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MDS대역을 위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설계

        이현진,김태홍,임영석,Lee, Hyeon-Jin,Kim, Tae-Hong,Im, Yeong-Seok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7 No.10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대역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구형 패치를 이용하여 LMDS용 안테나를 설계하기 위하여 패치의 구조를 변형시킨 형태로 구형 패치 외부 에 밴드를 설치하여 프린징 효과에 의한 전자계의 외부 발산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로 인한 안테나 효율의 증가와 원하는 대역의 안테나의 설계 파라미터 값과 실제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적층 패치 안테나구조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외부 밴드를 갖은 구조의 대역폭이 더 넓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re has been a constant effort to study methods for increasing the bandwidth of antenna by microstrip patch.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ecial type of the external rectangular patch, for design and analysis of an antenna using a 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 (LMDS). We minimized electromagnetic emissions from the fringing effect. As a result, we obtained an increase in antenna efficiency and frequency bandwidth. We were also able to design the wide band antenna easily,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parameter between the aimed and the simulated antenna was reduced greatly. In comparison with the rectangular patch antenna, the banded one has a wider bandwidth.

      • 광대역 다중공진 평판 안테나 설계 및 구현

        이현진,박성일,임영석,Lee, Hyeon-Jin,Park, Seong-Il,Lim, Yeong-Seog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12

        This study designed and fabricated a multi-purpose planar antenna for base stations that are accessible to DCS, WiBro, and ISM. The proposed antenna was designed into an open loop form from the existing monopole structure. The capacitance of the multi-purpose antenna was increased by the coupling of open parts. This makes the use of MMIC and LTCC convenient and the antenna is smaller and has a larger gain than existing antennas. The resonance distance and bandwidth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open gap and the height of the loop of the antenna. The bandwidth of the designed antenna satisfies DCS, IMT-2000, WiBro, Bluetooth, wireless LAN and ISM bands based on VSWR 2. The entire frequency bandwidth is $58.75\%$ of $1.575GHz\~2.985GHz(1.41GHz)$. Also,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displayed co-polarization and cross-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t 1.6GHz, 2.3GHz and 2.8GHz. 본 논문에서는 DCS와 WiBro 및 ISM 수용이 가능한 기지국용 광대역 다중공진 평판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한 안테나는 기존의 모노폴 구조를 개방 루프 형태(폴디드 형태)로 수정하여 개방 부분의 결합에 의한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킨 광대역 다중공진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도파관 급전 방법의 인쇄형 평판 안테나로 단일 층으로 구현되어 MMIC 및 LTCC의 이용이 용이하며 기존의 안테나보다 크기가 작고 높은 이득을 갖는다. 안테나 구조의 개방 부분의 간격과 루프 형태의 높이를 조절하여 공진 거리 및 대역폭을 조절 할 수 있다. 설계한 안테나의 대역폭은 정재파비 2 이하를 기준으로 DCS와 WiBro 및 ISM대역을 모두 충족하였으며 전체의 대역폭은 $1.575GHz\~2.985GHz(1.41GHz)$의 $58.75\%$의 주파수 대역폭을 얻었다. 또한, 안테나의 방사패턴은 1.6GHz, 2.3GHz, 2.8GHz에서의 Co-Polarization과 Cross-Polarization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 KCI등재

        측면 연마 광섬유를 이용한 용액의 광학 특성 측정

        이현진,김광택,Lee, Hyeon Jin,Kim, Kwang Taek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4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7 No.3

        In this paper, a measurement method to obtain the optical properties of a liquid base on a side-polished single mode fiber was proposed and demonstrated. The device showed periodic resonance coupling against wavelengths. The refractive index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a liquid were calculated by use of the spacings of periodic resonance wavelengths of the device. The thermo-optic coefficient of the liquid was obtained by monitering the shift of resonance wavelengths of the devices with change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양양군과 포항 해역에 시설한 인공어초에서 진행된 해조천이와 군집에 관한 연구

        이현진,최창근,Lee, Hyeon Jin,Choi, Chang Geun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9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4 No.2

