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디악 페이스메이커용 0.8V 816nW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

        이현태(Hyuntae Lee),허동훈(Donghun Heo),노정진(Jeongjin Roh)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5 No.1

        이번 논문은 implantable cardiac 페이스메이커의 검출 단 로서 저전압, 저전력 단일-비트 삼차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를 구현하였다. 1V이하의 전원 전압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distributed feedforward구조와 벌크-드리븐 OTA를 활용하였다. 설계된 모듈레이터는 0.8V의 전원 전압에서 49dB의 dynamic range를 가지면서 816nW의 파워를 소모하였다. 파워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페이스메이커뿐만 아니라 제한된 배터리에서 동작하는 implantable 의료 기기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모듈레이터의 칩 크기는 1000㎛×500㎛로서 0.18㎛ CMOS standard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implementation of the low-voltage, low-power, third-order, 1-bit switched capacitor delta-sigma modulator of the implantable cardiac pacemaker. The distributed, feed-forward structure and bulk-driven OTA were used in order to achieve an efficient operation under a supply voltage of 1V or lower. The designed modulator has a dynamic range of 49dB at 0.9V supply voltage and consumes 816nW of power. Such a significant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allows diverse applications, not only in pacemakers, but also in implantable biomedical devices that operate with limited battery power. The core chip size of the modulator is 1000㎛*500㎛ manufactured, with the 0.18㎛ CMOS standard process.

      • KCI등재

        신라 月池宮의 성격과 太子宮의 위치

        이현태(Lee, Hyuntae)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안압지와 그 주변 건물지는 태자와 관계된다는 견해가 많았는데, 근래에 안압지 일대를 태자의 공간으로 보기 힘들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국립경주박물관의 남측 일대와 안압지 동편 유적이 태자궁의 후보지로 거론되었다. 이 글은 그동안 태자궁의 후보지로 언급된 유적을 검토하여 태자궁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 그리고 안압지 일대에 조성된 유적의 성격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안압지 서편의 A건물지는 內陣 減柱와 정면의 출입시설에 踏道가 설치된 사실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는 A건물지가 正殿이었음을 알려준다.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에는 A건물지를 포함해 中庭을 갖춘 3기의 대형 건물지가 동일한 남북축선 상에 배치되었고, 각 건물지는 회랑과 익랑 등으로 구획되었다. 이러한 건물 배치는 당나라 大明宮의 三朝와 유사하다. 더욱이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에는 헌강왕과 지증대사가 月池宮에서 못을 바라보며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는데, 월성 안팎에서 이것이 가능한 공간은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 뿐이다. 그러므로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은 태자가 아니라 왕과 관련된 공간이며, 월지궁의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월지궁이 태자궁의 이칭이 아닌 왕의 공간임을 의미한다. 또 다른 태자궁의 후보지인 국립경주박물관 남측 일대는 안압지와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그래서 이곳에 태자궁이 있었다면 왜 안압지에서 ‘太子’·‘東宮’과 관련된 여러 점의 문자자료가 출토되었는지 합리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렵다. 안압지 동편 유적에는 태자궁이 건립되는 679년 무렵에 해당하는 건물지가 3기 밖에 없다. 그 가운데 1기는 門址, 다른 1기는 안압지 서편의 A건물지와 마찬가지로 內陣 減柱의 대형 건물지이고, 나머지 1기는 1×1칸 규모의 소형 건물지이다. 따라서 안압지 동편 유적을 태자궁과 연관시키기도 힘들다. 아울러 7세기 후반 안압지와 그 동편 유적을 구분 짓는 담장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월지궁의 범위는 동쪽으로 안압지 동편 유적까지 이르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그동안 태자궁의 후보지로 지목되었던 유적에 태자궁이 있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太子’·‘東宮’과 관련된 여러 점의 문자자료가 안압지에서 출토되었음을 감안하면 태자궁이 안압지와 멀리 떨어져 있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그래서 주목한 곳이 바로 源花路와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 사이이다. 이곳은 아직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지만, 안압지 인근일 뿐만 아니라 신라에서 방향을 논할 때 기준이 되는 월성의 동북쪽에 해당하기 때문에 東宮의 동쪽이란 방향과도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향후 원화로와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 사이를 발굴할 때 태자궁이 위치하였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Many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past that Anapji(pond) and the surrounding buildings were related to the crown prince, while recently, it is argued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e area of Anapji as the space for the prince. Recently, the area south of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the ruins east of Anapji were mentioned as candidate sites for Taejagung(palace).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uins mentioned as a candidate site for Taejagung and clarify the original location Taejagu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ins created in the Anapji area. It was newly confirmed that the A building site west of Anapji omitted pillars at the center, while Dapdo(the stairway that can pass through the king) was installed in the frontal entrance facility. This suggests that the A building site was the main hall. In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3 large building sites with courtyards, including the A building site, were placed on the same longitudinal axial line, and each building site was surrounded by corridors and transepts. This building layout is similar to that of the three courts consisting of Hanyuan Hall-Xuanzheng Hall-Zichen Hall in Tang Taming Palace. Furthermore, the 「Stele for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depicts a scene in which King Heongang and monk Jijeung chat while looking at the pond from Woljigung(palace). The only space in the palace where this was possible is currently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Therefore,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is not a crown prince-related space but the king-related space, and can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e domain of Woljigung. This also suggests that Woljigung is not a different name of Taejagung, but a royal space. Another Taejagung candidate site, the southern area of Gyeongju National Museum, is far from Anapji. So, if there was Taejagung her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explain why excavated from Anapji were several text materials related to the crown prince and Donggung(the palace of the crown prince). In the ruins east of Anapji, there are only three building sites that correspond to the time of 679 when Taejagung was built. Of them, site 1 is a gate site, site 26 is a large building site with pillars omitted at the center of the building like the A building site west of Anapji, and site 16 is a small building site with the size of 1×1 sec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ssociate the ruins east of Anapji with Taejagung. Furthermore, since there was no fence that distinguished Anapji in the second half of the 7th century from the ruins east of Anapji, the range of Woljigung seems to have extended eastwards, reaching the ruins east of Anapji. As such, it is unlikely that Taejagung could have existed in the ruins that have been designated as the candidate site for Taejagung. Considering that several text materials related to the crown prince and Donggung were excavated from Anapji,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aejagung was far from Anapji. So, it is the area between Wonhwa-ro(road) and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that attracted our attention. Although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have not been conducted in this site, it is not only near Anapji, but also corresponds to northeast of Wolseong, which is the standard when discussing directions in Silla, so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direction of east of Donggung(lit. east place). Therefore, when excavating the area between Wonhwa-ro and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Taejagung being located there.

