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소현성록>의 이중성에 내재된 욕망의 실체

        이지하 ( Jee Ha Lee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소현성록>은 초기의 국문장편소설로서 주목받는 가운데 여러 방면에서 연구되었으나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가문의식을 강하게 드러낸다는 견해와 여성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낸다는 대립된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작품의 서사에서 발견되는 모순적이고 이중적인 요소들을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접근법으로 작품의 성격을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소현성록>의 서사 속에는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모순처럼 보이는 이중적 요소들이 존재한다. 첫째 작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인공 소경의 형상이 이중적 면모를 보인다. 소경은 훌륭한 관리이자 어진 남편으로 표상되는데 작중에서 그의 과거 시험에서의 부정행위와 오해로 인한 아내 축출을 그림으로써 그의 군자적 자질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둘째 이 작품에서는 소경에게는 술을 비롯한 풍류 행위가 방탕으로 치부되며 엄격히 금지되는 반면 소씨가문의 여성들에게는 너그럽게 허용된다. 셋째 다처제 하에서 여성들이 느꼈을 고뇌에 대해 공감하는 시선을 보내면서도 투기 행위는 엄격히 금지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의 이중성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이중적 요소들이 발생하게 된 이면에는 소경의 어머니인 양부인의 욕망이 관련되어 있다고 보인다. 양부인은 효성의 강조와 엄격한 통제를 통해 아들을 가문의 대표자로 양성하고자 하며, 가문의 번영을 위해 다처제를 용인하고 활용한다. 따라서 이 소설은 어머니 양부인과 아들 소경의 서사라고 할수 있으며 그 속에 아들을 통해 가문을 중흥시키고 영예로운 어머니의 자리에 오르고자 하는 양부인의 욕망이 자리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양부인이 지향하는 것이 성공한 아들의 신화를 통해 효성을 매개삼아 노년의 영광을 꿈꾸는 상층사대부가 여성들의 욕망과도 통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 작품이 여성주의적 관점보다는 가부장적 가문주의의 관점에 입각해 있다고 생각된다. <Sohyeonseongrok(蘇賢聖錄)> was noticed as an early work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nd was researched from various angles. However, in the thematic aspect, it is evaluated with an opposing opinion about two strong views between the family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 of feminism. Investigating the ironical dual factors found in the narration, this thesis will interpret the character of the work with the new approach. The narration of <Sohyeonseongrok(蘇賢聖錄)> has the ambivalent factors without consistency. Firstly, in the work Sokyung, the hero who is the most important role assumes dual aspect. Sokyung is represented as a great official and a good husband but he is expressed that he cheated in the state examination and ousted his wife from misunderstanding, therefore it has caused a crack in his virtuous disposition. Secondly, in this work Sokyung is strictly forbidden refined acts like drinking, which is treated as the dissipation. However, the women of the So family are allowed them. Thirdly, sympathizing with women in their suffering from the polygamy but forbidding jealousy strictly, this work exposes the duplicity of perception about women. In the truth behind the ironic facts,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desire of Yangbuin(梁夫人), Sokyung``s mother. Yangbuin(梁夫人) tries to train her s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family through emphasizing filial piety and controling strictly. She also permits and applies the polygamy for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Therefore, this novel could be narration of mother and son. Yangbuin(梁 夫人)``s desire, which is reviving the family by son and reaching a honorable position of mother, settles inside it. In the point that Yangbuin(梁夫人) intends to be honorable mother in the patriarchy, the real character of this work would be grasped through the standpoint of the familism rather than the feminism.

      • KCI등재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의 여성형상화와 그 의미

        이지하(Lee Jee-Ha)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In the 19th century, a few novels were written in Chinese letters by the high class intelligent : 〈Yookmidanggi(육미당기)〉, 〈Oksugi(옥수기)〉, 〈Okrumong(옥루몽)〉 ect. It is meaningful because the intelligent had neglected Korean classical novels for centuries. However the writers of those novels intended to show off their talent and criticize irrational society through novels. It is certain that they more advanced than other high class intelligent on that point. Nevertheless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inclination of the writers. Therefore this essay aim to examine the inclination of the writers by analyzing the figuration of women characters because a view of womanhood could be a good measure of writer's sense of value, specially in a strong patriarchy. Above novels show a progressive view of womanhood to some extent : figuration of very able women, emphasis on the true friendship between man and woman. On the other hand, they still reveal the androcentric sense and the feudalistic idea : defense of the polygamous system, emphasis on the women's fidelity, sense of class distinction. As a result,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Chines Letters in the 19th Century have the limit that writers couldn't overcome conservatism as Yangban(양반), although it shows criticism about government and governors.