        이 연구는 2016년 9월에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 석병2리에 설치한 인공어초를 대상으로 해조류 군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17년 2월, 5월, 8월, 11월에 계절별 1회씩 SCUBA Diving으로 수행하였으며,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홍조류 68종을 포함하여 총 94종이 채집되었으며, 양양에서 66종(녹조류 8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 포항에서 65종(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다. 중요도를 기반으로 판단한 우점종의 경우, 양양은 다시마(Saccharina japonica)가 우점종,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가 준우점종이었으며 포항은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순으로 우점하였다. 두 해역 모두 어초 설치 초기에 각각 파래류, 불레기말이 착생한 후, 다시마, 감태, 우뭇가사리 등 다년생 해조가 생육하며 우점하여 기존의 천이 패턴과 유사하였다. 해조상 변화를 통해 군집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해조군락이 안정되기까지의 천이 과정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of seaweed community in artificial reefs installed in September, 2016 in Namae-ri, Yangyang-gun, and Seokbyeong-ri, Pohangsi, Korea.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by SCUBA diving once a season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of 2017, and quantitative survey and qualitative survey were carried out in parallel. In this study, a total of 94 species, including 11 green algae, 15 brown algae and 68 red algae were appeared. 66 species (8 green algae, 9 brown algae, 49 red algae) and 65 species (7 green algae, 9 brown algae, 49 red algae)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 Yangyang and Pohang. In dominant species, Yangyang was dominant species of Saccharina japonica and subdominant species of Ulva australis. Pohang dominated in order of Colpomenia sinuosa and Gelidium elegans. In both coastal areas, Ulva spp., Colpomenia sinuosa were grown at the early stage of reforestation, and perennial seaweeds such as Saccharina japonica, Ecklonia cava and Gelidium elegans were grown. In order to clarify the clustering relation through flora chang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transition process until the seaweed community is stabilized by observing the long-term chang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 KCI등재
      • KCI등재

        논리적 사고력, 표현력육성을 위한 스피치지도 -마인드맵과 동료 피드백을 도입한 수업실천-

        이현진 ( Hyeon Jin L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1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사고력, 표현력’육성을 목적으로 일본어 스피치 지도안을 고안, 실시한 뒤, 그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논리적 사고력, 표현력’이란 ‘상대가 이해하도록 전달 내용을 구성하고 알기쉽게 전달하는 능력’이라 정의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활동으로서 마인 드맵 작성과 동료 피드백 활동을 도입하였다. 본 스피치수업의 목적은 학습자가 실제 언어활동, 즉, 마인드맵 작성을 통해 스피치 내용을 구성하고 직접 스피치체험을 한 뒤, 그 체험을 다른 학습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되돌아보고 반성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국인 중상급 학습자(JFL) 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마인드맵 작성은 학습자의 적극적 수업참여 및 스피치 내용의 ‘구상과정’과 ‘논리적 구성과정’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동료 피드백 활동은 스피치의 내용, 구성, 어휘, 문법,비언어행동의 5가지 내용으로 분류되었는데, 이 중 내용면(내용, 구성)과 비언어행동에 관한 피드백이 중심을 이루었으며, 학습자는 이들 피드백의 대부분을 새로운 스피치 작성에 반영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자신의 스피치뿐 아니라다른 학습자의 스피치를 듣고 개선점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협력적 지식을 구축하는 사회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이상의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스피치는 내용과 구성, 그리고 비언어행동이 개선되었고, 마인드맵 작성과 동료 피드백은 ‘논리적 사고력, 표현력’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experiment Japanese Speech Teaching Guide designed for improving “Logical Thinking & Verbal Expression” and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Logical Thinking & Verbal Expressions” is defined as the ability of delivering contents in an easy way for which Mind Mapping and Peer Feedbacking were adopted as an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peech class is to experience language activities, writing and speaking, and eventually is to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Expression” by sharing and reviewing the activities through peer’s conversation. According to a Study on Korean intermediate-Advanced level Students, Mind Mapping showed positive effects in student’s active class attitude and logical contents. Peer Feedbacking consists of 5 parts : content, composition, vocabulary, grammar, nonverbal behavior. Content, composition and nonverbal behavior were mainly fed backed and later Students reflected them in writing new speech. Besides, the students experienced “collaborative learning” listening and discussing peer’s speech including their own. As a result, student’s speech content, composition, and nonverbal behavior were improved, therefore it proved that Mind Mapping and Feedbacking are efficient way for logical thinking and verbal expression.

