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센서 불확실성을 고려한 PMBM 필터 기반 다중센서 융합 추적알고리즘

        이혜림(Hyerim Lee),최재호(Jaeho Choi),허건수(Kunsoo H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2 No.6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the need for reliable perception performance has emerged. Perception in autonomous driving is to properly recogn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 autonomous vehicle must track both static and dynamic objects, such as roads and buildings, as well as pedestrians and cars. Research on dynamic object track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existing studies show limitations in special situations where multiple objects overlap each other, or objects are temporarily completely covered during tracking.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autonomous driving sensors such as cameras, LiDARs, and radars are used, and sensor fusion that properly fuses them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s it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ach sensor.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entralized dynamic object tracking algorithm using multiple sensors. We introduce a method for fusing in consideration of unique sensor data uncertainty and tracking based on the Poisson Multi-Bernoulli Mixture filter using fused data. A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ctual vehicle data and a NuScenes datase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not only maintains robustness in situations such as sensor faults but also probabilistically manages the birth and death of tracks, resulting in better results than existing tracking algorithms.

      • KCI우수등재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응 유형과 환경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림 ( Hyerim Lee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4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감과 문화적응 유형, 가정/사회/정책 환경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2015년 수집된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집단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 다문화가족청소년은 세 개의 집단으로 식별할 수 있었고,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통합유형, 동화유형, 주변화유형으로 명명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통합유형은 동화, 주변화유형보다 우울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족 청소년이 우울감을 경험할 가능성은 아버지와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학교폭력 및 사회적 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을수록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최근 다문화가족정책의 동향과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①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전인적인 성장/발달에 대한 지원 보강, ② 부모-자녀 관계 개선에 대한 세심한 지원, ③ 한국사회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types and family, societal, and policy environment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MF) on their depressive symptoms(N=4,466) employing 2015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NSMF), which is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and sponsor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LCA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are three acculturation types among the AMF. Author labeled on them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respectively, considering each groups’ characteristics. Second,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tegration is higher possibilities to experience depressive symptoms tha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his/her father seems to be decreased the possibilities that the AMF could experience depressive symptoms. But its possibilities could be increased by bullying at school and perceived social discrimin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MF, considering current trend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nd the results together: 1) sophisticated support for the full-fledged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2) delicate support for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3) the need for the municipalities to intervene the policies proactively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in their jurisdic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과 학령기 후기 아동의 Broca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연구

        이혜림(Hyerim Lee),이경은(Kyoung-Eun Lee),고광석(Kwang Suk Ko),홍은아(Eunah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발달과 성장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기에는 비만뿐 아니라 부적절한 저체중 또한 장·단기적으로 많은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의 비만과 관련된 건강문제 및 개선책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저체중과 관련된 건강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실제로 아동의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어머니임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들의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과 학령기 아동의 저체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특히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것은 한국 학령기 아동의 저체중을 가져오는 환경적 요인, 그중에서도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가족의 생활습관에 대한 현실과 연구 사이에 큰 괴리(missing gap)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을 분석하고, 어머니들의 건강과 관련된 생활습관 및 체질량지수가 그들의 학령기 후기 자녀의 체질량지수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와 자녀의 체질량지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r=0.345, P<0.001), 이는 어머니의 저체중 정도가 클수록 자녀의 저체중 정도 또한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령기 아동들의 체중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친밀하게 관계를 맺는 어머니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재조명해 주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Broca 지수가 90% 미만인 저체중인 어머니가 82.4%로 다수를 차지하는 것과 연관하여 중년 어머니가 저체중 상태에서 적정수준의 운동을 하지 않음으로 인한 전반적인 체력 저하가 있을 수 있음이 의심되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운동 부족과 건강하지 못한 운동습관이 자녀의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어머니의 식습관, 요리습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는 대다수의 참여자가 저체중인 그룹에 속하는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저체중 그룹 내 어머니의 식습관과 요리습관이 좋을수록 체질량지수가 정상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결과는 좋은 식습관과 요리습관이 건강상태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만뿐만 아니라 저체중 그룹 내에서도 적절한 식습관과 요리 습관이 체질량의 적절한 증가와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자녀의 Broca 체질량지수 분류별 어머니의 Broca 체질량지수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7.158, P<0.001). 요리습관만을 사후분석 하였을 때 저체중군이 정상군보다 요리습관의 평균점수가 높아 자녀가 저체중군인 어머니들이 자녀가 정상군에 속한 어머니들보다 더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은 물론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녀의 저체중과 어머니의 요리습관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를 거의 찾을 수 없는 실정을 고려할 때 이 두 요인과의 상호 연관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저체중 그룹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 및 건강문제 예방을 위해 어머니들의 건강한 요리습관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며 이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는 향후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령기 후기 아동의 체질량지수와 학령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의 다각적 측면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에 동시에, 어머니의 생활습관 변화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저체중 및 과체중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연구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mothers" eating, cooking, and exercise habits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habits and their late school-aged children"s Broca index. A total of 393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mother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who registered at four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of which 159 participants (40.0%) complet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regression coeffici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cooking habit (F=3.920, P=0.022) and exercise habit (F=3.211, P=0.043)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 Interestingly, 82.4% of mothers had a Broca index of less than 90% of normal body mass level.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Broca index between mothers and their late school-aged children (r=0.345, P<0.001) indicated that children whose mothers had a low body mass level also tended to have a low body mass level. In this study, late school-aged children"s Broca index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mother"s eating (r=-0.072, P=0.367) or exercise habits (r=-0.010, P=0.897) bu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mother"s cooking habits (r=-0.157, P=0.048). Considering there are few studies examining the impacts of mother"s cooking habits on their children"s appropriate body mass, th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o cultivate mothers" healthy cooking habits to improve school-aged children"s health status is very import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data that could be used when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multi-dimensional impacts of mothers" life habits on their last school-aged children"s developmental health status.

