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저해효과

        이하연 ( Ha Youn Lee ),김영훈 ( Young Hoon Kim ),엄선영 ( Sun Young Um ),정욱순 ( Uk Sun Jung ),장문식 ( Moon Sik Chang ),이남호 ( Nam Ho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 가수분해 추출물의 미백활성에 대하여 검색하였다. 가수분해 시료(NHE, N. nomurai Hydrolized Extract)는 노무라입깃해파리를 상업용 단백질분해효소(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55 ℃에서 pH 5-8 조건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얻었다. 미백활성은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능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Neutrase로 처리된 시료(N-NHE)에서 100 μ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이 가장 효율적으로 89.9%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료는 또한 tyrosinase와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무라입깃해파리 가수분해 추출물의 화장품 미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kin whitening effects of Nomura’s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hydrolyzed extracts (NHE). The extracts were prepared through the hydrolysis of N. nomurai using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s such as Protamex, Alcalase, Flavourzyme and Neutrase with optimum pHs (pH 5-8) at 55 ℃. Their whitening activities were examined from the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using B16-F1 cell lines. Among the examined samples, Neutrase-treated extract (N-NHE)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on melanin synthesis by 89.9%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is sampl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proteins as well.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NHE as whitening ingredients in cosmetic preparation.

      • 세대교류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 공간 연구 - 광주광역시 국민임대와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

        이하연(Lee, Ha-Yeon),문정민(Moon, Jeong-Min)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improve improve the function and public role of community spa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generational exchange to public rental housing community spa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community space, generational exchange program, and current status of space for public rental and happy housing cas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understood. The layout and composition of community spaces, the current status of the main users of the spaces, generational exchange programs and existence of spa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pac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spatial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regarding the space arrangement, the senior citizen center and the resident support center are placed underground in consideration of elderly households, but it is not easy to interact with childcare facilities on the ground, and there is no space dedicated to young people. In the case of spaces that can be used by all generations, such as sports facilities and gardens, it is necessary to induce independent exchange by placing them openly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or placing the entrances of specific household spaces facing each other. Second, a separate dedicated space is created at the point where the circulation of each generation intersects, so that a continuous generational exchange program is operated and voluntary activities between generations are encouraged.

      • KCI등재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이하연(Lee, Ha-Yeon),문정민(Moon, Jeong-M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1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acilitate community centering on cases of collective houses in Japan and uses the results as basic data to activate collective houses as an alternative form of housing in our count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active communities with collective living spac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collective houses and housing, derived territoriality, accessibility, comfort and safety as factors of community activation and analysed various case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erritorialit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formation of community, and a confined and physical space. It indicates the proper size of a space and diverse spacial areas which meet the needs of residents with the proper size and amount of space (space which can accommodate diverse generations including women, the aged and the young, flexible spac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urposes and program, space which supports leisure and hobby activities, and space which can accommodate outsiders). Second, accessibility indicates an environment which supports residents" easy use of space. As the more accessible it i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its use, spatial factors (piloti, backyards, benches and tables) should be provided, community space should be arranged in a central or decentralized way and community living space should be made for each floor. As for exits,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way; entrances connected with community spaces, open entrances and entrances accessible from outside or individual living spaces. Third, comfort satisfies the physical and mental needs of residents through separation of floors and flows between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spaces for privacy and formation of eco-friendly spaces including vegetable gardens, gardens and plant arrangements. Fourth, safety should be considered for a higher quality environment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for which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installation of hand-rails, removal of thresholds, spacial design for the socially weak, duplex and open type structures for community space, open stages and halls, as well as indoor and outdoor openness through the use of windows.

