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학습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이종연 ( Jong Yeon L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5 No.1

        SNS의 사용자 증가추세와 그 특징을 고려해서 SNS의 교육적 가능성을 언급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나, 일단 그 수가 적으며, 막연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예측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학습에서 SNS의 적용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에게 SNS를 사용하여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그 성과를 분석해본 결과, 페이스북은 프로젝트 학습에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팀원들간 협력을 활성화시키고, 친밀감과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측면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여전히 면대면 미팅을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학습 도구이자,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페이스북은 제2의 학습도구로, 면대면 미팅에 대한 최적의 보충 및 보완의 수단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행 시 면대면 미팅의 보조 도구로서 페이스북을 활용하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페이스북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었던 만큼 페이스북 사용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하겠다.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increase of its users, studies on discussing its educational potential have emerged. However, they are small in number and focus on speculative discussion of its educational us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a real educational setting of project-based learning and analyzed its result empirically. After the subjects of the study had being participated in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acebook,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o find out its results. The students were quite satisfied with its use in conducting the project. Facebook was found to activate both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It also helped to manage their project and to buil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eam and project itself. They still seemed to recognize face-to-face meeting as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tool to conduct the project successfully and facebook as the secondary tool. It was regarded as the optimum tool to supplement face-to-face meeting.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strategy of using facebook as a tool to support face-to-face meeting in project-based learning, The biggest problem that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during the project was that of instable SNS connection, Another problem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y had not fully understand facebook functions. It is recommended to run a systematic program to train how to use facebook before its actual use.

      • 다항식 해쉬함수를 이용한 RFID 인증 프로토콜

        용호(Yon, Yong-Ho),이선영(Lee, Sun-Yong),이종연(Lee, Jong-Yun),신문선(Shin, Moon-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 RFID 리더 , Back-end 서버로 이루어져서 짧은 거리의 무선통신을 통해정보를 인식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RFID기술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보안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와 문제점을 해결해야한다는 논의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간자 공격및 재생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다항식 해쉬함수를 이용한 강력한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논문에서는 대량의 RFID 태그와 리더간 상호인증을 위해 다항식을 이용한 해쉬함수를 적용한다. 제안된 다항식 해쉬함수를 적용한 RFID 인증 프로토콜은 전체 시스템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보안강화를 할 수 있는 인증 프로토콜이며 특히 태그 쪽에 컴퓨팅 오버헤드가 추가되지 않는다. 또한 공격자에게 공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복잡도를 가지는 프로토콜이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창의성교육 교사역할에 대한 적절성 인식과 수행정도 관계

        이종연(Lee, Jong-yeon),손영빈(Son, Young-Bin),윤기영(Yoon, Ki-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창의성 교육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창의성 교육에서 중요시되는 교사역할에 대한 보육교사의 적절성 인식과 실제 역할 수행정도는 어떠하며, 또 교사역할 적절성 인식과 수행정도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연구자들에 의해 현장에 제시되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역할들에 대해 거의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창의성 교육에서 보육교사의 교사역할 수행정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65점으로서 수행정도 인식은 창의성 교육 교사역할 적절성 인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역별로는 몰입지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 교육 교사역할에 대한 적절성 인식과 수행정도 인식의 관계는 .433의 정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어린이집 창의성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관계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같은 교사들의 역할 수행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 care teacher’s cognition on teachers’ appropriate roles of creativity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s, and a relation cognition and performance of appropriateness of child teachers’ roles in creative education. The subject was 346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in Chungcheongbuk-do. A questionnaire survey by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was done. SPSS 17.0 was used. The findings were: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thought that teachers’ roles of creativity education were almost proper (4.10). Second, the teachers thought of properness of creativity education less to play role of their roles (3.65). Third, the teachers’ cognition on properness of roles had relation with cognition on performance (.433): The teachers who thought of properness of their roles cognized performance. The teachers thought of their roles of creativity education much to teach less because of difficulties at creativity educatio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on properness of the education and performance. So, the teachers’ role and performance should be elevated to teach at child care centers effectively.

