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자(荀子)에서 경험의 교육적 의미

        이유정(Lee, Yu-Jeo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순자의 경험을 체험으로서의 경험, 인식 토대로서의 경험, 습관화로서의 경험으로 나누어서 그 의미를 고찰하고, 각 양태의 경험이 학습에 기여하는 바를 논하며, 순자 경험론의 제한점을 검토하였다. ‘체험으로서의 경험’은 학습자가 매개체를 통하지 않고서 사물이나 현상을 몸소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는 체험을 통해 대상이 지닌 속성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환경 조건의 개선과 도구 사용을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경험에 이를 수 있다. ‘인식 토대로서의 경험’은 인간이 지닌 지각 능력에 인지적 토대를 제공하는 감각 경험의 획득과 누적을 의미한다. 학습자는 이 과정을 통해 인지적 개념을 가질 수 있고, 인지 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 ‘습관화로서의 경험’에서는 바람직한 행위의 패턴을 습득하고, 그러한 경험을 누적해야 한다는 것이 강조된다. 교사는 학생에게 습관의 내용을 제시하고 스스로 모범이 됨으로써 습관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순자의 경험은 그것이 질적으로 구분되고 도덕적 습관화의 경험을 한층 강조한다는 점, 그 내용이 기존 규범으로 한정되며 주로 교사에 의해 마련된다는 점, 다양한 반응양식을 인정하는 대신 일정한 모범의 방식을 답습하게 한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Xunzi’s (荀子) idea of ​​experience by dividing it into ‘experience as direct experience’, ‘experience as a basis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as habituation’ and to discuss the contribution and the limitations of experience. Experience as direct experience means that the learner directly experiences an object or phenomenon without going through a medium. The learner can clearly know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through direct experience, and can reach a higher level of experien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use of tools. Experience as a basis of perception refers to th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of sensory experiences that provide a cognitive foundation for perceptual abilities.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can have cognitive concepts and develop cognitive abilities. Experience as habituation emphasizes the need to acquire desirable patterns of behavior and accumulate those experiences. The teacher contributes to habituation by presenting the contents of the habit to the students and becoming a model for themselves. However, Xunzi s idea of experience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quality of experience is differentiated, and the experience of moral habituation is further emphasized; the content of the experience is defined by norms and is mainly provided by the teacher; Xunzi does not take into account different responses to experiences and requires learners to follow exemplary response patterns.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삼국유사』에서 정치,종교 지도자가 추구한 인간상과 교육적 함의

        이유정 ( Yu Jeong Lee ),김영훈 ( Young Hun Kim ),신창호 ( Chang Ho Shi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8 No.-