      • 역사 테마 지하철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이하연(Lee, Ha-Yeon), 문정민(Moon Jeong-Min)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15 조형미술논문집 Vol.15 No.2

        본 연구는 지하철 구성요소에 따른 전시연출방법, 전시연출매체를 바탕으로 지하철역 중 역사를 테마로 하는 전시공간 5곳을 사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역은 긴 통로가 특징적이므로, 공통된 주제를 중심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전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일본의 모토마치 주카가이역과 같이 천장을 활용하여 전시공간을 확보한다면 공간의 확장과 개방성과 더불어 심미성을 고려한 전시공간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지하철 공간요소의 특성을 고려해, 공간에 맞게 지역의 역사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로(출입구, 승강시설)는 빠르게 이동하는 구간이므로, 동선의 혼선을 주지 않도록 감상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단순하지만 임팩트있는 전시가 필요하다. 머무는 공간(중앙홀, 승강장, 기타시설)은 경복궁역이나 토론토역에서 볼 수 있듯이 복제유물이나 모형을 사용하여, 머무르면서 천천히 감상하고, 알아갈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토론토 박물관역에서 방향 사인물을 사용하지 않고 기둥의 디자인으로 방향성을 알려주듯, 다른 것에 시선이 가는 것이 아니라 역사전시공간에 주목 할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하철 공간은 지역의 공공디자인으로 특정 지역과 연결된 역사적 특징을 반영하여 차별화되어야 한다. Keywords : 지하철, 테마공간, 역사테마공간 Subway Station, Theme Space, History theme Space

      • 초등대안학교의 운영 프로그램과 공간구성 현황 연구

        이하연(Lee, Ha-Yeon), 문정민(Moon, Jeong-Min )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15 조형미술논문집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대안학교의 운영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 교육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주체들이 생겨나 인권, 생태, 자율 등을 기반으로 한 교육 활동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초등대안학교는 양적으로는 발전하고 있으나 질적으로는 비인가 상태이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해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나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초등대안학교에 관한 연구는 초등대안학교에 대한 기초자료는 있으나, 운영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대안학교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초등대안학교의 운영 프로그램과 교육공간을 중심으로 한 공간구성에 대한 현황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운영 프로그램은 기초교육, 특화교육, 체험교육 등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공간구성은 한 공간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거나 주변 환경과 실외공간을 교육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 초등대안학교, 운영 프로그램, 공간구성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 Operation program, Spatial configuration

      • KCI등재

        식초 첨가 증숙 전처리 조건에 따른 잎새버섯 분말의 품질특성

        이하연(Ha Yeon Lee),권혜정(Hye Jeong Kwon),이재홍(Jae Hong Lee),이안수(An Soo Lee),안문섭(Mun Seob Ah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4 No.6

        Purpose: In this study, Maitake (Grifola frondosa) was pretreated by blanching with vinegar and the effects of the pretreatment method were evaluated. Methods: The moisture, β-glucan, crude protein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Maitake powder pretreated by blanching with vinegar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β-glucan content of Maitake powder pretreated by blanching with vinegar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not pretreated). The crude protein and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Maitake powder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dded vinegar. The free amino acid content related bitterness decreas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treatment method of Maitake powder helps reduce the bitterness of Maitake powder and improves the organoleptic properties.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하연(Hayeon Lee),고주은(Ju Eun Go),주민호(Min-Ho J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소속감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 K대학의 재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요인 간 관계 규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5가지 요인 중 대학생활만족도와 소속감의 하위 변인인 학교애착과 결속감이 학업지속의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과 신입생을 제외한 재학생들 간 비교에서 대학생활만족도, 결속감, 교수자지지, 교우지지, 학습지속의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문적 목적만을 공유하는 것이 아닌 생활 공동체로서 학습자들의 사회화 과정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며, 학교, 학과, 학생회 차원의 온라인 커뮤니티 및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비대면 학습 환경으로 인한 대학생활의 상실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university belonging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n their learning persistence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and to propose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7 enrolled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and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mong the five factors set in this study, school attachment and cohesion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university belonging,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learning persistence. In addition, in the comparison between freshmen and enrolled students excluding freshm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lege life satisfaction, cohesion, instructor’s support, peer’s support, and learning persis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n atmosphere in which learners’ socialization process can be satisfactorily achieved as a living community, not just sharing academic purpos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lieve the feeling of loss of college life caused by COVID-19 by activating online communities and student support programs at the school, department, and student counci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