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박판금속성형의 초기 블랭크 최적설계를 위한 삼차원 다단계 역해석

        이충호,허훈,Lee, Choong-Ho,Huh, Hoon 대한기계학회 1997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1 No.12

        Values of process parameters in sheet metal forming can be estimated by various one-step inverse methods. One-step inverse methods based on deformation theory, however, cause some amount of error. The amount of error is generally increased as the deformation path becomes more complex. As a remedy, a new three dimensional multi-step inverse method is introduced for optimum design of blank shapes and strain distributions from desired final shapes. The approach extends a one-step inverse method to a multi-step inverse metho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error. The algorithm developed is applied to square cup drawing to confirm its validity by demonstrating reasonably accurate numerical results. Rapid calculation with this algorithm enables easy determination of an initial blank of sheet metal forming.

      • KCI등재후보

        위상 한정 상관법으로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최적 얼굴 영역의 정의

        이충호,Lee, Choong-Ho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3 No.3

        위상한정 상관법은 특징점추출이나 고유얼굴을 사용하지 않고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정사각형 영역에 대하여 푸리에변환을 이용한다. 본 본문에서는 위상한정 상관법을 이용한 얼굴인식 방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기법에 보다 효과적인 정사각형 얼굴영역을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얼굴영역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첫째 머리부분과 여백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영역, 둘째 수평방향으로 양 귀 사이와 수직방향으로 턱끝에서 이마까지의 정사각형영역, 셋째 수평방향으로 입술 바로 밑을 지나는 선이 뺨영역과 만나는 두 점 사이, 수직방향으로 입술 바로 밑에서 이마까지의 정사각형영역이다. 실험결과 세 가지 영역 중에서 두 번째 얼굴영역이 위상한정 상관법의 임계치 설정에 가장 유리함을 보였다. POC(Phase-Only Correlation) is a useful method that can conduct face recognition without using feature extraction or eigenface, but uses Fourier transformation for square area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face area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using POC. Specifically, three areas are experimented for POC. The frist area is the square area that includes head and space. The second area is the square area from ear to ear horizontally and from the end of chin to the forehead vertically. The third area is the square area from the line under the lips to the forehead vertically and from cheek to cheek horizontall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cond face area has the best advantage among the three types of areas to define the threshold for POC.

      • SCOPUSKCI등재

        박판금속 성형공정에서의 블랭크 설계및 변형률 예측

        이충호,허훈,Lee, Choong-Ho,Huh, Hoon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0 No.6

        A new finite elemetn approach is introduced for direct prediction of bland shapes and strain distributions from desired final shapes in sheet metal forming. The approach deals with the geometric compatibility of finite elements, plastic deformation theory, minimization of plastic work with constraints, and a proper initial guess. The algorithm developed is applied to cylindrical cup drawing, square cup drawing, and fron fender forming to confirm its validity by demonstratin reasonable accurate numerical results of each problems. Rapid calculation with this algorithm enables easy determination of various process variables for design of sheet metal forming process.

      • 확산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광대역 공간 주파수 성분의 윤곽선 검출

        이충호,권율,김재창,남기곤,윤태훈,Lee, Choong-Ho,Kwon, Yool,Kim, Jae-Chang,Nam, Ki-Gon,Yoon, Tae-Hoon 대한전자공학회 1995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2 No.1

        The diffusion neural network forms a Gaussian distribution by transferring an excitation to the surround. A DOG(difference of two Gaussians) is obtained by the diffusion neural network. This type of the DOG, which can detect the intensity changes of an image, has the same shape as a LOG(Laplacian of a Gaussian:${\Delta}^2$G) and narrow band pass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show that another type of the DOG which has a very narrow Gaussian for the excitatory and a very wide Gaussian for the inhibitory, can be formed by the diffusion process of this network, This type of the DOG has a wide band width in spatial frequency domain and can be used efficiently in detecting special type of edges.

