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1> 화엄사상과 현대예술의 만남 : 연기(緣起)의 상상력과 관계 미학

        이진오 ( Jin Oh L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불교의 가장 핵심적인 원리는 연기의 원리이다. 연기는 모든 존재가 끝없는 관계 속에서 유동하면서 변화해 나간다는 원리이다. 연기론적 관점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세계를 완전히 다르게 보도록 한다. 망막 중심의 세계 인식에서 나아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까지 상상하게 하기도 하고, 때로는 습관적 연상으로부터 고리를 끊어 존재 그 자체만을 보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다른 인식이 우리에게 감성적으로 새로움을 경험하게 하고, 그 경험이 미적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불교가 예술창작과 밀접한 연관을 지닌 것은 바로 이러한 원리에 기반해 있을 것이다. 연기론에 기반한 불교의 지각 원리와, 이로 인한 미학적 작용 원리를 관계미학이라고 이름붙일 수 있다. 연기론은 대단히 복잡한 원리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를 단순화시켜 인과연기, 의타연기, 그리고 화엄연기로 대별하여 논하였다. 인과연기는 시간적 인과관계를 적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사물은 그것이 있기까지 수많은 다른 존재와의 인과적 관계에 의한 결과로서 현재와 같은 현상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눈 앞의 하나의 사물은 원인이 되는 수많은 존재의 모습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무한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며, 그 사물의 의미와 느낌을 확충시킨다. 의타연기는 사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의미한다. 의타연기에 의한 사물의 모습은 지금 여기에 보이지 않는 다른 사물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연상시킴으로써 현전하지 않은 무수한 사물의 모습과 의미를 함축한다. 화엄연기는 인과연기와 의타연기의 무한 확장한 총체로서의 연기적 존재계의 모습을 일컫는다. 이것은 곧 하나의 사물 속에 온 우주의 존재를 짐작케 하는 무한 의미를 함축한다. 이러한 무한한 연기 관계는 동시에 일상적 관계의 이탈을 통해 그 무한성을 획득하기도 한다. 문학작품이나 이우환이나 뒤샹, 백남준 등의 수많은 예술작품들이 이러한 원리를 구현한다. 한국에서는 불교를 케케묵고 낡은 유산 정도로 생각하지만, 서구에서는 현대 문명의 병폐와 모순을 극복할 대안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예술의 경우에도 현대예술의 가장 첨단은 불교적 감성 원리를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 중에 핵심적인 하나가 바로 연기론적인 관계미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st essential principle of Buddhism is the Buddhist theory of causality. The Buddhist theory of causality means infinite change while having endless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e viewpoint of the Buddhist theory of causality is to see the world totally differently to experience on a daily basis. Away from the world recognition limited in retina, this can make us imagine unseen by the world, sometimes breaking the ring from the habitual association makes us see something itself. These different perceptions make us experience the newness emotionally, and like this experience enables the aesthetic perception. The close association with Buddhism and artistic creation is based on this very principle. It can be called ‘realtionship aesthetics’ which is based on Buddhist perception principle and its aesthetic effects. One of the things was to have phenomena such as current as the result of a causal relationship with a number of other beings to have it. Thus, one object is in front of the eyes,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a number of state which cause. That evoke the imagination, thus expanding the meaning and sense of things. In Korea, most people thinks that Buddhist thinking is staying stale old heritage, but many people in the West think i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ills and contradictions of modern civilization. The most cutting-edge contemporary art, even if the art is utilizing the Buddhist principles in a very positive emotion. This will be able to be described as relationship aesthetics.