      • KCI등재

        「駕洛國記」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이현태(Lee Hyuntae)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駕洛國記」는 비록 원형 그대로는 아니지만, 가락국을 이해하는데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이다. 「가락국기」에는 가락국의 건국 과정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수로왕의 제사와 관련한기사이다. 이 글에서는 수로왕 제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수로왕의 능·廟 조성과 그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로왕이 세상을 떠나자 殯殿인 殯宮을 세워 왕의 시신을 한동안 모셨다가 그 곁에 능을조성하였다. 「가락국기」에 보이는 ‘首陵王廟’의 首陵은 수로왕의 시호가 아니라 陵號이며, ‘廟’ 라는 용어에는 사당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首陵王廟는 수로왕의 능과 사당을 아우르는복합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나아가 수로왕의 陵域 내에 수로왕의 사당이 위치하였음을떠올리게 한다. 「가락국기」에는 가락국의 역대 왕을 首陵王廟에 모셨고, 해마다 다섯 차례 정해진 날짜에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首陵王廟가 종묘와 유사한 성격을 띠었음을 단적으로보여준다. 首陵王廟는 正寢의 역할을 한 廟房과 그 곁에 위치한 便房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시설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면서 首陵王廟는 일종의 가락국 종묘와 같은 기능을 할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kept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re important materials for those studying Garakguk.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include the history ranging from the foundation of Garakguk to its fall. A considerable portion of it is about sacrificial rites for King Suro. This paper is about how the tomb of King Suro and shrines for him were built and what their nature was. Upon the demise of King Suro, his body was kept at the funeral hall for a while and then the tomb was built close to it. The word “Sureung” in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stated in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was the name attached to the tomb, not an honorific bestowed on the deceased king. The word “myo” includes the shrine. Like this,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refers to the tomb of King Suro, the shrine altogether and tells us that the shrine were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tomb of King Suro. According to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sacrificial rites for the deceased kings from the second King Geodeung through the last King Guhyeong of Garakguk were held at the royal tomb of Sureung on a total of five occasions in each year. It tells us that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served as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The said royal tomb was composed of the burial chamber, an ancillary chamber. It appears that the said royal tomb served as Jongmyo of the Kingdom of Garakguk, with these facilities functioning organically with each other.

