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합 근연수분 및 종간 교잡종 F1 여교잡시 종자형성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근연수분인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은 9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1개였다 화주절단수분시에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22개로 적었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11개를 얻었다. 그러나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4개로 주두수분에 비해 11%밖에 미치지 못했다. (L. longiflorum 'Raizan'${\times}$L. ${\times}$formolongi 'Como')의 경우 주두수분은 종자형성 삭과율이 40%이고 삭과당 종자수가 14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 ${\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여교잡에서 화주절단수분된 15개체 중에서 9개의 성숙삭과를 얻어 삭과 형성율은 60%,배형성 삭과수는 53%,삭과당 평균배수는 14개였다. 그러나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times}$L. longiflorum 'Lorina']와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L. longiflorum 'Lorina'Lorina'L. Asiatic hyhbrid 'Corsica') ${\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경우도 수분된 15개체 중에서 삭과 형성률은 80.0%,배형성 삭과수는 67%,삭과당 평균배수는 11개였다. 하지만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times}$L. longiflorum 'Lorina']와 나팔백합에 종간잡종을 교잡한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 We studies seed set in the interspecific F1 /backcross hybrids of Lilium species. In the interspecfic hybrid of L. longiflorum cv. Gelri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93% fruit set was obtained by stigmatic pollination in comparison to 53% from cut-style pollina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seed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147 and 53, respectively. Pollination o( both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in the hybrid of L. longiflorum cv. Lorin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 However, stigmatic pollination formed 413 seeds, whereas only 24 seeds were obtained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cross. The hybrid of L.${\times}$ fomolongi cv. Raizan with L. longiflorum cv. Come set 40% fruit with a total of 43 seeds by stigmatic pollination. However, no fruit set was observed in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hybrid. Backcrossing the F1 hybrid by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hicago with the latter parent led to 53% fruit set, and 109 embryos were obtained. Likewise, backcrossing following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orsia with the latter parent formed 67% fruits and 107 embryos. However, in the remaining interspecific hybrids, cut-style pollination set no fruit.

      • KCI등재

        Oriental, Martgon 및 Trumpet Group을 화분친으로 사용한 백합의 종간수분

        이지용,윤의수,임용표,Lee, Ji-Yong,Yoon, Eui-Soo,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1 No.2

        L. longiflorum cv. Gelri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98조합 2,380개체에 대한 종간교배 결과 삭과 형성수는 7조합에서 11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L. 'Vettorea'를 화분친으로 한 1조합에서만 1개체를 얻어 그 비율은 미미했으나 1개의 삭과에서 11개의 미숙배를 획득했다. 같은 나팔백합인 L. longiflourm cv. Lorin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74조합 1,265개체의 교배결과 삭과 형성 수는 8조합에서 9개체를 얻었다. 배형성 삭과율은 1.3%를 나타냈으며 전체 24개의 배를 얻었으며 삭과당 평균배수는 3.0개였다. L. ${\times}$formolongi cv.'Raizan'을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85조합 1,065개체 교배결과 삭과 형성수는 36조합에서 62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12조합에서 17개체를 얻었고 여기에서 얻은 전체 배수는 68개로 삭과당 평균배수는 4.0개였다. 같은 Longiflorum group인 L. ${\times}$formolongi과 L. ${\times}$formolongi 자방친으로 한 종간교배 결과를 비교해 보면 배형성 삭과율은 L. ${\times}$formolongi cv. Raizan (3.1%) 이 ㅣ. longiflorum cv. Gelria (0.1%)와 L. longiflorum cv. Lorina (1.3%) 보다 높은 편이었고, 삭과당 평균배수는 L. longiflorum cv. Gelria(11.0개)가 L. longiflorum cv. Lorina (3.0개), L. ${\times}$formolongi cv. Raizan (4.0개) 보다 높은 편이었다. 한편 Longiflorum group인 L. longiflourm cv. Gelria 및 L. longiflorum cv. Lorina와 L. ${\times}$formolongi cv. Raizan를 자방친으로 하고 화분친을 Martagon group인 1. distichum, L. hansonii, L. tsingtauense, L. martagon, Trumpet group인 L. 'Black Beauty', 1. henf, L. henry, regale 등으로 화주절단수분을 한 결과 (L. ${\times}$formolongi${\times}$L. henryi)의 조합에서만이 15개의 교배개체 중에서 2개의 성숙 삭과를 얻었을 뿐 배를 형성한 삭과는 얻지 못했다. 이러한 교잡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 시험에서 시행한 화주절단수분법 이외에도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with Oriental,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riental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 8,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11.0, 3.0, respectively.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cv. Raizan,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7,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4.0.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between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L. henryi of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were obtained only 2 fruits, however no embryo.

