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개인연금 가입의 결정요인 분석

        이찬희,전희주,Lee, Chanhee,Chun, Heuij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 (SEM)을 활용하여 개인연금의 가입에 영향을 주는 심리요인들 간의 인과관계와 장수정서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전국 7대 도시에 거주하는 928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연금의 가입에는 장수가능성, 대처효용성, 장수지식 (인지요인), 보험사 신뢰 (사회요인), 금융이해력 (금융요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장수감정, 장수가능성, 국가신뢰, 대처효용성이 장수정서 (두려움과 걱정)에 영향을 주었으나, 장수정서를 매개로 하여 개인연금 가입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험사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와 잠재고객의 금융지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개인연금의 판매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장수할 가능성을 높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개인연금을 가입한다는 사실은 연금보험시장에서도 역선택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casual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and financial factors influencing the subscription of individual pension and identifies mediation effect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N=928) from common people living in the seven major cities in Korea shows that potential longevity, coping efficacy to the financial risks from longevity, subjective knowledge on longevity (cognitive factor), trust in insurers (social factor), and financial literacy(financial factor) are key players exercising direct influence over the subscription of individual pension. It also has been shown that affect on longevity, potential longevity, trust in government, and coping efficacy influence the emotions on longevity, fear and worry, and emotions on longevity are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subscription of individual pension. Trust in insurers and financial knowledge of prospects have also been reaffirmed to be crucial factors in the activation of individual pension subscription.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개인연금 가입의향의 결정요인 분석

        이찬희,정홍주,Lee, Chanhee,Jung, Hongjoo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노후대비를 위한 재무수단 중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개인연금의 가입의향에 영향을 주는 심리요인과 금융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대도시에 거주하는 928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실증분석결과, 개인연금 미가입자의 신규가입의향에 있어 장수에 대한 가능성과 대처효용성은 장수에 대한 정서인 두려움과 걱정을 완전매개로 하여 개인연금의 신규가입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험사 신뢰와 위험감수성향은 직접적으로 개인연금의 신규가입의향에 영향을 주며, 특히 개인연금 가입의향에 대하여 보험사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인연금 기가입자의 추가가입의향에 있어서는 보험사 신뢰만이 개인연금 추가가입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수 관련 정서적 측면이 개인연금 미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보험사 신뢰가 미래의 개인연금 신규가입뿐만 아니라 추가가입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험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긴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sions for individual pensions which have a growing importance as a financial means after retirement. For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e survey data (N = 928) was conducted to analyze psychological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comprehensively.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in the case of non-subscribers of individual pensions, potential longevity and coping efficac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sions for individual pensions fully mediated by fear and worry about longevity. Trust in insurers and risk tolerance direct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sions for individual pensions. These show that trust in insur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urchase intensions for individual pensions. Also, only trust in insurers give a direct impact on individual pensions in the case of individual pension subscribers. Longevity-related emotional side is expected to help in marketing activities that target potential customers signing individual pensions. In addition, trust in insurers has the greatest impact on new and additional subscriptions that represent critical efforts to improve trust in insurers.

      • KCI등재

        보험사 신뢰, 미디어 노출, 심리요인이 상해보험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찬희 ( Chanhee Lee ),김호일 ( Hoil Kim ) 보험연구원 2018 보험금융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교통재해를 보장하는 상해보험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심리요인, 미디어노출, 금융이해력의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상해보험의 구매의향에는 보험사에 대한 신뢰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해보험미(未)가입자의 신규 구매의향의 경우 교통재해 관련 미디어 노출은 교통재해에 대한 부정적 위험정서(두려움과 걱정)를 부분매개로, 그리고 낙관주의 편향과 사고가능성은 교통재해에 대한 부정적 위험정서를 완전매개로 긍정적 영향을 주며, 국가 신뢰는 직접적으로 상해보험의 신규 구매의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해보험 가입자의 추가 구매의향의 경우 보험사 신뢰는 긍정적 영향을 주고, 금융이해력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보험사와 금융당국에게 보험사의 신뢰도가 상해보험의 판매에 가장 큰 역할을 함을 시사하며, 교통재해를 당할 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상해보험의 신규 구매의향이 높게 나타나 상해보험시장에서의 역선택 가능성을 암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media exposure, and financial literacy on purchasing intention of accident insurance covering traffic accid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showed that trust in insurers i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non-subscribers of accident coverage, media expo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w purchase intention of accident coverage as partial mediation of risk sentiment(fear and worry) on traffic accidents. The optimism bias and accident prob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the new purchase intention of accident coverage as full mediation of risk sentiment for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trust in government has a direct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new accident coverage in a negative way. On the other hand, for the people who already joined accident coverage, trust in insurers and financial literacy influenced the additional purchase intention of accident coverage in positive and negative way respectively. The findings suggest that insurers, insurance industry, and financial authorities need to continue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trust of insurance consumers for the sales of accident coverage. Furthermore, it is impli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dverse selection in accident insurance market as the higher the perceived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of accident coverage.