        본 연구는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주요 정치지도자와 종교지도자가 추구한 모범적 인간상을 고찰하고, 그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작업이다. 『삼국유사』에는 다양한 차원의 영웅적 인물이 등장하는 데, 이들은 국가체제의 발전에 기여한 정치지도자와 불교의 전파와 부흥에 이바지한 종교지도자로 분류할 수 있다. 주요 정치지도자로 박노례, 선덕여왕, 죽지랑, 충담, 김제상, 안길, 간진, 경문대왕, 이차돈 등 아홉 명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삶과 정치적 행위는 통치의 대상인 동시에 잠재적지도자로 묘사된다. 현재는 통치의 대상이지만 자신의 과업을 훌륭하게 달성하여 미래에는 정치력을 발휘할 지도자로 그려진다. 그들에게 강조되었던 덕목은, 용기, 충성, 섬김, 조력, 지혜, 통찰력 등으로 정돈할 수있다. 특히, 지혜와 통찰력의 경우, 현재의 지도자에게도 강조된다. 한편, 원광, 자장, 원효, 의상, 진표, 혜통, 월명사, 정수사 등 여덟 명의 종교지 도자는 불도의 경지와 계율의 설법을 통해 그들의 수행 수준을 알려 준다. 개별적으로는 불교 제도의 정비나 대중교화, 계율설법, 경전 전수 등이 기준이 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계율 설법이 상당히 강조되고있다. 이는 당시 종교지도자에게 종교 이해는 물론, 계율의 강연이 매우중시되었음을 암시한다. 요컨대, 『삼국유사』에 그려지는 정치?종교지도자들은, 당시 시대정신에 충실하여 체제를 유지하고 그것을 위한 사상의 전파에 헌신한 교육지도자로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at an example image of men which political and religious leaders seek in SamGukYu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and then to show the educational meaning. There appear heroic characters of various dimensions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y could be classified as political leaders who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national system and religious leaders who contributed to a revival and spreading of Buddhism. This paper explores nine persons` achievements of Bak No-Re, the queen Seon-Deok, Juk Ji-rang, Chung Dam, Gim Jae-Sang, An Gil, Gan Jin, the king Gyeong Mun, and I Cha-Don as major political leaders. These persons` lives and political actions are described as political objects and potential leaders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y are political objects now, they are drawn as leaders who can show political power in the future if they achieve their work successfully. Emphasized virtues for them are courage, loyalty, taking care of, assistance, wisdom, and insight. Especially, wisdom and insight are accentuated to even current leaders. On the other hand, eight religious leaders of Won Gwang, Ja Jang, Won Hyo, Ui Sang, Jin Pyo, Hye Tong, Wol Myeong Sa and Jeong Su Sa show their fulfillment level through preaching religious precepts and the stage of Buddhism. Individually, modification of Buddhism system, public edification, preaching religious precepts, and handing down Buddhist scriptures may become criteria. On the whole, preaching religious precepts is emphasized very much. It is implied for religious leaders at that time that religious understanding and even religious precepts are very important. Finally, political and religious leaders appearing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could be recognized as educational leaders who keep national system in devoting the spirit of the times and dedicate spreading thought for it.

      • KCI등재

        전국시대 문헌에서 마음[心]의 의미와 마음공부의 방법

        이유정(Yu-Jeong Lee)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d/heart (心)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戰國時代) texts and to compare the meaning of emptiness (虛) and stillness (靜) as a mind practice method by focusing on Zhuangzi (『莊子』), Guanzi (『管子』), and Xunzi (『荀子』). The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explain that the mind/heart that exists within human beings drives the senses, thoughts, and actions. However, Zhuangzi did not explain the abilities of the mind/heart in detail, Guanzi acknowledged the rule of the mind/heart but described that it occurred passively, while Xunzi most actively acknowledged the rule of the mind/heart and emphasized its cognitive ability. The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assume the Dao (道) as the content of mind practice, and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degree, it was considered to be possible to acquire the Dao (道) through mind practice. While Zhuangzi and Guanzi describe the emptiness (虛) of mind/heart as the removal of sensations or lust and the breaking of egocentric thinking, Xunzi explains emptiness (虛) as a receptive cognitive attitude to receive new information. While Zhuangzi and Guanzi suggest a break from the senses, emotions, desires, and artificial values as a way to achieve stillness (靜) of the mind/heart, Xunzi explains the stillness(靜) of the mind/heart as the relaxation of conscious activity for subsequent cognitive activities. 본 연구는 『장자(莊子)』, 『관자(管子)』, 『순자(荀子)』를 중심으로 전국시대 전래문헌에 보이는 마음의 의미를 검토하고, ‘허(虛)’와 ‘정(靜)’이라는 마음공부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전국시대 문헌들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마음이 감각, 사유, 행위 등을 추동한다고 보았다. 다만 『장자』는 마음의 통제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고, 『관자』는 마음의 통치는 인정하나 그 통치가 소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으며, 『순자』는 마음의 통치를 가장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마음이 지닌 인지능력을 중시하였다. 전국시대 문헌들은 도(道)를 마음공부의 내용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마음공부를 통해 도(道)를 체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긴다. 『장자』와 『관자』는 마음 비움[虛]을 감각이나 사욕의 제거, 자기중심적 사고의 타파로 서술하지만, 『순자』는 마음 비움을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적인 인식 태도로 설명한다. 『장자』와 『관자』는 마음의 고요함[靜]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감각, 감정, 욕망, 인위적 가치로부터의 탈피를 제시하지만, 『순자』는 마음의 고요함을 추후의 인지 활동을 위해 마음의 의식활동이 휴식을 취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 KCI등재