      • KCI등재

        칸트에 있어서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이진오 ( Jin Oh Lee ) 한국칸트학회 2015 칸트연구 Vol.36 No.-

        현대적인 의미의 철학상담과 치료는 1981년 독일의 아헨바흐가 철학실천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고대로부터 철학은 이론적인 탐구 이외에도 치료와 상담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렇다면 칸트 철학 또한 철학상담과 치료의 성격을 지니고 있을까? 칸트의 철학은 구체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 채 이론적인 차원의 탐구에만 그친 것은 아닐까? 본 논문은 선험적인 관념론이라는 난해한 사상을 전개한 칸트가 대중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도 다루면서 철학을 통해 치료와 상담이 가능하다는 점을 직접 보여주었다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인식론과 윤리학, 종교철학 등 칸트 철학의 거의 모든 영역이 현대적 철학실 천가들에 의해 치료와 상담에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것이다. 우리의 탐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것이다. 칸트는 자신의 철학적인 개념과 사고방식을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하며 철학했는가? 만약 그렇다면, 칸트의 이런 철학함은 오늘날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의 현장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대표적인 철학실천가들의 칸트에 대한 평가를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우리는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 학부논쟁, 뇌질환 탐색, 형이상학의 꿈에 비추어 본 시령자의 꿈,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등과 같은 칸트의 저서들을 분석할 것이다.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rapy of the modern sense began with the G. Achenbach’s Philosophical practice in Germany in 1981. However, from ancient the purpose of philosophy was the theoretical exploration in addition to therapy and counseling. So, what Kantian philosophy also has the nature of the therapy and counseling? Maybe it is mere philosophy of Kant is not only explore the theoretical dimension while not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crete life? Kant, who developed the idea of esoteric transcendental idealism, also dealt with themes of interest to the public, So he proved by himself that fact therapy and counseling is possible through philosophy. This paper will also check that epistemology and ethics, philosophy of religion, such as Kant almost all areas of philosophy are applied to counseling and therapy by modern philosophical practitioners.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answers the following questions: Doing philosophy, did Kant himself his philosophical concepts and thinking apply to the problems of his concrete life? If so, could this philosophy of Kant be applied today in the field of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will first look at the reviews of Kant’s philosophy of leading practitioners. Then we will analyze the writings of Kant, such as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 Der Streit der Fakultaten, Versuch Uber die Krankheiten des Kopfes, Traume eines Geistersehers, erlautert durch Traume der Metaphysik, Was heißt: Sich im Denken orientiren?

      • 고전문학 : 전통미학 범주이론 분석

        이진오 ( Jin Oh Lee ) 문창어문학회 2000 문창어문논집 Vol.37 No.-

        The problem of traditional aesthetics category in East Asia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essensial character of East Asian and Korean traditional aesthetics. Until now, there are no distinct thesis on this theme. To solve this problem, I am going to analyze the aesthetics category. This work would bring us the systematical comprehension of Korean and East Asian traditional aesthetics. First of all, there are not so much theories of the aesthetic category in Korea. Above all, there are few theories in ancient dynasties. Almost the only theory is Sin Kyung-jun`s theory. But, it is too much brief. In modern times, the representative work was written by Jung Yo-il, and Yi Yeon-se. But, these theories are not based on exact definition of terms. So, there needs exact definition of the terms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In China, there are much more arguments over this theme. The most important and representative character of Chinese scholor`s argument is taking series view of human being and the relation in the universal order. So their thought of aestheic category is compounded with the Heaven, the Earth, and everything in nature. This work is the preparation of the full scale investigation into the systematical theories of aesthetics in Korea, and East Asia. I promise nest progressive work.

      • 철학카페에서의 실존적 탐구 - 카뮈의 『이방인』에 대한 집단철학상담 사례보고

        이진오 ( Jin-oh Lee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9 철학 실천과 상담 Vol.9 No.-

