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편법에 의한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이주헌,양승만,김성준,강부식,Lee, Joo-Heon,Yang, Seung-Man,Kim, Seong-Joon,Kang, Boo-Sik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3 No.2

        Based on the statistical annual report, there are 17,649 reservoirs are operating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Korea. 58 % of entire agricultural reservoirs had been constructed before 1948 which indicate the termination of required service life and rest of those reservoirs have also exposed to the dam break risk by extreme flood event caused by current ongoing climate change. To prevent damages from dam failure accident of these risky small size dam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manage the structural and hydrological safety of the reservoirs. In this study, a simplified evaluation method for hydrologic safety of dam is suggested by using Rational and Creager formula. Hydrologic safety of small scale dams has evaluated by calculating flood discharge capacity of the spillway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design frequency of each reservoir. Applicability and stability of suggested simplified method have examined and reviewd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rainfall-runoff modeling with dam break simulation using HEC-HMS. Application results of developed methodology for three sample reservoirs show that simplified assessment method tends to calculate greater inflow to the reservoirs then HEC-HMS model which lead lowered hydrologic safety of reservoirs. Based on the results of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ethodology can be adapted as useful tool for small scale reservoir's hydrologic safety evaluation.

      • KCI등재

        경주지역 목관·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이주헌,Lee, Ju Heu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3

        본고는 경주지역에서 발굴된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대까지의 목관묘와 목곽묘에 대한 구조분석과 그 변화양상을 추적하여 사로국의 정치, 사회적인 동향과 성장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한반도 서남부지역의 적석목관묘(積石木棺墓)가 기원전 2세기 후반 무렵 영남지방으로 파급되면서 경주지역에서도 철기가 부장된 군집묘(群集墓)가 조성되기 시작하며 이후 기원전 1세기 후반에는 한군현(漢郡縣)의 설치에 따라 대동강유역의 유이민이 진한(辰韓)으로 남하, 정착하면서 전한경(前漢鏡)과 와질토기(瓦質土器)가 부장된 중소형의 단순목관묘(單純木棺墓)가 경주지역에 등장하게 된다. 청동유물을 다량 부장한 독립묘(獨立墓)의 주인공은 군집묘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최상위 계층의 것으로 사제왕(司祭王)일 가능성이 높으며 경주의 각 곡간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역집단의 수장묘(首長墓)로 추정된다. 기원후 2세기에 접어들면서 단순목관묘는 규모가 확대되고 부장유물의 종류와 양이 풍부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사라리 130호묘이다. 이것은 피장자의 주관 옆에 부장품을 넣은 목갑(木匣)을 설치하여 칠기(漆器)나 동경(銅鏡) 등의 위신재(威信財)를 부장한 것으로, 이와같은 구조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낙랑지역의 목곽묘에서 보이고 있다. 기존의 목관묘와 구조상에서 차이가 보이는 이러한 목관계목곽묘(木棺系木槨墓)의 출현은 변 진한의 철(鐵)을 매개로 한 낙랑과 이 지역과의 활발한 교섭관계를 대변해 주는 것이며 지리적으로 물류의 집산지 역할을 한 사라리 집단은 외부와의 유통과 교역을 장악하여 경주지역의 정치와 사회문화적인 거점으로서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2세기 후반대 이후 정치체의 규모가 크게 성장한 경주지역의 분묘시설에는 부장유물의 안정적인 공간을 위한 곽(槨)이라는 개념이 정착하게 되었고, 소형묘와 입지상에 있어 차별성을 가진 대형의 장방형목곽묘가 3세기 전엽에 보편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지배집단 내 계층분화의 양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대형묘가 소재하는 지역이 소국의 중심지로써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후 이 지역 목곽묘의 평면구조가 점차 길어지는 경향은 묘곽 내에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결국, 3세기 후반대 부곽이라는 시설을 갖춘 경주식목곽묘(慶州式木槨墓: 동혈주부곽식목곽묘)의 등장을 가져온다. 소형의 부곽은 점차 길이가 길어져 4세기대에는 주곽의 크기에 이르는데, 이는 집단 내 계급의 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권력의 집중화가 표면화된 것으로 경주와 주변지역 대소집단간의 통합이 진전되는 분위기 속에서 집단 내의 질서를 일원화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analysis of structure and development pattern about wooden coffin and chamber tombs in Gyeongju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3rd century A.D. for researching to socio-political tendency and growth process of Sarokuk. Tombs buried with iron objects were built in Youngnam(嶺南) from the 2nd century B.C. with spread wooden coffin with stone mound(積石木棺墓). Also medium or small sized wooden coffin tombs buried with bronze mirror of western Han(前漢) and soft stoneware(瓦質土器) were appeared the 2nd century B.C. in Gyeongju, because of establishment of Han's commanderies(漢郡縣) in the Korean Peninsula and refuge from Daedong river(大同江) to Jinhan(辰韓). Separate tombs(獨立墓) with lots of bronze object ware assumed high ranked tombs of parsonage(司祭王) or local chief(地域首長). From the 2nd century A.D. the size of wooden coffin tombs became enlarged and funerary objects ware abundant, for example Sarari 130th tomb(舍羅里 130號). The burying pattern of this tomb is similar to wooden chamber tombs in Lelang(樂浪), which had prestige goods like lacquer ware and bronze mirror in wood box(木匣) beside coffin. Appearance of these wooden chamber tombs that were different from original wooden coffin tombs imply interaction between Lelang and these area with iron. Sarari community that held right of trade and distribution to outside through the geographical advantage grew up centered position in Gyeongju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Chamber in tomb as a new structural notion that can secure funerary objects became firmly was established from the 2nd century A.D. in Gyeongju and large sized wooden chamber tombs were generally built early of the 3rd century A.D. This tendency was reflected in stratification of community and growth as center of local state. After late of the 3rd century A.D. Gyeongju type wooden chamber tomb(慶州式木槨墓) which had subordinate outer coffin(副槨) was appeared and then subordinate outer coffin was as bigger as main chamber(主槨) the 4th century A.D., because of centralization and stratification in society and unification of various communities among the Gyeongju area.