        언해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충신도(忠臣圖)」에 나타난 충(忠)의 전형과 백성 교화 방식

        이유정(Yu-Jeong Lee),박혜영(Hae-young Park)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4 敎育思想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언해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충신도(忠臣圖)」에 나타난 충(忠)의 전형적 의미와 표현상 특징을 분석하여 당대 백성 교화 방식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언해본 『삼강행실도』 「충신도」는 조선 전기 지배층의 시각에서 산정된 교화서로, 내용면에서 충의 전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그림과 교술적 시문(詩文)으로 표현하여 충의 이념을 전달하였다. 「충신도」에 묘사된 충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국가나 국왕의 보존을 위하여 신하 개인의 목숨뿐만 아니라 가문의 존속을 걸고서라도 지켜야 하는 덕목이었다. 「충신도」는 사대부 남성만의 사례를 소개하여 부녀자와 일반 백성이 그대로 모범으로 삼기 어려웠다. 또한 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극단적인 장면이나 자극적인 묘사를 사용하였기에 일상생활의 윤리적 지침이 되지는 못하였다. 무엇보다 「충신도」는 군신 간의 상호적 윤리 대신 국가와 왕에 대한 일방적인 충성과 절대적인 희생을 요구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삼강행실도』에 수록된 그림은 백성을 교화하는 도(圖)로, 충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실용・감계적 성격을 지녔다. 충을 제시하는 한문 산문과 시는 교술(敎述)의 방식으로 지배층의 의식을 드러내었다. 언해본 「충신도」는 언해문(諺解文)으로서 백성들이 교화서를 직접 읽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필요 없는 내용을 생략하여 충의 이념 전달에 집중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 전기 지배층은 「충신도」의 그림과 언어를 통해 자신들이 규정한 충의 전형을 백성들에게 효과적으로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pitome of loyalty (忠, zhong) and the expressive features of Chungsindo (忠臣圖) depicted in the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Samganghaengsildo (三綱行實圖) to discuss how Joseon ruling class edified people. Loyalty was depicted in Chungsindo as a virtue that must be upheld even in desperately dangerous situations, where individual subjects’ lives and the survival of the family may be at risk, to preserve the state or the king. Since Chungsindo only focused on the case of shidafu (士大夫), it was difficult for the common people to follow its example: it could not serve as an ethical guide for everyday life as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oyalty using extreme situations and provocative descriptions. Importantly, Chungsindo has limitations; it demanded the absolute and unilateral loyalty of the people to the state and the king, instead of presenting a reciprocal ethics between the king and the subject. The paintings in the Samganghaengsildo were intended to edify the people and were practical and didactic in explaining loyalty. Chinese prose and poetry depicting loyalty expressed the consciousness of the ruling class through didactic text. The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Chungsindo focused on conveying the meaning of loyalty by making the text more accessible to the people and omitting unnecessary contents. Therefore, the Joseon ruling class attempted to effectively internalize their prescribed model of loyalty among the people through Chungsindo's paintings and language.

      • JUnit과 JTestCase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테스트 데이터 및 코드 생성 도구

        이유정(Yu-Jeong Lee),최승훈(Seung-Hoo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신뢰성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해 테스트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특히, 최근에 점진적이고 반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 각광을 받으면서 소프트웨어의 잦은 변경에 따른 회귀 테스트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단위 테스트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JUnit은 자바 클래스의 단위 레벨 테스팅을 도와 주는 테스트 지원 프레임워크이다. 또한, JTestCase는 테스트 데이터와 테스트 코드를 분리함으로써, 데이터 중심 테스팅(data-driven testing)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JUnit 확장 프레임워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개의 테스트 프레임워크와 자바 리플렉션 API를 이용하여, 하나의 클래스 파일을 읽어 들여 XML 형태의 테스트 데이터 파일과 테스트 드라이버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도구를 제안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도구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테스트 도구는 회귀 단위 테스트에 필요한 노력을 줄여주고, 자바 클래스 단위 테스트를 지원하는 도구 개발의 기반 기술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이 생산성을 향상시켜 준다.