      • KCI등재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 This work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 seed set in Lilium longiflorum and L. ${\times}$ formolongi, and their crosses as the female parent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resulted in cent per cent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189 and 70, respectively. However,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87% and 40% fruit set in Gelria and Lorina,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was 53 and 20. In L. ${\times}$ formolongi, stigmatic pollination set 80% fruits with 736 seeds/fruit. On the other h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with 81 seeds/fruit. The intraspecific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ther cultivars formed 60% fruits with a mean number of 18 seeds/fruit. However, only 20%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7 was recorded when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ultivar were pollinated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In the intra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 formolongi cv. Raizan with Novia, fruit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75% and 50%, respectively with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579 and 98. It was concluded that self as well as intraspecific seed set in the two species of Lilium gets considerably reduced as a result of cut-style pollination.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운동처방을 위한 이동형 헬스케어 능동로봇 개발 및 검증

        이지용 ( Ji-yong Lee ),이용국 ( Yong Kook Lee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오프라인 현장에서 운동 처방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이동형 헬스케어 능동로봇을 개발하고 추후 운동 처방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시스템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실험대상은 20대 남자 8명(66.7%), 20대 여자 4명(33.3%)으로 총 1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타봇에 탑재된 지면압력센서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첫째, 타봇을 활용하여 지면반력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둘째, 지면반력기의 준거도구로 AMTI ORG-6 지면반력기를 활용하여 지면반력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립 자세에서 우측·좌측 균형비율을 비교한 결과 타당도(r=.597, p=.04), 신뢰도(ICC=.998) 모두 높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스쿼트 자세에서 우측·좌측 균형비율을 비교한 결과 타당도(r=.929, p=.001), 신뢰도(ICC=.983) 모두 높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타봇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시스템 프로세스는 운동 처방 연구가 연계된다면 인공지능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 연구는 범용성 있는 헬스케어 기반의 능동로봇을 개발하고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스포츠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bile healthcare active robot that can be utilized for prescribing exercises in offline settings and to propose a system proces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exercise prescription in the future. A total of 12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experiment, comprising 8 males in their 20s (66.7%) and 4 females in their 20s (33.3%). In this researc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ssure sensors integrated into the TABOT were examin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TaBot was used to collect ground reaction force data. Second, ground reaction force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AMTI ORG-6 ground reaction force platform as a reference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comparing the right and left balance ratios in an upright posture, both validity (r = .597, p = .04) and reliability (ICC = .998)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a high level. Second, when comparing the right and left balance ratios in a squat posture, both validity (r = .929, p = .001) and reliability (ICC = .983)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a high level. Third, it is anticipated that if the TABOT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used in exercise prescription studie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process can be implemented when linked to exercise prescription research. This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as it has developed a versatile healthcare-based active robot and propos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 of sports.

      • KCI등재

        중국의 국가정체성 진화와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

        이지용(Ji-Yong Lee)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국제관계연구 Vol.19 No.1

        중국의 부상이 21세기 국제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인가 하는 문제는 동시대 국제관계이론과 현실 외교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이다. 특히 국제정치이론에서 부상하는 중국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논쟁의 핵심은 중국을 ‘현상’ 수용자로 볼 것인가 아니면 ‘현상’ 타파 세력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세계적 강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이 국제관계에 실질적 영향과 변화를 가져오는 일련의 현상들이 해양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고는 강대국 중국은 필연적으로 ‘현상타파자’가 될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현상타파자’가 될 수밖에 없는 근거를 중국의 국가정체성 진화에서 찾는다. 중국은 전통적인 ‘대륙국가’에서 대륙과 해양을 아우르는 ‘대륙-해양 국가’로 국가정체성이 변화하고 있다. 중국의 국가정체성이 이와 같이 변화하는 배경에는 중국의 부상을 가능하게 했던 개혁개방정책과 시장화가 있다. 그런데 중국은 ‘대륙-해양’ 국가화로 국가정체성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서태평양 지역에 이미 형성된 해양질서를 타파하고자 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해양세력’과의 이해마찰과 갈등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중국과 일본이 동중국해에서 벌이고 있는 해양영유권 분쟁은 그러한 과정의 초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향후 동 ?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한 서태평양 지역에서 더욱 고양될 것으로 보이는 세력경쟁이 동아시아 안보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데에 있다. 해양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국제적 규범과 제도, 그리고 기구의 확립이라고 하는 자유주의적 갈등해법이 시급히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이는 동시에 해양안보를 확고히 하기 위한 내적 대응 또한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The impact and change created by a rising China is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contemporary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foreign policy. Especially, a key question of the issue is, “is China a status quo power or a revisionist state?” In this regard, a series of events breaking the status quo have been occurring with the rise of China at the center. The paper posits that China as a global power is to be a ‘revisionist power.’ It looks at the evolving China’s national identity as the major caus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China is currently transforming its national identity from a traditional continental power to a ‘continental-cum-maritime power.’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drop is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and marketization, which have enabled China to rise as a great power. China will try to break the status quo in the Asia-Pacific region as it evolves into a ‘continentalcum- maritime power.’ Consequently, it will create conflicts with the existing maritime powers like the U.S. and Japan.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Sino-Japan conflicts and frictions is nothing but an initial stage of coming long courses. More grave is the gloomy prospect that power competition over the control of Asia-Pacific ocean between China and the U.S. allied with Japan will exacerbate security environment in East Asia. Therefore, liberal solutions through establishing multilateral mechanisms and international rules are required. Last but not least, it is simultaneously required to set up strategic measures to secure maritime security in East Asia.