      • KCI등재

        신라 臨海殿과 月池宮의 성격 재론

        이현태(Lee, Hyuntae)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40

        경주 안압지는 통일신라 때 月池로 불렸고, 그 서편의 건물지군은 태자의 활동 공간인 東宮이자 月池宮으로 불렸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을 태자궁(동궁)으로 보기 힘들다는 견해가 대두되었고, 월지마저 안압지가 아닌 다른 곳으로 비정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 건물지군의 성격을 논의할 때 언급되는 사료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우선 월성 안팎의 苑池를 확인한 결과 안압지는 月池로 불린 것이 분명하고, 월지의 ‘月’은 최고의 권력 또는 권위를 상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안압지서편 건물지군에 속한 臨海殿의 경우 태자와 관련한 기록은 보이지 않고, 국왕이 주재하였던 연회 또는 건물의 중수 기록만 확인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秀宗이 副君으로 임명되어 월지궁에 들어간 지 2개월 뒤에 貞嬌를 태자비로 삼았다는 기사를 검토하였다. 수종(흥덕왕)에게 章和夫人외에 다른 부인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기 때문에, 태자비 정교의 기사는 헌덕왕의 태자와 부군 수종이 일정 기간 공존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래서 태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군 수종이 들어간 월지궁은 태자궁일 수 없으며,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은 태자와 연결시키기 힘들다고 판단하였다.『삼국사기』등을 고려하면 임해전과 월지궁은 태자가 아니라 왕의 활동 공간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다. 아울러 임해전은 안압지 서편의 C건물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곳은 三朝가운데 內朝에 해당하므로 왕의 일상적인 정무 처리 공간이면서 필요한 경우 군신 간의 연회 장소로 활용된 것으로 보았다. It was once generally accepted among historians that Anapji Pond in Gyeongju was called Wolji Po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at the complex of buildings situated to the west of the pond were the remains of Woljigung Palace, where the crown prince of Unified Silla had his residence and his offices. Recently, however, a new theory or viewpoint has emerged to the effect that the complex of buildings situated to the west of the pond was not actually the crown prince’s palace(called Donggung Palace, or the “Eastern Palace”) and that the pond currently called Anapji Pond is not the same as the pond called Wolji Pond mentioned in ancient 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original function of Anapji Pond and the aforementioned complex of buildings based on the extant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with the site. A careful survey of the “garden pond”(Wonji) at Wolseong clearly shows that the present-day Anapji Pond was known as Wolji Pond(月池, “Moon Pond”), where the first character, Wol(月), symbolizes the supreme authority or power. As for the complex of buildings, which now includes Imhaejeon Hall, no related records have ever been found, although there are some records about the renov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banquets hosted in them by Unified Silla’s rulers. One important clue concerning the function of the complex of buildings can be found in the record that Sujong, after being designated heir apparent(副君, Bugun), was allowed to reside in Woljigung(月池宮, “Moon Pond Palace”), and married Jeonggyo, a daughter of Kim Chunggong , two months later. Given that there is no record that Sujong(later King Heungdeok, r. 826-836) had any other consorts apart from Lady Janghwa, the record of Jeonggyo’s marriage to become a crown princess suggests that King Heondeok’s crown prince and the Bugun Sujong existed togeth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e cannot argue, therefore, that Woljigung Palace, in which Sujong was allowed to live, was the crown prince’s palace. This also suggests that the complex of buildings to the west of Anapji Pond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rown prince of Unified Silla. As such, it is safer to conclude, based on the statements provided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 Samguk sagi)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hat Imhaejeon Hall and Woljigung Palace were domains of the king, rather than the crown prince, of Unified Silla.