      • KCI우수등재

        음이항회귀모형을 이용한 추나요법의 급여전환 전후 한의의료이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찬희(Chanhee Lee),김기영(Kiyoung Kim)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음이항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전국 110개 한의의료기관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 급여전환 시기, 지역, 계절 요인들이 추나요법의 급여전환 전후 의료이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추나요법의 급여전환에 따른 비급여항목의 의료이용 변화를 실증분석하였다. 한방병원과 한의원에서 추나요법의 급여전환 전후 한의의료이용 환자수 당 추나요법 이용 환자수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이며, 연령, 급여전환 시기, 의료이용 연도도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방병원에서는 성별, 한의원에서는 계절이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추나요법의 급여전환에 따른 비급여항목의 의료이용 변화는 한방병원에서는 첩약과 한방물리요법, 한의원에서는 한방물리요법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empirically analyzed factors expected to affect on the ratio of the number of patients using Chuna therapy to the number of patients using Korean medicin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Chuna therapy. And the change in medical use of non-payment items was empirically analyzed. This study used data from 110 Korean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from 2016 to 2019,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Reg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number of patients using Chuna therapy per the number of patients using Korean medicine therapy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pay of Chuna therapy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Korean medicine clinics. Age, time of change of pay, and year of medical use were also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gender and season in Korean medicine clinics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Changes in medical use of non-payment items were significant in herbal medicine and physiotherapy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physiotherapy in Korean medicine clinics.

      • KCI등재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이찬희 ( Chanhee Lee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의 변천 과정을 연구하여 무엇이 통합교과의 변화를 이끌었는지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 고시문과 해설서,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연구 보고서, 교과용 도서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변천은 ①통합교과 교과서 생성하기(4차) →②통합교과 교육과정 생성과 조정하기(5차~6차) →③주제 체계로 세 통합교과 연결하기(7차~2007 개정)→ ④주제별 교과서로 세 통합교과 다루기(2009 개정~2015 개정)→⑤지향점으로 세 통합교과 연결하기(2022 개정)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천 과정을 바탕으로 통합교과는 학생이 삶을 살아가는 힘을 지향하는 교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학교현장의 지지, 국가·사회적 요구, 통합이 지닌 힘이 통합교과를 진보하게 하는 힘이라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and textbooks, discussing what has driven their maintenance and change.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examined the formal documents of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research reports, and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evolution in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as follows: ①Developing integrated subject textbooks(4th revision)→② Developing and adjusting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5th to 6th revisions)→③ Connecting the three integrated subjects through a thematic system (7th to 2007 revisions)→④Dealing with the three integrated subjects through thematic textbooks (2009 to 2015 revisions)→⑤Connecting the three integrated subjects with the direction (2022 revision). Based on this process of evolu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moving towards a curriculum that direction for students to have ‘the power to live life’. It was discussed that support from the school field, societal and national demands, and the power of integration are the forces that maintain and change integrated subjects.