        이 글은 현대인의 실존적인 삶의 위기와 그 돌파를 주제로 토론해 보자는 공지문을 본 19명이 참여한 총 5회기의 집단철학상담에 관한 사례보고서이다. 이 집단상담은 철학상담가인 필자와 김인석 교수가 이끌었다. 상담가와 참여자들은 테이블에 함께 둘러앉아 카뮈의 『이방인』을 읽고 각자의 생각을 말했다. 참여자들은 단순히 텍스트를 해석하는 차원을 넘어서 그것을 자신들의 실존적인 문제와 연결하며 토론하였다. 이런 점에서 이 모임은 다양한 철학실천 활동 중에 ‘철학카페’의 형식을 띤 것이다. 그런데 이 모임을 이끈 저자와 김인석 교수는 실존철학적으로 중요한 개념들을 텍스트 속에서 찾아 소개하고, 이렇게 찾아진 개념들을 길잡이로 참여자들 자신의 문제를 실존철학적인 문제의식으로 재해석해 볼 수 있는 질문을 던졌다. 이런 점에서 이 모임은 집단 철학상담이다. This article is a case report of the five times group philosophical counselling. involving 19 people who saw a notice to discuss modern life's existential crisis and its breakthrough. The meeting was led by me and Professor In-suk Kim. We both are philosophical counselor. The counselors and participants sat at the table together and read Albert Camus's The Stranger and discussed the existential philosophies of this book. We went beyond merely interpreting texts and connected and discussed our existential problems. In this sense, this gathering takes the form of a “philosophical café” among various philosophical practices. The two philosophical counselors who led the meeting found and introduced existential philosophically important concepts in the text. Using the found concepts as a guide, they asked questions to reinterpret the participants' problems as existential philosophical problems. In this regard, our five times meetings are also a group philosophical counsell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가사에서 자성 찾기와 시대의식

        이진오(Lee, Jin-Oh)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1 No.-

        본고에서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불교가사 작품에 나타난 자성 찾기 주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난 현상에 주목한다. 대중적 문학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가사 문학에 왜 갑자기 이 시기에 그 전에 없던 ‘자성 찾기’라는 특이한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가? 그리고, 그것이 당대 불교계의 다른 변화와 어떤 맥락을 형성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되고 일본불교가 밀어닥치는 와중에서 불교계는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맞이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수행에 깊은 성취를 이룬 선승들이 나서서 제시했던 길은 진정한 자기, 참된 자성의 회복이었다. 이것은 거대한 시대의식을 품고 있는 것이었고, 그것은 격동의 시련을 극복하는 새로운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졌다. 1900년대를 전후한 불교는 서구의 근대적 자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진면목, 참된 자성을 추구해 오던 유구한 전통을 가진 불교계에서는 불교식으로 진정한 개인의 재탄생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것은 시대의 위기에 대한 대응방식이었다는 점에서 강력한 시대의식을 품고 있는 것이었고, 그런 점에서 서구의 근대와는 다른, 한국적, 그리고 불교적 근대성의 추구라고 할 만하다. 근대불교에서 자성 찾기는 경허에서 학명, 용성, 만공, 한암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한결같이 ‘자성’, ‘자기’, ‘마음’, ‘천진면목’, ‘나 속의 부처’ 등을 찾기를 촉구하였다. 경허는 사회적 실천으로까지 연결해 내지는 못했지만 이 시기 자성 찾기의 수행적 기초를 마련하는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학명과 용성은 선농일치운동을 통해 노동하면서 수행하는 새로운 수행법을 개발하고, 경제적 자립을 통해 불교적 가치의 건강한 실현을 추구하였다. 만공은 민족불교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용성과 한암은 불경번역을 통해 불교적 진리의 대중화에 앞장섰다. 21세기 물질주의와 경쟁지상주의가 삶을 압도하는 숨막히는 현실에서 불교적 전통인 ‘자성 찾기’야말로 이 시대의 혼란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이 연구에서 시사 받을 수 있다. 참된 개인의 자성을 발견함으로써 건강한 사회적 자아의식을 발달시키고, 그것을 사회적 실천으로 확대시키는 모델을 위의 연구를 참조하여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Korean Peninsula went through enorm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fus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Zen Masters Gyeongheo and Hakmyeong, who were leaders of Buddhist community, insisted on true self search through Zen meditation study instead of belief in the Pure Land and faith in Maitreya that were the old mainstream traditions. They employed "Gasa," one of representative styles of popular literature in Joseon, and spread the true self search training method among the public. Living in almost the same times as him, Zen Master Hakmyeong presented the theories and practices to change the reality and society. The vogue initiated by Zen Masters Gyeongheo and Hakmyeong was spread to Zen Masters Yongseong, Mangong, and Hanam and developed into social transformation and practice movements based on true self search through Zen meditation study such as the oneness movement of Zen and agriculture, independence movement, and translation project of Buddhist scriptures into Korean. The Gasa style was also used actively in those movements. The true self search and social change movements during the times evolved into the movements of people rather than those of intellectuals and Buddhist leaders through the active utilization of Gasa style,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Moving those movements forward, they earned an insight into what kind of efforts the Buddhist community should make during the confusing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nd translated their insights into popular movements through the awakening of people as well as leaders. Those movements represent the new intellect and movement of Buddhism completely different from Joseon.