      • 고속철도 교량상의 장대레일 축력 해석

        이지하(Lee Jee-Ha),양신추(Yang Sin-Chu),이종득(Lee Jong-Duk) 한국철도학회 199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Railway bridg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ess and displacement of continuous welded rail(CWR). Longitudinal compression force at high temperature, combined breaking or acceleration forces can introduce track buckling. On the other hand, longitudinal tensile forces, associated with low temperatures, in combination with breaking forces may break rail.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work out thorough counter measures for those problems, specially in high speed rail which high safety is required. The exact evaluation of longitudinal force of rail has the key to the solution. The main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longitudinal force of CWR"s on Kyung-Bu-HSR satisfy the criteria to be fulfilled in the design of railway bridge. The analyses are carried out by using "CWRAP"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our research group. The ballast resistance and breaking force effects on the longitudinal force of CWR are investigated.

      • KCI등재

        대하소설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한 전망

        이지하(Lee Jee-ha)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3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possibility of making cultural contents based o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Classical novel. In the first place, it was invested what Korean classical long novel has a strong point for making cultural contents. In the aspect of constructio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very useful for Digital Storytelling for the reason of reiterated layers by plural protagonists and open construction through repetition between generation. Dual construction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connecting the earth with the heaven, is also suitable for a trend of recent cultural contents which appears frequently a fantasy world to embody the whole world with unlimited imagination. In the aspect of subject matter, Korean classical long novel, which puts together colossal characters and space-time in the concrete, has a merit providing much more the sauce of contents than other genr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creation of various characters is important factor to have an influence upon success or fail, Korean classical long novel, which would be an exhibition hall for a large group of variegated characters with context of narrative, is greatly worthy of note. In the aspect of recognition, it is regarded that propensity to type and general recognition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could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Especially dealing with universal ethics to which human beings intend and organizing it to perform the diverse playing a variation in the actual situatio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would supply a felt want of the populace aiming at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oth. Many layer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actualize cultural contents with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original text. Although mainly making the database of original text and translating into a living language have been focused all these days, methods of reprocessing should be groped positively from now. Through this, as Korean classical novel is renewed understanding as a open text, it is possible to come to a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o make steady progress toward up-to-date meaning of classical novel. Further more we also need to concern about the fields of multifarious contents such as entertainment storytelling and information storytelling. in particular the latter should be concerned much more to apply a humanistic value in classical novel. However in the process of making cultural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o make an effort to carry out the role of humanistic true character, as well as to pursue economic value added.

      • KCI등재

        가부장적 고전텍스트에 대한 문학교육현장의 고민과 모색

        이지하 ( Lee Jee-ha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9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의 여성주의 열풍 속에서 고전문학의 위상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가부장제에 입각한 봉건시대의 산물인 고전문학은 현재의 여성주의적 문제의식과 충돌하는 지점이 많기 때문이다. 우선 고전텍스트는 전근대 시기의 역사적 산물로서 가부장제의 성차별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그 생산과 향유 과정에서도 여성들이 소외된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고전의 정전화에도 남성중심적 요소들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는 고전텍스트에 대해 대학의 문학교육현장에서 제기되는 비판을 수용하면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새롭게 문학적 규범을 재사유화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시대를 관통하는 보편적 가치가 확인되어야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가부장적 고전텍스트의 한계를 딛고 문학교육현장에서 유의미한 논의를 생산해내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텍스트의 재해석과 정전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고전텍스트 안에 내재된 성차별적 요소들을 반성하고 재평가하는 것은 비단 젠더적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고전을 고정적 체계에서 해방시켜 미래지향적 가치들 속에서 재맥락화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는 새로운 시대, 새로운 가치 속에서 정전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것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 때 여성주의적 관점은 평등에 기반한 미래지향적 가치 척도로서 유의미하다. 둘째, 문학 주체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전근대 시기의 여성을 제대로 포착하기 위해서는 봉건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에게 종속된 존재로서 타자화 되었던 보편성과 더불어 신분제 사회의 계급적 차별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전텍스트 내부의 여성 주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당대 사회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한 다각적 접근이 요구되며, 생산 및 향유 주체로서의 여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도 교육과 문학 행위에서 소외되었던 여성들의 보편적 상황과 더불어 여성 내에서도 계급적 지위에 따라 생산과 향유의 방식이 크게 차별화되었던 정황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문학교육현장의 학생들이 새로운 해석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하다. 젠더 문제는 비단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 근저에서 작동하는 차별적인 권력체계는 성별 구도를 넘어서는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기존의 확립된 의미들을 해체하고 재사유하는 것은 억압적이고 차별적인 체계 전반에 대한 반성으로 확장되어야 하며, 그 점에서 평등과 해방을 가치화하는 교육현장의 중요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이에 교수자의 권위를 최소화하고 젠더적 감수성에 민감한 학생들이 새로운 해석의 주체가 되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수행 전략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reflectively reexamine the statu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since the feminism wave is spreading rapidly in recent Korean society.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which are the creatures of the feudal ages based on patriarchism, are now necessary be revalued in current feministic views. Above all, classic texts are containing misogynistic contents of patriarchism as a result of the pre-modern history and excluded women during its production and enjoyment. Therefore, it is need to reconsider the literature roles of the classics in the feministic view, embracing the criticisms raised in the literature education fields of universities about its sexist contexts. After discovering the time-penetrating universal values through this process, the texts would be able to secure a footing as the classics. The following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exts and a shift of the canons are needed. Examining and revaluing the misogynistic factors in classical literature are not only about gender issues but also about recontextualization of the classics in future-oriented values by setting those free from fixed systems. Thus this process should lead to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e canon that the new era and new value ask. Feminism, on this occasion, is significant as a future-oriented value scale based on equality. Second, examination of the main agents of literature is needed. To fully understand the women of pre-modern ages, the universality of women objectification in the feudal patriarchal socie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classes of hierarchical society should both be considered. Therefore, to estimate female subjects in the classic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various sides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the society at that time. Furthermore, the situation that females have been isolated from education and literature, a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eir social classes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understand women as the writers and readers of the classic literature. Third, educational methodologies for students as being new evaluator should be sought. Gender issues and discriminative systems of power are not only the problems of women themselves but also the problems that affect the fields above sexual confrontation. Hence, dissolution and re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meanings through feministic interpretation should be expanded as a repentance of the entire existing oppressive-discriminative systems. At that point, those could be the main educational methodology that values equality and liberty. Accordingly, various methods should be sought such as minimalizing authoritarianism of the educators and attracting participation from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gender sensibility as new evaluators of the classics.