      • KCI등재

        영조대 왕실 상장례(喪葬禮)의 정비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이현진 ( Hyeon Ji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7

        조선이 건국된 뒤 최초로 편찬된 국가전례서인 『세종실록오례』의 흉례조에 기록된 국장 절차는 『국조오례의』 흉례조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없었다. 성종대 편찬된 『국조오례의』가 조선의 대표적인 국가전례서로 그 지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1744년에 『국조오례의』에 변화가 있거나 새롭게 추가된 전례를 정리한 『국조속오례의』가 편찬되자 두 국가전례서는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도 서로 보완하는 예서로서 활용되었다.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의 흉례조는 국왕 위주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세자나 세자빈의 상례가 발생했을 때 참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영조는 왕실 상장례만을 위한 별도의 국가전례서를 편찬하도록 했다. 1751년에 효장세자의 빈 현빈이 훙서한 것을 계기로 영조의 주도적인 관심 아래 이듬해 1752년에 『국조상례보편』이 편찬되었다. 조목명·의주·제구·도설의 방식으로 기술한 『국조상례보편』은 하나의 조목 전반을 이해하는 데 편리한 장점이 있었고, 세자의 소상을 위한 의주의 전문을 처음으로 수록한 점이 특징이었다. 그런데 국왕이나 왕후의 국상이 발생했을 때 국왕의 대상 위주로 서술된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를 함께 검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후 1757년에 영조의 첫 번째 비 정성왕후와 숙종의 두 번째 계비 인원왕후의 국상이 발생했다. 1752년본 『국조상례보편』 안고 있는 불편함이 문제로 지적되었고, 그로 인해 다시 『국조상례보편』을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1758년본 『국조상례보편』은 기존 국가전례서와 마찬가지로 국왕의 대상 위주로 서술하고, 세자의 소상과 세자빈의 소내상은 註를 달아 서로 비교해서 보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국왕과 왕후, 세자·세자빈의 상례를 한 눈에 살피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었다. 두 차례에 걸쳐 편찬된 『국조상례보편』은 검약을 강조하는 영조의 정치 철학이 반영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국조속오례의』에 새로이 등장한 의주가 1752년본 『국조상례보편』을 거쳐 1758년본 『국조상례보편』에 안착되면서 의주의 변화 과정도 엿볼 수 있었다. 왕실 상장례의 정비에 대한 오랜 기간 고심하고 노력한 결과가 투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일통문자``로서 1758년본 『국조상례보편』은 향후 왕실에서 상이 발생했을 때 주요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The Ritual Code Gukjo O`rye-eui(國朝五禮儀) was compiled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the "Hyung`rye(凶禮)" section, which contained ritual procedures for inauspicious occasions, maintained the status of the most trusted and authoritative National Ritual Protocol Code for a long time. Then in 1744, it was decided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Gukjo O`rye-eui, and then Gukjo Sok-O`rye-eui(國朝續五禮儀) was compiled and published. Yet, these two ritual protocol codes of the dynasty only dictated protocols that would be implemented at the occasion of a king`s death, so the codes could not be applied to situations in which either a Crown-prince or the wife of a Crown-prince died. So after 1751 when Crown-princess Hyeonbin(賢嬪) died, Gukjo Sang`rye Bo`pyeon was compiled in 1752. Unfortunately, this Gukjo Sang`rye Bo`pyeon only contained rather exclusively the protocols and procedures(儀註) that would entail the death of a Crown-prince. It did not cover all the cases that had to be addressed, including funeral services for the Queens and Crown-princesses. So after 1757, when Queens Jeongseong Wang`hu(貞聖王后) and In`weon Wang`hu(仁元王后) died, another revised version of Gukjo Sang`rye Bo`pyeon was created in 175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