      • KCI등재

        쇼핑성향에 따른 해외패션제품 직접구매 위험지각과 구매의도

        이지용 ( Lee Ji Yong ),황진숙 ( Hwang Ji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해외 브랜드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기 위해 해외직접구매를 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를 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쇼핑성향에 따라 느끼는 해외직접구매의 위험지각을 살펴보고 그것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 경험이 있는 20-40대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346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표과시 쇼핑성향과 할인지향 쇼핑성향이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표과시 쇼핑성향은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미체험, 결제, 배송, 교환환불)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인지향 쇼핑성향은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 중 미체험 위험지각만을 제외한 모든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결제, 배송, 교환환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결제 위험지각과 배송 위험지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쇼핑성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표과시 쇼핑성향에서 배송 위험지각의 간접적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라 인지하는 해외위험지각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패션 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실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Consumers have been increasing who use overseas direct purchase to buy foreign brand goods at affordable price ow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perception of overseas direct purchase that the consumers, subjects of this study, feel depending on their shopping orient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on the purchase intent. Six people who had overseas direct purchase experience before this study was interviewed; a total of 346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using AMOS 18.0.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s of brand-oriented shopping and discount-oriented shopping, the brand-oriented shopping showed positive impacts on every risk perception (inexpedience, payment, shipping, exchange and refund) for overseas direct purchase. The discount-oriented shopp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risk perception (payment, shipping, exchange and refund) of the overseas direct purchase except for the inexpedience risk perception among overseas direct purchase risk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overseas direct purchase risk percep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showed that payment risk perception and shipping risk percep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Finall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shipping risk perception showed the biggest indirect effects in the case of the brand-oriented shopp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help in the building and implementation of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overseas risk perception recognized by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shopping tendencies and thus their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 분류 연구

        이지용 ( Lee Ji-yong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의 교육 내용으로 유사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교수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측면에서 문법 항목 사이의 유사성이 발생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해하여, 학습자가 이를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교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법 항목 사이 발생하게 되는 `유사성`에 대한 개념과 이에 따른 세부 유형에 대한 체계적 규정이 필요하다. 의심할 여지없이 문법 항목 사이의 유사성은 바로 유사 문법 항목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모국어 화자는 문법 항목이 서로 유사한지 아닌지 한 눈에 알 수 있지만, 외국인 학습자가 문법 항목들의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법 항목의 관계에서 도출된 유사 문법 항목에 대한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밝혀내기 위해 `유사성`의 개념을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의 범위를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을 구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elect and teach similar grammar in Korean to foreigners, there is a need to accurately apprehend what similarity occurs in which aspect of grammar, and need to instruct to cultivate ability for learners to distinguish them. As foreign learners are un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ity like a native speaker, the similarity becomes one of the major cause of error in learning Korea. Therefore, through explicit learning, one must instruct students to learn contents that are relevant to similarity of grammar.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regulation regarding the concept of “similarity” and its specific types that occur in grammar. Without doubt, similarity in grammar is the essential element defining the similar grammar items. Native speakers are 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 grammars in natural, but foreign learners have hard time recognizing the similarity in grammar.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composition, system of grammar to clearly verify the concept of similar grammar, and determine the concept of “similarity”. Also, the study aims to discuss the range of “similarity” that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and propose the specified types of similar grammars based on the discussion.

      • KCI등재

        동료 평가가 한국어 작문에 미치는 영향

        이지용(Lee Ji-yong) 중앙어문학회 2008 語文論集 Vol.39 No.-

        A peer evaluation is an educational activity in which learners cooperate each other and means a criticism on each other's writings and a provision of feedback in a small group.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a peer evaluation to a beginning learner to Korean language by classifying it into an affective domain and a domain for competence of composition. As a result, a learner's ability was improved to a certain degree in terms of all aspects such as a vocabulary, grammar, skill to command of sentence, skill to content organization, and skill to organize a format, etc. In particular, it was found out that if a focus was made on one of these aspects and the related skill was improved in a concentrated manner, then a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skill could be made. In case of a beginning learn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o give up learning due to an excessive fear or despair. Subsequently, if a method of a peer evaluation is properly utilized, then the composition class will not make learners get bored. In addition,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can be expected. This study only partially proved the effect of peer evaluation.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research to become the basis to expand other researches on this area in a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