      • KCI등재

        가부장제 하(下) 여성연대와 새로운 가족의 상상 가능성 - <청백운>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지하 ( Lee Jee-ha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9

        <청백운>은 18세기 말 이후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한문장편소설이다. 당대에 인기를 끌었던 국문장편의 서사관습을 계승하면서도 독특한 특징들을 지녀 근대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평가받아왔다. 본고에서는 ‘가족’이라는 화두를 통해 그러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의 가족 서사는 부계의 부재와 여성적 관계의 부각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가장을 포함한 부계의 부재는 가부장제의 균열을 상징하는 것이다. 빈자리를 대신해야 하는 여성들은 가부장제 하 종속적 타자로서의 위치 때문에 제약을 지닐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가문, 신분, 종교 등 당대의 차별적 경계들을 넘어 구체적 도움을 주고받으며 연대감을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관계들을 구축해 나간다. 이러한 관계에서는 정서적 친밀감과 공감대가 중요시된다. <청백운>이 보여주는 새로운 인간관계는 부계 중심의 혈연적, 위계적 가족 관계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가족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혈족에 얽매이지 않고 서로를 아껴주는 유대감으로 가족을 재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CheongBaekUn > is a novel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evaluated as a transitional work becaus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such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opic of ‘family’. The family narrative in this work can be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patriarchy and the emphasis on feminine relationships. The absence of the patriarchy, including the head of the household, symbolizes the collapse of the patriarchy. Women who have to take the place of vacancies inevitably have limitations due to their position as subordinate others under the patriarchy. However, they build new relationships by exchanging specific help and forming solidarity beyond the discriminatory boundaries of the time, such as family, status, and religion. In these relationships, emotional intimacy and empathy are important. The new human relationship shown in < CheongBaekUn > can be understood as a new concept of family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blood-related family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paternal line. This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even today in that it can redefine the family as a bond that cares for each other regardless of blood relatives.