      • <포의교집> 남성주인공 "이생"에 관한 연구- 남성의 사랑과 불륜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유정 ( Yu Jeong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2 한국어와 문화 Vol.12 No.-

        본고는 <포의교집>을 남성주인공의 입장에서 새롭게 읽어 보고자, 이생이 입각한 현실적 맥락과 그의 세계관을 토대로 그의 불륜과 사랑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포의교집>의 이생은 초옥과의 불륜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두려움과 자랑거리, 망설임 이라는 복합적인 심리를 드러낸다. 이는 그가 초옥과의 불륜으로 얻어지는 ``쾌락``을 통해 팍팍한 서울 생활로 부터의 ``탈주``를 꾀했지만, 그녀와의 관계가 깊어질수록 다양한 현실원칙이 그를 갈등상황에 빠뜨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포의교집>의 사랑은 각자의 현실적인 이유들로 끝내 본질적인 소통을 이루지 못하다가 남성의 이기심과 계층적 편견에 의해 파경을 맞게 된다. 즉, 이생에게 사랑은 숭고한 이상이나 관념이 개입될 수 없는 지극히 현실적인 개념이었기에 ``초옥``과의 계층을 초월한 인격적인 만남이란 애초에 불가능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초옥과 이생의 불륜을 <포의교집>의 작가는 일상성과 관련지어 묘사하고, 이를 통해 소소한 진실들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등장인물들을 가치 평가의 대상으로 삼기보다 욕망을 가진 한 인간으로서 최대한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I attempt to re-read Po-Eui-Gyo-Jip. The final goal of this article is clearing that there is man``s selfishness and class consciousness in the cause of love-collapse, and this esthetic sense of work is extremely realistic and ordinary. This paper researches this subject through the love trouble and tragic characteristics of Po-Eui-Gyo-Jip. I``ve studied the meaning of Yi-saeng``s love and his adultery. In Po-Eui-Gyo-Jip egoistic desire among man and woman is extremely discord and comes to lack understanding, as the results man``s selfishness brings about definite collapse. Po-Eui-Gyo-Jip appears that Yi-saeng``s mixed heart, confusion, postpone, fear, scared and proud as he has an affair with Cho-ok. He wants to get ``to escape`` from his own tired Seoul life while he has an affair with Cho-ok who gives him ``a pleasure``, but I think it seems that the more he loves her, the more he confronts the wronger situation of conflictive life. That is to say tragedy of Po-Eui-Gyo-Jip is situated in the fact that discord desire among man and woman plants its roots deeply in unavoidable realistics. Generally people will say Cho-ok``s love is true, but in Yi-saeng``s position his snobbish love is true. The problem is that though Yi-Saeng never doesn``t understand Cho-ok``s desire. In conclusion, after the exposure of Yi-saeng``s selfishness, their``s separation was determined course from the beginning. This tragic characteristics of Po-Eui-Gyo-Jip is very unfamiliar in our history of classic novel. It was inevitable to reduce or distort female desire as a result of keeping the male-oriented perspective.