      • KCI등재

        2015 개정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 연구 동향 분석: 차기 통합교과서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찬희 ( Chanhee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교과서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차기 통합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통합교과서 45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및 내용, 연구 대상, 그리고 제언 측면에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15 개정 통합교과서 연구 동향을 크게 네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2015 개정 통합교과서 연구에는 '개발 → 분석 및 활용 → 개발'의 연구 흐름이 있었다. 둘째, 연구내용은 교과서 분석(약 44.4%)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교과서 개발(약 33.3%)과 교과서 활용(약 22.2%) 순이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교과서(약 82.2%), 사용자(약 13.3%), 개발자(약 4.4%) 순으로 연구가 이뤄졌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넷째, 제언으로는 교과서 개선(약 82.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과서 개발 절차 개선, 여건 조성, 인식 개선, 후속 연구 요청이 각각 같은 비중(약 4.4%)을 가졌다. 이를 통해 차기 통합교과서 개발에 관한 시사점으로 첫째, 수정·보완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교사교육 기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셋째, 주제 개발을 돕는 교과서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넷째, 플랫폼으로서 교과서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는 점, 다섯째, 기술 공학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여섯째, 통합교과서를 사용한 학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and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integrated textbook.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in the aspects of research period and content, research subjects, and suggestions using 45 pieces of literature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four main trends i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research. First, the research flow of 'development → analysis and using → development' existed i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research. Second, the research content was mostly focused on textbook analysis, followed by textbook development and textbook utilization. Third,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textbooks, users and developers, with no studies targeting students. Fourth, in terms of suggestions, textbook improvement held the largest proportion, whil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improvement, environment creation, perception improvement, and follow-up research requests each had an equal propor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integrated textbook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 revision and supplementary of research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eacher education function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 textbook structure that suppor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developing topics should be develop. Fourth, textbooks as a platform should be implemented. Fifth, technology engineering should be utilized. Lastly, the need for research on students using integrated textbooks is suggested.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 사용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탐색

        이찬희 ( Chanhee Lee ),김수진 ( Soojin Kim ),김보은 ( Boeun Kim ),남승종 ( Seungjong Na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 사용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교사가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로부터 배운 것은 총 28개로 정리될 수 있었다. 이는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는 교사들에게 ‘교사 교육’의 기능을 하였음을 뜻한다.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의 교사 교육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대별할 수 있었다. 첫째, 통합교과서는 교사에게 주제 중심 수업 만들기, 학생과 함께 수업 만들기 등의 수업 만들기 전략을 안내한다. 둘째, 통합교과서는 교사에게 학생을 수업을 만드는 능동적 존재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안내한다. 셋째, 통합교과서는 교사에게 단원 단위 수업 조망, 주제 중심 시간표 운영 등과 같이 기존 수업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을 안내한다. This paper explores how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extbooks changed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28 statements were presented as what teachers had learned from 2015 integrated textbooks about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means 2015 integrated textbooks had served a func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the findings were class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textbooks provide teachers with lesson making strategies such as theme-based lesson making or lesson making with students. Second, they allow teachers to consider students more active beings in lesson making. Third, they propose new perspectives for teachers about lessons such as having theme-based timetables or overviewing lesson uni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교실교육과정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초등교사 요구 탐색

        이찬희 ( Lee Chanhee ),유성열 ( You Sungyeol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이 연구는 교실교육과정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초등교사 요구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2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교실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실제로 하는 일들과 이러한 초등교사의 일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일들을 목록화하였다. 이후 전국에 있는 초등교사 8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교사 요구의 수행 주체를 학교, 지역, 국가 차원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총 50개의 교사 요구를 목록화하고 이를 수행 주체에 따라 국가 12개, 지역 16개, 학교 22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첫째, 교사는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이 하는 교육과정 일을 존중하는 교육과정 문화가 조성되길 원하고, 둘째, 교사는 학생과 교실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며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하는 체제를 요구하였으며, 셋째, 교사는 교실에서 개발하고 실천하는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제도와 법령 정비를 요청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 requirements for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26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survey was performed with 8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categorize the teacher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performing entities of school, region, and country. As a result, a total of 50 teacher requirements were listed and categorized into 12 at the national level, 16 at the regional level, and 22 at the school level. Based on this, the study discusses the need to first create a curriculum culture that respects the educational process implement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secondl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ovid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implementing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and thirdly to revise the system and laws to align with the curriculum made and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