      • KCI등재
      • 0.6V 400㎻ 급 초저전력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 설계

        이현태(Hyuntae Lee),최영길(Youngkil Choi),노형동(Hyungdong Roh),노정진(Jeongjin Roh)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1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voltage, Jaw-power delta-sigma modulator for a implantable cardiac pacemaker. The distributed feed-forward structure and bulk-driven method are used for improved performance. The designed modulator achieves 53㏈ SNDR at 0.6v supply voltage and consumes 400㎻. The core chip size is 660㎛*500㎛ with 0.18㎛ CMOS standard process.

      •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이승신(LEE Seunshin),이현태(LEE Hyuntae),나수엽(NA Suyeob),조고운(CHO Gowoon),오윤미(OH Yunmi),이준구(LEE Jungoo)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연구보고서 Vol.16 No.01

        한국과 대만의 중소기업은 매우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양국 모두 국내 시장이 협소하고, 자국 내 중소기업의 입지가 좁은 편이다. 따라서 양국 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활로는 해외시장 진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 생산활동이 국제적으로 다양화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를 통한 해외진출은 매우 중요하다. 수출 데이터로 본 양국 중소기업의 직접수출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축소되고 있다. 그러나 생산과정이 복잡해진 지금 직접수출비중 축소가 중소기업의 해외 경쟁력 저하를 의미한다고 볼 수는 없다. 본 보고서에서는 많은 중소기업이 대기업 가치사슬을 통해 간접수출을 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포함한 한국과 대만 중소기업의 전체 수출비중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만 중소기업의 간접수출비중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한국 중소기업의 간접수출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대만 중소기업의 전체 수출비중은 증가하지만 한국 중소 기업의 전체 수출비중은 하락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결과는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GVC 참여 상황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2000년대 대만의 급속한 대기업화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수출용 중간재를 공급하는 구조를 강화하면서 중소기업의 간접수출비중을 늘렸다. 반면 한국은 대기업 위주의 수출구조 및 수직계열화 구조가 계속 유지되면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GVC 관계가 심화되지 못했기에, 2000년대 총수출 증가가 중소기업 수출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이어지지 못했다.휴대폰 산업의 한 · 대만 GVC 참여상황 분석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뚜렷이 나타난다. 한국과 대만은 휴대폰 산업의 GVC 참여 형태가 다르다. 한국은 대기업이 가치사슬을 대부분 내부화시켰고 최종 브랜드 생산에 직접 임하고 있지만, 대만은 다수의 중소기업이 중저가 위주의 표준화된 부품분야에서 주로 다국적기업과 가치사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조하에서 한국 중소기업은 대만 중소기업에 비해서 GVC에 직접 연결되어 세계시장 참여도를 높이거나 고부가 가치 영역을 개척하기가 쉽지 않았다. GVC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대만과 한국 중소기업의 사례를 종합해보면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다국적기업에 부품을 납품하거나 OEM,ODM으로 해외 주문을 수주하는 등 다양한 GVC 진입 방법이 있으나, 이런 글로벌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자체의 기술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를 위해서는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연구 인력을 꾸준히 보강하는 노력이 필수적이었다. 둘째, 능동적 수요 대응이다. GVC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대만기업들은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해외 바이어의 니즈에 선도적으로 대응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적극적인 해외투자 전략이다. 시장 개척 및 현지화, 저비용 생산요소 획득 등의 목표를 위해 이들 기업들은 중국, 동남아 등에 적극적으로 생산 공장이나 판매망을 구축하였다. 특히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때에도 적극적인 해외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확충하여 이후 호황기에 늘어난 수요량을 공급하면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갔다. 대만 중소기업 GVC 참여 성공 사례에서 볼 때 정부의 역할은 산업화 초기 FDI 등을 통해 다국적기업을 적극 유치함으로써 대만기업과의 기업 생태계를 형성시킨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많은 대만 중소기업인들이 이런 다국적기업에서 일하면서 기술과 경험을 익혔고, 이때 형성된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다국적기업들과 OEM, ODM 관계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었다. 또한 경제부 기술처 등은 중소기업이 첨단 생산관리시스템을 개발 구축하는 것을 적극 지원하였고, 정부가 주도한 기초과학 연구 성과를 공유시켜서 기업이 R&D와 후속 응용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하였다. 한국 중소기업 사례의 성공요인에서도 지속적인 R&D 투자, 시장수요 예측 및 신속대응, 글로벌 네트워킹 등 공통적인 특징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 대만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의 내용은 중소기업 역량 강화,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운영, 해외 네트워크 형성 및 활용 지원, 수출 인큐베이터 운영, 해외마케팅 확대 등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하지만 양국이 시행하고 있는 지원정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만의 경우 우리와 달리 중소기업의 자생력 배양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첫째, 중소기업 인큐베이션 센터의 운영이다. 