      • KCI등재

        퇴계(退溪)와 다산(茶山)의 마음[心]에 대한 이해와 공부

        이유정(Yu-Jeong Lee),박혜영(Hae-young Park),김미소(Mi-so Kim)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퇴계(退溪)와 다산(茶山)에게서 마음[心]에 대한 이해를 검토하고, 퇴계와 다산의 마음공부론을 비교하여 교육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퇴계와 다산은 세계의 이치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마음의 역할에 주목하였으며, 마음의 양태를 분명하게 구분하고 선한 마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마음공부의 요체인 경(敬)은 미발(未發)・이발(已發), 신독(愼獨), 사조설(四條說)에서 나타났다. 미발(未發)에 대한 퇴계와 다산의 관점은 ‘지향적 의식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와 ‘감정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라는 차이점을 지니지만, 양자는 모두 ‘의식이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상태가 모든 마음의 활동[未發・已發]에 유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신독(愼獨) 공부에 대하여 퇴계는 홀로 거처하는 상황에서도 삼가고 신중히 하는 공부를 중시했으나, 다산은 신독(愼獨)을 자신만 알 수 있는 마음속 일들을 돌이켜보아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는 수양으로 이해하였다. 경(敬)의 사조설(四條說)과 관련하여 퇴계는 성리학적 전통을 계승하되 정제엄숙(整齊嚴肅)을 중시함으로써 실천적인 경(敬) 공부를 강조했고, 다산은 정자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마음의 집중을 통한 적극적인 사유를 중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마음이 인간교육의 궁극적인 토대임을 확인하였고, 의식이 깨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마음교육, 학습자의 책임의식을 요구하는 마음교육, 일상적 실천에서 시작하는 마음교육의 의의를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understanding of mind/heart (心) of Toegye (退溪) and Tasan (茶山), compares their theories of mind practice, and deriv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ir understanding. Toegye and Tasan focused on the role of the mind/heart to correctly perceive the world's li (理), clearly distinguished the aspects of the mind/heart, and emphasized efforts to develop a good mind. Jing (敬), which is the essence of mind/heart practice, is mentioned in the discussion on wei fa (未發)·yi fa (已發), shendu (愼獨), and four explanations of jing (四條說). Toegye and Tasan differed in that the former regarded wei fa (未發) as a state in which directional consciousness is not aroused, while the latter regarded it as a state in which emotions are not aroused. However, both emphasized maintaining an awake state of consciousness and believed that this state should be maintained in all activities of the mind/heart. Regarding shendu (愼獨), Toegye emphasized the practice of caution and prudence even when living alone. On the other hand, Tasan understood shendu (愼獨) as cultivating a state of not being ashamed when reflecting on matters that only oneself can know. Regarding the four explanations (四條說) of jing (敬), Toegye emphasized cultivating practical jing (敬) by prioritizing zhengqiyansu (整齊嚴肅). Tasan criticized Cheng Yi’s (程子) opinions and emphasized active thinking through concentration of the mind/heart. This study found that the mind/heart is the ultimate foundation of human education and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a mind/heart practice that maintains an awake state, requires the learner’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egins with daily practice.

      • 사용자일정 기반 문화데이터 추천 캘린더의 설계 및 구현

        이유정 ( Yu-jeong Lee ),허유경 ( Yu-gyeong Heo ),공민경 ( Min-gyeong Gong ),문미경 ( Mikyeong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최근 여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여가생활,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정해진 일정 사이의 자투리 시간에 즐길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일일이 공연, 전시, 관람 등의 일정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 일이 번거로워 문화생활을 즐기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데이터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맞춰 이용할 수 있는 문화데이터를 추천해주는 캘린더의 개발내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캘린더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투리시간을 이용하여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고,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기면서 여가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어 관계대명사 지도 방안 -한국인 고등학생 EFL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유정 ( Yu Jeong Lee ),이고희 ( Go Hee Lee ),김경자 ( Kyung Ja Kim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21 Vol.2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use of English relative pronouns through the error analysis. 160 first-grad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Gwangju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tested using 37 items, which contained English relative pronouns. Student errors were divided into 3 parts: 1) a grammatically judgement task, 2) a gap-filling task, and 3) a task comparing restrictive with nonrestrictive function. The analysis of grammatically judgement task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the most difficulty with the use of an appropriate relative pronoun omission. Whose was ranked as the highest error rate and who as the lowest. The degree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restrictive relative pronoun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t showed that the hierarchy of difficulties from the easiest to the most difficult was as follows: OS>SS>OO>SO. The study also suggested some ways to help the students acquire English relative pronouns effective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aching relative pronouns was to provide meaningful contexts in which students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