      • KCI등재

        북방 한계선(NLL)의 국제법적 지위

        이종연(John Y. Lee)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1 신아세아 Vol.18 No.4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by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has been effective since that time. The Agreement stipulated that the five islands including Yeongpyung Island, and the Baengnyeong Islands remain under United Nations Control. As to the coastal waters, it provided that each side is to respect “the water contiguous to the Demilitarized Zone and to the land area of Korea under military control of the opposite side......” However, it did not provide for an exacted mileage limit of a maritime demarcation line. Although no exact limit of the maritime demarcation line was drawn by the Armistice Agreement, it stated the demarcation line to be the waters contiguous to the land area of both sides. Subsequently, based on the above provisions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United Nations Command set up the line at 3 nautical miles of territorial water of the islands and limited their naval patrols to the south of the line, while the Korean Navy also set up the Northern Limit Line generally following the 3 nautical miles territorial water. North Korea had not disputed the above UN-Korean line as the line prevented any southern incursion into the North. There were instances in which North Korea crossed the line, but they were not so much intended to dispute the validity of the line as to engage in hostile activities. North Korea’s Almanac published in 1959 by their government agency showed the map with the NLL drawn. Even at a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Meeting, in protesting violation of the NLL, the North Korean Representative denied their violation of the line, tacitly recognizing the validity of the line. When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drew the aviation communication zone based on the NLL, North Korea accepted the line. All evidences indicate that North Korea had not objected to the existence and validity of the NLL.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is a contract among the belligerent parties from the Korean War, ending the hostilities and accepting “the conditions and terms of the armistice, which are intended to be military in character and to pertain solely to the belligerents in Korea.” Among the conditions and terms of the Armistice is the control of the five islands by the United Nations and allowance of the maritime demarcation line to be the waters contiguous to the lands controlled by each side. Since the NLL is a reasonable and justifiable part of the conditions and terms of the Armistice, no parties can either breach or change it unilaterally. The 1984 Law of the Sea should not be relevant to the NLL. The parties in the Armistice Agreement had never intended to incorporate any specific provisions of the Law of the Sea, including the territorial water limit of 12 nautical miles under the 1984 Law of the Sea. Additionally, it is submitted that the express provisions of the Armistice Agreement take precedence over any law and equity under the 1984 Law of the Sea.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in the Armistice Agreement that provide for the NLL, the establishment of the line is reasonable and consistent with the intent of the parties and the terms of the Armistice. As the NLL is drawn closely following the 3 nautical miles limit, it does not violate the intent of the communist side that was to draw the maritime demarcation with the use of the 12 nautical miles limit. In fact, if the intent of the communist side were followed, the line should be located far north of the current NLL. In practice, the NLL has been beneficial for North Korea. Therefore, it should be concluded that the NLL should be a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that there is no reason for North Korea to object to the NLL.

      • KCI등재

        적합성 함수를 이용한 2차원 저장소 적재 문제의 휴리스틱 알고리즘

        용호,이선영,이종연,Yon, Yong-Ho,Lee, Sun-Young,Lee, Jong-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5

        2차원 저장소 적재는 NP-hard 문제로서 그 문제의 정확한 해를 구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더 좋은 해를 얻기 위해 유전자(genetic) 알고리즘, 시뮬레이티드 어닐링(simulated annealing), 타부서치(tabu search)등과 같은 근사적 접근법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분지한계(branch-and-bound)나 타부서치 기법들을 이용한 기존의 대표적인 근사 알고리즘들은 휴리스틱 알고리즘의 해에 기반을 둠으로 효율성이 낮고 반복수행에 의한 계산시간이 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사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간소화하고,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재가능성을 판단하는 적합성 함수(fitness function)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떤 특정 개체의 적재영역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주는 적재영역의 수를 계산한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새로운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기존의 휴리스틱 또는 메타휴리스틱 기법과의 비교실험을 통해 기존의 휴리스틱 알고리즘인 FFF와 FBS에 비해 97%의 결과가 같거나 우수하였으며, 타부서치 알고리즘에 비해 86%의 결과가 같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two-dimensional bin packing problem(2D-BPP) has been known to be NP-hard, and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exactly. Many approximation methods, such as genetic algorithm, simulated annealing and tabu search etc, have been also proposed to gain better solutions. However, the existing approximation algorithms, such as branch-and-bound and tabu search, have shown the low efficiency and the long execution time due to a large of itera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we first define the fitness function to simplify and increase the utility of algorithm. The function decides whether an item is packed into a given area, and as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a packing strategy, the number of subarea that can accommodate a given item is obtained from the variant of the fitness function. Then we present a heuristic algorithm BF for 2D bin packing, constructed by the fitness function and subarea.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will be expressed by the comparison experiments with the heuristic and the metaheuristic of the literatures. As comparing with existing heuristic algorithms and metaheuristic algorithms, it has been found that the packing rate of algorithm BP is the same as 97% as existing heuristic algorithms, FFF and FBS, or better than them. Also, it has been shown the same as 86% as tabu search algorithm or better.