      • KCI등재

        18세기 대하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성격과 소설사적 의미

        이지하 ( Lee Jee-ha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6

        대하소설은 우리 소설사에서 여성에 의해 주도된 최초의 대중서사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멜로드라마의 관점에서 그 특성과 위상을 살핌으로써 대하소설의 문학사적 의미를 보다 적극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하소설은 다음과 같은 멜로드라마적 특성을 보인다. 첫째 혼인을 둘러싼 남녀관계와 여성수난담을 통한 선악구도 등을 대중적 견인 장치로 활용하여 여성적 관심사를 통속적으로 구조화하고 있다. 둘째 여성의 비극적 상황과 그에 대한 반응을 과장되게 그리거나 남성의 애정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멜로드라마의 특징 중 하나인 감정의 과장과 과잉을 보여주면서 여성적 감수성을 자극한다. 셋째 대중적 소망에 부합하고자 하는 멜로드라마의 지향성에 따라 보편적 도덕률에 입각하여 행복한 결말을 그리지만 문제의 핵심인 가부장제의 모순은 해결되지 않은 채 지속된다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서구의 멜로드라마가 근대 대중서사장르로서 시대성을 반영하면서 대중적 양식을 구축해나간 것처럼 우리의 소설사에서 18세기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여성 중심의 한국적 멜로드라마가 형성되는 과정은 우리 문학사에 `여성`과 `대중성`이 중요화두로 등장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이 문화의 소비 대상을 넘어서 주체적 생산자로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대하소설에서 발견되는 멜로드라마적 요소들은 상층 여성들에 의해 주도된 한국적 대중서사물의 특징들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이후 성별과 계층의 경계를 넘어 확산되는 대중서사물의 전범이자 비교거리가 된다고 하겠다. Korean classical long novel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e point of first popular narrative work led by woman in Korean novel history. Therefore, studying the characteristic and phase from the melodramatic point of view I positively intended to grasp the meaning in Korean novel history. Korean classical long novel has the following melodramatic characteristic. Firstly it popularly structuralizes the matter of woman interest applying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through the woman suffering story and the marriage-related relationships between male and female. Secondly it stimulates women`s sensitivity by exaggeratedly describing woman tragic situation and it`s response and by positively embodying male`s affection. Thirdly although it describes a happy ending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 ethical code, it holds the dilemma which continues without solution of the patriarchal contradiction as the heart of a problem. As the western melodrama, modern narrative genre, reflected the contemporaneity and builded popular style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Korean style melodrama formation centering round wom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 18th century in Korean novel history, it is important that `woman` and `popularity` appeared on the important topic, and besides, they showed the figure growing as the subjective producer beyond the object of cultural consumption. Also, in the point that the melodramatic elements found from Korean classical long novel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narrative work led by upper class women, it would be the model and the source of comparison of popular narrative works spreading beyond the border of the sex distinction and different class.

      • KCI등재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이지하(Lee Jee ha)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이 논문은 대부분의 고전 장편소설을 보수적 지배 이념의 옹호 또는 선양이라는 시각으로 바라보는 선입견에 대한 검토와 반성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당대의 대표적 지배 윤리인 효를 주요 요소로 삼으면서도 여성의 효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을 보이는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재합기연>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유교적 가부장제 하에서 남성에게 종속된 존재로 인식되었던 여성의 효의식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통해 작품의 지향성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유효공선행록>에서는 남주인공 위주의 서사 진행을 통해 절대적 효를 부각시키는 가운데 여성의 효가 철저히 시댁 중심의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여성의 입장에 대한 배려나 여성 내면에 대한 묘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유교적 가부장제의 논리를 옹호하고, 지배 질서에 입각한 수직적 인간관을 중시하는 작품의 지향의식과 연관된다. 반면 <옥원재합기연>에서는 여주인공의 고난을 부각시키는 가운데 여성의 입장에 대해서도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여성의 효의식이 제도적이고 규범적인 차원에서 시부모에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이고 보편적인 감정으로서 친정부모에게도 해당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여성의 효에 대한 공정한 시각은 이 작품이 지향한 보편적 인간 이해 속에서 가능했던 것이라 보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동일한 시대적 윤리에 다르게 반응하는 소설들의 실례를 살펴봄으로써 이 소설군에 대한 다양한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외면적으로 비슷해 보이면서도 내적 차별성을 보이는 많은 작품들에 대해 다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과 분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different aspects of women's filial piety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It is possible to measure conservatism of novels by means of women's status in novels because in those days women were regarded to be subordinate under the patriarchy. Yoohyogongsunhaengrok(柳孝公善行錄) and Okwonjaehapgiyun(玉鴛再合奇緣)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Yoohyogongsunhaengrok(柳孝公善行錄) just focuses on hero's filial piety and describes that women's filial piety only belongs to husband's parent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heroin's situation or mental state. This is related with the inclination of the novel that supports the patriarchy under the confucianism and holds fast to discrimination by soci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Okwonjaehapgiyun(玉鴛再合奇緣) focuses on heroin's trials and pays attention to women's situation. Especially it emphasizes that women's filial piety belongs not only parents in law but also their own parents. The equitable idea about women's filial piety is based on the view of human that all men are equal. The differences of two novels mentioned above shows there are many levels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conservative works. Therefore diversified methods of research are necessary to recover the differences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and to properly estimate th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