      • KCI등재
      • 나이브 베이즈 분류 기반의 핫 데이터 구분 기법

        이혜림 ( Hyerim Lee ),윤이빈 ( Yibin Yun ),박동철 ( Dongchul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최근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Solid State Drive(SSD)가 기존 Hard Disk Drive(HDD)를 대신하여 개인용과 산업용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핫 데이터 구분 기법은 이러한 SSD 의 성능과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Garbage Collection(GC)과 Wear Leveling(WL) 기술의 기반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핫 데이터를 예측하기 위한 나이브 베이즈 분류 기반의 새로운 핫 데이터 구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워크로드 액세스 패턴의 학습 단계인 초기 단계와 실제 운영 단계를 통해 다시 액세스 될 확률이 높은 데이터를 그렇지 않은 데이터와 효과적으로 구분한다. 다양한 실제 trace 기반 실험을 통해 본 제안 기법이 기존 대표적인 기법보다 평균 19.3% 높은 성능을 확인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적응유형과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림 ( Hyerim Lee ),조민효 ( Rosa Minhyo Cho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에서 실시 한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2,010명)의 적응유형과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은 동화유형, 분리유형, 주변화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화유형에 속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주변화집단에 속한 여성보다 취업 할 승산비가 5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은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하는 모임(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로 측정하였으며, 분석결과 지역주민모임에 참여하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하지 않은 여성보다 취업 할 승산비가51%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형에 따른 취업효과에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government allowed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MIW) to be residents as spouses of the citizens. The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stitutionally. According to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of 2012, the Korean fluency of MIW is improved much better than NSMF of 2009. It’s the evidence of programs impact on their assimilation to Korea society. In addition, the author infers the variation of the Korean fluency of MIW is very closely related in their acculturation patterns. Therefore, the author establishes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to analyze empirically; 1) Are there difference of acculturation patterns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VMIW)?, 2) Do acculturation patterns impact on employment?, 3) Does social capital of VMIW impact on employment? The author conducted k-means clustering analysis using a sample of 2,010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VMIW)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of 2012 to analyze variation in the degree to which they have assimilated to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Results indicated that VMIW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acculturation patterns: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authors further tested whether the employment status varies across the three acculturation patterns as well as by one’s social capital using logistic regression. Findings revealed that VMIW across the acculturation patterns exhibited significantly different odds ration of employment and that those with higher social capital were also more likely to be employed. However,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patterns on employment outcomes were not found to be mediated by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 KCI우수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혜림 ( Hyerim Lee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1

        이 연구는 2015년에 수집된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모형에 존재하는 동시성 편향을 제거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활용한 2단계 추정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에는 사회활동 지원, 일자리 교육 및 소개, 한국어 및 한국 사회 적응 교육, 가정 방문 교육, 각종 상담, 자녀생활 및 학습 지원 등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행태적 문화적응을 대표하는 모국인 및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사회 참여를 유인하는 강력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최근 정책 동향,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실태, 그리고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① 결혼이주여성의 분리 및 주변화 현상의 원인을 먼저 파악하고, ② 한국인과 공고한 사회적 관계 형성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civic eng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MIW) in Korea, utilizing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conducted in 2015. Two stage least square (TSL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trol endogeneity caused by simultaneity bias. Findings indicate that civic engagement of MIW is affected by social integration programs such as social activity support, job training and placement, language and culture adaptation education, home-visiting education, counselling, and child’s life and learning support.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networks, among immigrants from the same country and with native Koreans, which represent the behavioral and cultural adaptation of MIW, are powerful factors in inducing civic engagement. The study sugges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based on recent policy trends, the current status of MIW’s civic engagement, and research findings: (1) Identifying the causes of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of MIW and (2) Strengthen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developing measures to build strong social relationships with native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