      • KCI등재
      • KCI등재

        효율성인가, 형평성인가? 한국 인프라투자 지역 배분의 결정요인

        이종연 ( Jongyearn Lee ) 한국경제학회 2022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8 No.1

        본 연구는 구조모형을 이용하여 2001~2014년의 기간 동안 한국의 지역별 교통인프라투자 배분 시 효율성과 형평성 중 어떤 측면이 강조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GMM(generalized method of moment) 추정법을 이용한 추정 결과, 한국의 공공투자는 효율성 증진보다 형평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 교통인프라의 자본스톡이 이론적 최적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투자는 서로 대체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지역의 인프라 수요 및 재정 상황은 투자 배분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프라투자에 대한 정치적 영향은 당파성(partisanship) 보다는 선거생산성(electoral productivity)의 측면에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We used a structural model to determine which aspects of efficiency and equity criteria were advocated in allocating investment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by region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01-2014. The estimation by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indicated that the country’s regional allocation of public investment favored equity enhancement rather than efficiency gain. Empirical findings also include evidence of the substitutio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stments by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excess capital stock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mpared with the optimum. The infrastructure needs and regional financial conditions had limited effects on the past allocation of investment. Political influence was exerted with respect to electoral productivity rather than partisanship.

      • 국제 물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의를 위한 어휘 사전

        이종연(Jong-Yun Lee),이상호(Sang-Ho Lee),배우식(Woo-Sik Bae),이선영(Sun-Young Lee),송병준(Byung-Jun So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C

        EPCglobal 네트워크란 EPC(Electronic Product Code)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네트워크로 연동하여 공급자, 수요자, 소비자가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EPCglobal 네트워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EPCglobal network architecture framework)는 EPC를 사용하여 공급과 유통망 강화라는 업체 간의 공동 목표를 위한 서비스하는 것이다. EPCglobal 네트워크 아키텍처 중 EPCIS(EPC Information System)수집 애플리케이션, EPCIS 접근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 정의 시 공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표준 어휘 정의가 필수적이며, 그 어휘 종류에는 표준 어휘(standard vocabulary)와 사용자 어휘(user vocabulary)가 있다. 이 논문은 이 가운데 EPCglobal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표준 어휘 정의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 어휘는 부분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EPCglobal 네트워크 프레임 아키텍처의 이벤트 정의 시 사용될 표준 어휘를 제안하고, XML 구현을 통해 실제 사용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영성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성숙성의 매개 효과

        이종연 ( Jong Yeu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교사의 공감 능력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고, 교사 자신의 직무 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특성이다. 본 연구는 교사의 영성 및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공감 능력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영성과 공감 능력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1급 중등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는 교사 9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영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성숙성과 공감 능력이 높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영성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성숙성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영성이 공감 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거쳐 공감 능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교사 교육이나 연구 과정에 교사들의 영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높여, 공감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강좌를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Empathy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are needed for school teachers to help effectively adolescent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s well as teacher`s other job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ity, psychosocial maturity, and empath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psychosocial matu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pirituality and empathy. Ninety fiv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get the certificate for the first-class full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a)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pirituality, psychosocial maturity, and empathy of the teachers; and (b)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maturity of the teachers were supported between their spirituality and empat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need to include courses to enhance teachers` spirituality and psychosocial maturity for developing their e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