      • KCI등재

        도항리목관묘(道項里木棺墓) 안사국(安邪國)

        이주헌,Lee, Ju-Hue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7 No.-

        삼한시대(三韓時代)의 성격과 성립시기(成立時期)에 대하여서는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있는 상황이나 모두 나름대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헌자료의 기록과 고고자료상에서 서로 공통적으로 관련지어 볼 수 있는 것은 모두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철기문화(鐵器文化)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연(燕)의 철기문화(鐵器文化)를 갖춘 위만조선(衛滿朝鮮)의 성립은 근본적으로 한반도 북부지역 뿐 만 아니라 중 남부지역에 이르기까지 큰 파장을 미쳤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철기문화(鐵器文化)의 도입단계에는 철기(鐵器)의 실용적이고 희소적인 가치에 의해서 매장유구(埋葬遺構)에는 쉽게 부장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나 기원전 2세기 전반경부터는 일부 한정된 철기(鐵器)만이 매장유구(埋葬遺構)에 부장되는 경향이다. 따라서 삼한시대(三韓時代)의 성립시기는 철기의 도입과 보편적인 활용으로 보아야하며 목관(木棺)을 사용한 서북한지방(西北韓地方)의 토광묘문화(土壙墓文化)를 포함하여 중남부지역(中南部地域)에 있어서 목관(木棺)의 흔적이 확인되고 있는 적석목관묘(積石木棺墓) 단계, 즉 기원전 3세기전반대의 어느 시점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한편 함안(咸安) 도항리고분군(道項里古墳群)에서 확인된 목관묘(木棺墓)는 목관(木棺)의 형태에 있어서 판재조립식목관(板材組立式木棺)과 통나무목관(木棺)의 2종류가 확인되며, 판재목관(板材木棺)의 사용 비율이 3배 이상 높은 편이다. 출토유물(出土遺物)은 비교적 단순한 조합상(組合相)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영남지역(嶺南地域)을 중심으로 한 목관묘유적(木棺墓遺蹟)에서도 모두 확인되고 있는 특징이므로 전반적으로 변(弁) 진한사회(辰韓社會)의 매장문화는 동일한 흐름 속에서 전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통나무로 제작한 목관(木棺)은 적석목관묘(積石木棺墓)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므로 한국식동검문화(韓國式銅劍文化)와 함께 목관(木棺)의 전통이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생각되며, 다호리유적(茶戶里遺蹟)과 도항리목관묘(道項里木棺墓)에서만 이러한 목관(木棺)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는 것은 변한사회내(弁韓社會內)에서 양지역간(兩地域間)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피는데 있어서 주목되어야 한다. 도항리목관묘(道項里木棺墓)에서 출토되고 있는 철기류((鐵器類)도 거의 다호리유적(茶戶里遺蹟)의 그것들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도항리(道項里) 67호묘(號墓) 출토 주조철부(鑄造鐵斧)는 다호리 1호분에서 출토된 주조철부(鑄造鐵斧)와 같은 지금(地金)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소형철부(小形鐵斧)의 구성비율이 다른 철기류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것과 기경구(起耕具)로 이용되는 철제따비의 출토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도항리목관묘(道項里木棺墓)단계에는 목제농기구(木製農器具)의 제작과 사용이 활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다호리유적(茶戶里遺蹟)에 비해 절대적으로 빈약한 철기유물은 안사국(安邪國)의 내적(內的)인 한계(限界)를 보여주는 것이며 소국(小國) 수장(首長)의 신분적(身分的)인 상징(象徵)으로서 사용하였던 동경(銅鏡)과 의기류(儀器類)의 출토가 전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도항리목관묘(道項里木棺墓)를 조영한 집단(集團)은 당시 대외문화교류(對外文化交流)의 중심적인 선진지역(先進地域)에 비해서 사회문화적(社會文化的)인 변동(變動)이 덜한 주변 지역적 A wooden coffin has been given academic attention in Kaya(伽倻), due to the place the stage of Samhan society appropriately in the