      • 준설매립지반의 지지력 산정

        이충호,김주현,채영수,이송,Lee, Choong-Ho,Kim, Ju-Hyun,Chae, Young-Su,Lee, Song (사)한국토질및기초기술사회 2006 기술발표회 Vol.2006 No.-

        In this test, there was two dimensional model loading test implemented for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evaluating bearing capacity and the application range on the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It was got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comparison of button's and Brown&Meyerhof"s equation with experimental result that was obtained by 2 dimensions model loading 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average undrained shear strength by 2/3B of loading board width and under 2/3B is more than ${\pm}$ 50%, application of Nc(coefficient of bearing capacity was used in that case $\phi$=0 analysis is considered in the single layer) was declined. Brown&Meyerhof(1969)'s equation was underestimated comparing with loading test result, while Button(1953)'s equation was overestimated comparing with loading test result applied dividing as double layers of upper dessication layer and lower soft layer about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Also, bearing capacity factors, Nc that was calculated by using button's equation was estimated greatly about 1.7 times more than bearing capacity factors, Nc that was calculated by using Brown&Meyerhof's equation. Bearing capacity factors, Nc that was calcuated by using Brown&Meyerhof's and Button's equation was evaluated each 2.3-3.6 times, 1.3-2.1 times smaller than bearing capacity factors, Nc5.14 that was calcuated by using Meyerhof's equation in case of unit layer.

      • KCI등재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선율 증가와 부정기선 운임지수의 인과성 분석

        이충호(Lee, Choong-Ho),박근식(Park, Keun-Sik) 한국항만경제학회 202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7 No.4

        2008년도 미국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인한 미국발 금융위기의 파급 효과로 전 세계적으로 맞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해운산업 또한 폭락하였으며, 부정기선 시장은 이후 13년 간 불황을 유지해왔다.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불안정안 세계경제 상황에서 해운시장 또한 폭락하여 어려움을 겪었지만, 예상과 다르게 2020년 말부터 상승세로 전환되며 2021년에는 2008년도 호황기의 용선료 수준을 넘어서서 계속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1년 5월에 발표된 Clarksons 보고서에서는 2020년 코로나로 인한 물동량 감소가 2020년 말까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파나막스선형 선복 103~104% 정도의 부정기 벌크선 선복량이 항만에 체선으로 묶여있는 상황으로 벌크선의 수익은 최근 몇 달 동안 10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건화물선 운임지수인 BD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급측면의 케이프와 파나막스 선형의 선복량과 체선율, 수요측면에서 주요 선적화물인 철광석과 석탄 물동량과의 인과성 검정과 벡터자기회귀모형(VAR)을 추정하여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하여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항만에서의 검역 강화와 하역인부의 전염병 감염 등으로 작업지연에 따른 체선 발생이 부정기선 시장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팬데믹 이후의 해운시황 예측에 도움이 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6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변수들과 BDI의 인과성 검정 결과 선복량과 체선율 변수에서 인과성이 나타났으며, 충격반응함수의 결과 t시점에서 발생한 케이프,파나막스의 체선율 표준편차 1단위의 충격은 BDI에 양(+)의 반응을 보였으며 4기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하였다. 충격에 대한 반응의 신뢰구간 상한과 하한 모두 양(+)의 구간으로 유의미한 반응이었다. 예측오차 분산분해분석 결과 BDI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력은 체선율, 선복량 순으로 나타났으며, 체선율(CGTN)은 운임지수의 BDI의 변화에 2기에는 2.5%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4기부터 10%를 넘어 BDI상승에 25%까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직접적인 요인 변수외에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항만에서 체선율 증가에 따른 공급량 감소 효과인 체선율을 변수로 사용하여 부정기 건화물선 운임지수(BDI)와의 인과성 및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위드코로나로 전환되어 체선율이 감소할 경우 해운시황의 하락리스크가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하지만 2023년부터 시행되는 선박 배기가스 탄소배출 감축 규제와 2021년 발주되는 신조선들의 인도시기는 2023년 이후이기 때문에 내년까지도 선복량은 부족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체선율이 감소되고 해운시황이 하락하더라도 부정기 벌크선박들의 수익성은 2008년 이후의 불황기와는 다르게 나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COVID-19 팬데믹발 세계경제 불안정성은 경제적 요인이 아닌 팬데믹으로 인한 생태적 위협으로부터 발생했다는 점에서 과거 경제위기와는 다른 관점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간접적으로 해운시장에서 공급감소 효과로 나타나는 체선율과의 인과성과 설명력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shipping industry plummeted and was depressed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in the US in 2008. In 2020, the shipping market also suffered from a collapse in the unstable global economic situ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ut unexpectedly, it changed to an upward trend from the end of 2020, and in 2021, it exceeded the market of the boom period of 2008. According to the Clarksons report published in May 2021, the decrease in cargo volu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has returned to the pre-corona level by the end of 2020, and the tramper bulk carrier capacity of 103~104% of the Panamax has been in the ports due to congestion. Earnings across the bulker segments have risen to ten-year highs in recent months. In this study, as factors affecting BDI, the capacity and congestion ratio of Cape and Panamax ships on the supply side, iron ore and coal seaborne tonnge on the demand side and Granger causality test, IRF(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EVD(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were performed using VAR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n BDI by congestion caused by strengthen quarantine at the por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load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delay due to the infection of the stevedore, etc and to predict the shipping market after the pandemic. As a result of the Granger causality test of variables and BDI using time series data from January 2016 to July 2021, causality was found in the Fleet and Congestion variables, and as a result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Congestion variabl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at both upper and lower limit of the confidence interval. As a result of the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Congestion variabl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upto 25% for the change in BDI. If the congestion in ports decreases after With Corona,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down-risk in the shipping market. The COVID-19 pandemic occurred not from economic factors but from an ecological factor by the pandemic is different from the past economic cris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n the past economic crisis. This study has meaningful to analyze the causality and explanatory power of Congestion factor by pandemic.