      • KCI등재후보

        날씨 기반 신체활동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이진오(Jin Oh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날씨(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운량, 강수량 등)변인을 통해 신체활동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신체활동량을 예측하는 것이 적합한지 확인하는 데 있다. 참여자로는 서울시 서대문구, 은평구, 송파구, 강북구, 강남구 등에서 관할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60대 여성 노인 200명(나이: 64.7±2.3, 신장: 156.1±3.5, 체중: 57.8±2.4, BMI: 23.8±1.4)을 선정하였고, 일별로 이들의 365일간 평균 보행수를 측정(Omron HJ-106, Japan)하였다. 날씨변인은 한국기상청(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에서 제공하는 2007년 1월 1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운량, 강수량 등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날씨정보와 보행수에 대한 자료는 신체활동지수를 개발하기위해 요인분석을 통해 날씨를 대표하는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일강수량, 평균운량 5개 변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요인추출방식으로는 Principal Axis Factor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요인 수는 1로 고정하였고, Regression 방식을 이용하여 요인점수(factor score)를 산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요인점수를 신체활동 지수로 활용이 가능하다. 5개의 날씨요인들을 통해 산출된 요인점수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365일 동안 수집된 노인여성의 일일 평균보행수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이 적합하다는 결과(p=.000)를 얻었다. 또한 365일 날씨변인에 의해 산출된 요인점수와 노인여성들의 365일간 평균보행수 간에는 정적상관(r=.369)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출된 요인점수는 노인여성들의 신체활동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데 적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노인이외의 대상을 통해서도 날씨변인을 활용해 지수를 산출한다면 신체 활동지수는 기상자료와 함께 홍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오존량, 습도 등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기후변인을 추가한다면 좀 더 의미있는 신체활동지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weather-based index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and to validat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by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actual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e index score.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healthy older women (age: 64.7±2.3 yrs., height: 156.1±3.5 cm, weight: 57.8±2.4 kg, BMI: 23.8±1.4 kg /m2) from five different Centers for the Welfare of the Aged in Seodaemun-gu, Eunpyeong-gu, Songpa-gu, Kangbuk-gu, and Kangnam-gu in Seoul, Korea. Their daily steps were counted and recorded for 365 consecutive days using Omron HJ-113 pedometer. Weather variables, including daily average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cloudiness, and precipitation,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a one-year period, from January 1st through December 31st in 2007. Analysis/Results: First, the five weather variables were used to calculate the factor scor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Principal Axis Factoring (the number of factors was fixed at one) and regression method were used to obtain factor scores. The factor scores were standardized, such that the distribution has a mean of zero and a standard deviation of one. To establish validity evidence,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steps averaged over the year period and the Physical Activity Index. Two hundred participants` step counts were averaged each day, and were compared to the factor score for that day. The participants` step cou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hysical Activity Index (r=.40), which supported correlational evidence of validity. Conclusions: Therefor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can significantly predict physical activities of older women. Using meteorological data to develop the Physical Activity Index for other age groups could be beneficial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 better index could be obtained if more variables (e.g., daily ozone level and humidity) were included in the formation of factor scores. Because increase/decrease in temperature or weather variables do not always mean better/worse weather for participation for physical activities, further develop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Index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