한국의 경우 세계 주요 교역거점에 수출인큐베이터를 설치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and Taiwan share very similar problems; both suffer from relatively small domestic markets and limited positions in the respective markets. Therefore, the survival of SMEs in both Korea and Taiwan - which take up the largest portion in both economies 󰠏 depends on their capacity for increased overseas expansion. In today’s world where the production cycle of companies is becoming increasingly internationalized, the SMEs’ overseas expansion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s (GVCs) becomes all the more important.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the direct exports of SMEs in proportion to the total direct exports are decreasing in both economies. But the complex production cycle of companies indicates that this does not necessarily point to a decrease in SMEs’ overseas competitivenes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ct that actually, many SMEs engage in indirect exporting by participating in value chains of major companies, and compared the total exports (including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xports) of SMEs in Korea and Taiwan.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proportion of indirect exports to total exports in Taiwan SMEs has greatly increased over time, that of Korean SMEs has shown little difference. This has led the total exports of Taiwanese companies to increase while the total exports of Korean SMEs decreased.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y two factors: the changes in the industry structures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SMEs and major companies in GVCs. In the 2000s, the proportion of major companies in the Taiwanese economies grew rapidly, intens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companies and SMEs, under which SMEs provided for the intermediate goods for exports to major companies. This practice increased indirect exports of Taiwanese SMEs. On the other hand, in Korea, major company-oriented export structure and vertical integration structure persisted, with no progress in the GVC relations between major companies and SMEs. This meant that the increase in Korea’s total exports in the 2000s did not lead to an increase in the total exports of Korean SMEs. The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visible in the two countries’ cellular phone industry. The GVC structure in Korea and Taiwan differs very much in that for Taiwan, SMEs are more directly involved in the GVC than Korea. For SMEs in Korea, where major companies mostly internalized the value chains and are involved directly in the final brand production process, it is not easy for SMEs to engage in GVCs, or participate in the global market or a high value-added industry. Looking into the cases of SMEs that hav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GVC in both Taiwan and Korea, we can derive several implications. First, although there exist multiple ways to enter GVCs such as supplying parts and components to a multinational company or procuring overseas contracts as OEM or ODM, in order for such trials to succeed, the SME in question must have a solid technological base. Long-term investment in R&D and research personnel are essential. Second, an active response to the demand is also integral for the company’s success. The SMEs who did succeed in entering overseas markets, actively respond to the foreign buyers’ needs. Third, active overseas investment strategy is also essential. Another common trait that these SMEs shared was that they all actively sought to build production factories or sales networks in China or Southeast Asia, where they can enjoy multiple benefits including obtaining a new market and low-cost factors of production. Taiwanese cases of SMEs who hav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GVCs show that the government’s role in the beginning stage of industrialization is to attract multinational companies by utilizing measures like FDI.

      • 전동차 TCMS와 하부장치간 RS-485 통신고장 원인분석 및 대책 방안

        정구인(KooIn Jung),김영규(Young-gyu Kim),노제택(JaeTeak Noh),이동훈(DongHoon Lee),이현태(HyunTae Lee),이만기(ManKi Lee),김한영(HangYouung Kim) 한국철도학회 201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10

        전동차 1편성당 각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장치는 TCMS의 TC또는 CC와 RS-485로 인터페이스 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통신하여 해당장치의 작동상태 및 고장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 규격은 국제표준인 RS-485 통신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특히 비동기 방식의 ATC장치를 제외한 다른 하부장치들은 동기식 HDLC방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TCMS와 하부장치간의 통신고장에 대한 분석을 위해 데이터 통신 OSI 7계층 모델인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그리고 응용계층 이 세가지 계층과 전동차의 TCMS와 하부장치간의 모든 통신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TCMS와의 통신고장 원인을 분석하여 통신고장 대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