      • 스마트온실 농가 사용환경에 대한 분석

        이충호 ( Choong Ho Lee ),양승환 ( Seung Hwan Yang ),이재환 ( Jae Hwan Lee ),채탁병 ( Tack Byoung Chae ),김준희 ( Jun He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는 온실에서 사용되는 복합센서의 특성 및 최적 설치 위치 등을 규명하여 센서 측정결과의 재현성을 높여 스마트팜 표준센서 및 사용환경의 표준화에 기여함으로서 안정적인 생산성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전북지역의 스마트온실 10여개에 대해 작물의 종류, 온실의 크기, 유리 및 비닐온실 여부, 복합제어기의 사용 소프트웨어와 온습도, 이산화탄소, 광센서 및 기타센서의 사용실태와 복합제어기에 대한 사용상의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다(2016년 9월~10월). 복합제어기의 경우 국내업체는 가격이 저렴하고 신속한 A/S 대응이 가능하고, 복합제어기 소프트웨어 언어가 한글이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반면, 재현성이 낮고 측정데이터 활용이 어렵고, 복합환경제어가 아닌 단순 환경제어만 가능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외산 복합제어기는 데이터 측정값의 활용이 쉽게 되어있고 온실의 복합 환경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계산을 해주어 제어에 반영되고 국산대비 제어에 있어서도 측정단위가 정밀하다. 하지만 제어시스템의 복잡한 기능들로 인해 교육을 받아도 전문가수준으로 시스템 활용에 어려움이 있고 국내 업체의 설치비용에 비해 3~4배정도 높은 가격과 A/S 대응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복합제어기 회사인HortiMax, NETAFIM, Priva Connext의 시스템 구성은 비슷하며, 온도센서 하나당 1500~2000평을 한 구역으로 설정하고 일반적으로 구역의 한 가운데에 설치를 하고 있다. 온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한 구역에 하나가 아닌 두 개의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평균값을 사용하는 온실도 있다. CO2센서는 기체의 확산이 크기 때문에 온실 당 하나를 사용하고 있으며 외국업체는 습구온도와 건구온도를 측정값을 습곡기선도를 이용하여 습도센서를 사용하지 않아 국산시스템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센서는 외부에 가장 높은 곳에 주변에 가로등이 없는 곳에 설치하며, 풍속계, 풍향계, 강우센서 등과 함께 설치한다. 이처럼 다양한 온실 및 생육환경에 따른 표준화 된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스마트팜 실용화를 위해서는 복합센서의 표준시험방법과 절차를 개발하여 관련산업의 발전에 응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표준화, 내구성, 신뢰성에 대한 기준은 센서나 하드웨어 제어기 자체의 성능과 더불어 설치위치, 온실의 규모 등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한 핵심기술의 정립이 필요하다.