development of ancient korea history. Special attention must be paid on Dohang-Ri(道項里) woden coffin, since it is expected to explain the origin of Arakaya(阿羅伽倻) in the region of southen korea peninsula. Dohang-Ri wooden coffin is become generally knowen two types, and complete its unique feature in Chin-Han(辰韓) and Byun-Han(弁韓). Recently the fact that Dohang-Ri wooden coffin is discovered only in the king tombs of Chang Won Daho-Ri(昌原茶戶里) and it is remarkable of political connection between Kuya-Kuk (狗邪國) and Anya-Kuk(安邪國). Various ironware unearth of Dohang-Ri has seen similar to that from Daho-Ri, but it has not bronze mirror be maid Chines, symbol with dignity of social position in the ruling ciass. It seems that political unit of Daho-Ri is advanced sociaity and central force than Dohang-Ri in the Byun-Han. The later of two century, I have a think about wooden coffin changes the wooden chamble of Dohang-Ri and Daho-Ri that it go out of sight at AD.2 century. Becouse of possitive achaelogical sites has not confirm, it request radical interpretaion. I inference to accordingly to the it appearance connected of the wars between the eight country of southen regins in korea peninsula at the first half of AD.3 cencury. Exactly, the politial units of Dohang-Ri and Daho-Ri has concentration of trade in Racdong river(洛東江) and Nam river(南江) water system and that give form to coexistence system of economic and political mutuality.

      • KCI등재

        춘천지역의 기상학적 가뭄 평가

        이주헌,박서연,이정우,정일문,Lee, Joo-Heon,Park, Seo-Yeon,Lee, Jeongwoo,Chung, Il-Moon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5

        In this study,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based analysis associated with run theory was performed using 53 years' (1967-2019) precipitation data to investigate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 Chuncheon. The duration of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 Chuncheon was 8.06 months, magnitude of the drought was -8.21, and average drought depth was -1.08. The drought in May 2014 lasted 21 months until January 2016; the drought scale and average depth was -34.06 and -1.62, respectively. This was the most severe drought in Chuncheon. As a result of drought frequency analysis, the drought scale of May to December in 2014 was estimated to be -16.16, and the return period was estimated to be 300 yea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weather drought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critical to prepare appropriate structural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