made up for 5 factors - systems thinking, mental model, shared vision, personal mastery, and team learning through analyses of related literature. Six items per factor were constructed and the scale consisted of a total of 30 items for the pretest. Aft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totaJ items was reduced to 20 items. For the main test, 280 students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 and analyzed valid cases were 260 students. The finding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5 factors in the model, and 4 items per single factor.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5 factor model: x2/df=1.275, TLI=.946, CFI=.959, RMSEA=.033). The reliability for 20 items turned out to be reliable because the Cronbach`s alphas were .840 and .604-.723 per each factor. This study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school levels and should be standardized for further research. The subsequent studies regarding diverse leari1ing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the verification on the students` impact within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recommended.

      • KCI등재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이효녕 ( Hyo Nyong Lee ),권혁수 ( Hyuk Soo Kwon ),박경숙 ( Kyung Suk Park ),오희진 ( Hee Jin 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2

        통합적 STEM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의 내용과 과정을 체계적이고 의도적으로 통합하려는 공학적 설계기반 학습을 말하며, 다른 교과와 통합을 통해 더욱 발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을 위한 기초연구이며, STEM 교육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STEM 교육의 가치와 핵심 요소를 분석하고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모형의 개발 및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대표적인 예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모형에 포함될 요소를 확정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행 연구에 포함된 내용과 탐구 과정을 분석하여 통합적 STEM 교육 모형을 구성하였다.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분석 결과 CVR 값의 평균은 0.78로 구성된 모형은 내용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STEM 교육 모형은 내용과 탐구 과정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진다. 내용의 측면은 실생활 문제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과학, 기술, 공학, 수학 그리고 인문사회와 예술적 소재까지 포괄할 수 있으며, 탐구 과정은 설계와 제작을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 과정이다. 탐구 과정은 과학 탐구를 기반으로 하여 기술·공학적 문제해결 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실생활 문제를 분석하고,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STEM 교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문제에 포함된 지식과 탐구의 방법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어, STEM 교과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과학,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소양과 설계 기반의 문제해결력을 배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tegrative STEM education is an engineering design-based learning approach that purposefully integrates the content and process of STEM disciplines and can extend its concept to integration with other school subjects. This study was part of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an integrative STEM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cience inquiry proces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relevant literature related to STEM education, analyze the key elements and value of STEM education, develop an integrative STEM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science inquiry process, and suggest an exemplary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confirm key elements for integrative STEM education and finally constructed the integrative STEM education model through analyzing key inquiry processes extracted from prior studies. This model turned out to be valid because the average CVR value obtained from expert group was 0.78. The integrative STEM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science inquiry process consisted of two perspectives of the content and inquiry process. The content can conta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liberal arts/artistic topics that students can learn in a real world context/problem. Also, the inquiry process is a problem-solving process that contains design and construction and is based on the science inquiry. It could integrate the technological/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cess and/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Students can improve their interest in STEM subjects by analyzing real world problems, designing possible solutions, and implementing the best design as well as acquire knowledge, inquiry methods, and skills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e developed programs could be utilized in school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STEM disciplines and interest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program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ostering convergence literacy and cultivating integrated and design-based problemㆍsolving ability.

      • KCI등재

        의학계열 학생들의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및 시스템 사고간의 경로 분석

        이효녕(Lee Hyonyong),이현동(Lee Hyundong),오희진(Oh he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이 연구는 의학계열 학생들 사이에서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시스템 사고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유의 한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와 문헌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 동기 및 과학 자기 효능감이 시스템 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연구 대상은 의학계열의 모든 전공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P 대학교 의학, 치의학, 한의학을 전공하는 전체 187 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조사 도구는 과학 동기 척도 30 개 항목, 과학 자기 효능감 척도 29 개 항목, 시스템 사고 설문지 20 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잠정적 경로 모형을 수립하고 적합도 지수와 경로 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고려하여 최종 경로 모형을 결정하고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 하였다. 가설을 검증 한 결과 구조 방정식 모델의 적합도가 적절하게 나타났다 (χ2( df = 1.046, CFI = .999, TLI = .999, RMSEA = .016). 결과적으로 체계적 사고는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선호, 곤란도와 자기 조절 효능감을 통해 과학 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자기 결정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자기 조절 효과, 과학 동기의 자기 결정 변수를 고려하여 시스템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스템 사고는, 전문 의학 지식을 활용한 임상추론 역량을 향상시키고 논리적 사고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임상 현장에서 의료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시스템사고는 의학계열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배양되어야 할 역량이다. This study was to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motivation, science self-efficacy, and system thinking among medical students and was to analyzed significant correl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s follows : science motivation and science self-efficacy will affect on system thinking. A total of 187 students who major in medicine, dentistry, and korean medicine at P University was participated. The survey consisted of 30 items of science motivational scale, 29 items of science self-efficacy scale, and 20 items of system thinking questionnaires.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 tentative path model was established and the final path model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goodness of fit index and the path coeffici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as explor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e goodness of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eared appropriate (χ2/ df = 1.046, CFI = .999, TLI = .999, RMSEA = .016). Consequently, system thinking was associated with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of science motivation through the preference difficult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of science self-efficacy.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o improving system thinking depends on considering variable, the self-determination of scienc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efficacy of science self-efficacy. Therefore, system thinking is the ability that should have continuously improved in the medic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