      • 직립 마늘 파종기의 성능시험

        이충호 ( Choong Ho Lee ),하종우 ( Jong Woo Ha ),장지운 ( Ji Un Jang ),정용준 ( Yong Jun Jung ),김현경 ( Hyun Gy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직립식 마늘파종기는 마늘종구를 한알씩 집어올려 중간이송컵으로 이송하는 자세교정컵과 배종부, 자세교정컵에서 낙하된 마늘종구를 땅속에 직립으로 파종하는 구조로 설계제작되었으며, 전라북도 익산시에 테스트베드에서 기계파종을 통한 파종기의 성능을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계파종에 사용된 제품은 국내산11조식, 7조식 직립마늘파종기와 스페인산 마늘파종기 3가지의 파종기를 사용하였다. 먼저, 기계파종을 실시한 후에 기계파종의 파종, 직립, 다립의 유/무를 확인하였고, 비닐멀칭의유/무에 따라 마늘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마늘생육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서토양의 관입력(Cone index), 대기의 온/습도, 토양의 온도, 마늘줄기/종구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셋째로, 마늘의 성장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지만 벼와 같은 표준화 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마늘 종구의 직경, 종구의높이, 줄기둘레, 줄기길이, 마늘이 심어진 각도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마늘의 수확이 이루어지기전 테스트베드의 대표 3라인의 전체구간에 대한 조간 심어진 개수를 파악하였고, 각 라인을 5개 구간으로 나누어 1,3,5구간에서 마늘을 3개씩 샘플링 실시하여 각 섹터애서 채취된 무게를 측정하고 평균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마늘의 전체수확량을 산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4가지의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마늘파종기의 성능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 졌으며. 파종환경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성장률 측정에 있어서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7조식 파종은 모두 비닐 멀칭을 하였고, 11조식 파종은 비닐 멀칭을 하지 않았다. 결주율과 직립률 등은 결주율이 11조 파종기가17.81%로 가장 크고 직립률이 93.1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발아율도 8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만 다립 파종률은 5.09%로 7조식 파종기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7조식 스페인산의 테스트베드는 비슷한 토양의 성질을 나타내지만 7조식 국내산과11조식 파종에 쓰인 테스트베드의 토양성질은 편차가 큰 것으로 측정되어 토양에 따른 요인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성장률에 관련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산점도를, 그리고 마늘종구의 높이×마늘 종구의 직경(Y축)과 마늘 줄기 길이(X축), 마늘 줄기 두께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는데 결과로는 R<sup>2</sup>값이 73.8%로 나타나서, 마늘의 줄기길이에 대한 비교가, R<sup>2</sup>값이 15.2%인 마늘의 줄기와 두께에 대한 비교보다 마늘 생장을 잘 나타내는 지표로 사료된다. 최종적으로 마늘수확 전에 테스트베드의 대표 3라인 전체구간에 대한 조간 심어진 개수를 파악하였고, 각 라인을5개 구간으로 나누어 그 중 1,3,5구간에서 마늘을 3개씩 샘플링하여 각 섹터의 무게를 측정하고 3개의 평균 무게를 기준으로 마늘 전체의 수확량을 예측하였다. 7조 스페인산 마늘1구 평균이 50.33 g, 7조 국내산 마늘1구 평균 36.56 g, 11조 국내산 마늘1구 평균이 43.22 g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테스트 베드의 제초 등 관리가 잘 이루어 지지 않아 데이터의 신뢰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