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퀴노아를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이종숙,이미희,김정미,Lee, Jong Suk,Lee, Mi Hee,Kim, Jung Mi 한국식품영양학회 201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1 No.1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different quinoa were investigated. We evaluate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including the pH, amino nitrogen, slime contents, color value, and total aerobic bacteria.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as total polyphenol conten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The pH and amino nitrogen content were no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in all the samples. The slime content of cheonggukjang added with quinoa increased with increased fermentation time, but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20% of quinoa was decreased. The L value and b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fermentation time, but the a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icrobial test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quinoa showed that the aerobic micro-organisms count was 7.45~9.10 Log cfu/g. Total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in all group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nd activ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d percentage of added quinoa.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quinoa)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sensory quality of quinoa 10% cheonggukjang was stronger in flavor, and taste, and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overall acceptability, whe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 KCI등재

        고추의 소포자 배양 시 모식물의 생육조건, 소포자 나출 방법, 치상배지 및 광배양이 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종숙,박은준,김문자,Lee, Jong-Suk,Park, Eun-Joon,Kim, Moon-Za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4

        효율적이며 반복성 있는 고추의 소포자배양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 꽃봉오리로부터 소포자의 수확 시 나출 방법이 소포자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동시에 모 식물 생육 시의 광도, 치상배지의 조성, 및 배양 광 조건이 배의 발생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도가 10,000 lux 와 5,500 lux로 각기 다른 곳에서 모식물이 생육된 경우 활력 있는 소포자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소포자 배의 발생이나 발달은 저광도인 5,500 lux에서 생육된 경우에 다소 높아 모 식물 생육 시의 광도가 소포자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500 lux에서 생육된 식물에서는 꽃봉오리의 수가 적어 배양에 필요한 소포자를 준비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활력 있는 소포자의 비율은 체나 막자사발을 이용한 maceration 방법에 비해 blender를 이용하는 경우 13배 이상 높았다. 배의 발생 및 발달에 가장 좋았던 배지는 사용한 배지 중 MN배지였으며, 배양 광 조건은 암 상태에서 배양한 4주 후에 다시 광 상태로 옮겨 1주 배양하는 것이었다. 이상에서와 같은 결과들은 고추에서 형질전환이나 돌연변이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배를 생산할 수 있는 소포자 배양 시스템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 reliable microspore culture system for pepper (Capsicum annuum L.),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used for donor plant's growth, microspore isolation methods, the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and culture period in light on the production of embryos were investigated. The viability of microspores taken from the plants grown under the light intensity of 10,000 lux was almost same as that from the lower (5,500 lux) light intensity, and the embryo induction and development were a bit higher when donor plants were grown under the lower light intensity. This result implies that lower light intensity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mbryo induction and development.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to prepare microspores for culture since only a small number of flower buds could be harvested from plants grown under the light intensity of 5,500 lux. Microspore isolation methods greatly affected microspores viability; that is, when microspores were isolated by blending rather than maceration, the greater number of viable microspores were easily generated (about 13 times). Among media used for microspores culture in this study, MN medium was most efficient for embryo induction and development. Total number of embryos and the number of cotyledonary embryos were highest when microspores were cultured in dark for 4 weeks, and then in light for one week.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set up efficient microspore culture system of hot pepper with a high frequency of embryo production, which are applicable to gene transformation and mutagenesis.

      • ISDN 신뢰도 및 가용도 목표치 분석

        이종숙,정철오,고재상,Lee, Jong-Suk,Jeong, Cheol-O,Go, Jae-Sa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7 No.4

        본 고에서는 Bellcore 에서 제시한 ISDN 의 신뢰도 및 가용도를 BRA(Basic Rate Access) 와 PRA(Primary Rate Access) 각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의사접속 (HRC : Hypothetical Reference Connection) 을 근간으로 해서 ISDN 의 신뢰도 목표치와 가용도 목표치를 제시하였다 Bellcore에서 제시한 ISDN 스위칭 시스팀의 신뢰도 성능 목표치는 22개의 신뢰도 파라미터와 목표치로 정의 되었으며, 22개의 신뢰도 파라미터 는 Downtimes, cutoff call probability, Ineffective machine attempt(IMA) probability 와 Failure intensity 등 4개의 종류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Quality of Coverage Analysis on Distributed Stochastic Steady-State Simulations

        이종숙,박형우,정해덕,Lee, Jong-Suk-R.,Park, Hyoung-Woo,Jeong, Hae-Duck-J.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9 No.4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시뮬레이션 기법 중에 하나인 MRIP(Multiple Replications In Parallel) 시나리오에서 각종 순차적인 시뮬레이션 분석 방법들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포함범위(Coverage)에 대한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s) 및 속도향상(Speedup)에 대해 살펴보았다. F-분포를 기반으로 한 신뢰구간에 대한 추정기(estimator)를 단일 프로세서와 다중 프로세서 상에서 참조모델(reference model)로 $M/M/1/{\infty},\;M/D/I/{\infty}과\;M/H_{2}/1/{\infty}$큐잉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상상태(steady-state)에서의 평균치를 추정하는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순차적인 포함범위 분석을 위해서는 수많은 시뮬레이션 실행(Run)들이 요구되는데, MRIP 분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서 다중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최종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는데 걸리는 신간을 감소시켰다. 또한, LNA으로 연결된 분산 컴퓨팅 시스템에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시킴으로써 쉽게 필요한 수의 시뮬레이션 실행결과(Run)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샘플의 수가 증가됨으로써 좀더 신뢰도가 높은 최종 신뢰구간을 시뮬레이션 수행자가 얻을 수 있게 해준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qualify of sequential coverage analysis under a scenario of distributed stochastic simulation known as MRIP(Multiple Replications In Parallel) in terms of the confidence intervals of coverage and the speedup. The estimator based in the F-distribution was applied to the sequential coverage analysis of steady-state means. in simulations of the $M/M/1/{\infty},\;M/D/I/{\infty}\;and\;M/H_{2}/1/{\infty}$ queueing systems on a single processor and multiple processors. By using multiple processors under the MRIP scenario, the time for collecting many replications needed in sequential coverage analysis is reduced. One can also easily collect more replications by executing it in distributed computers or clusters linked by a local area network.

      • KCI등재

        비타민나무열매가루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이종숙,김정미,Lee, Jong Suk,Kim, Jung Mi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read added with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berry powder (SBBP) (1, 3, and 5%) using a straight dough metho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 value and dough raising power of the dough decreased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 added with SBBP increased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SBBP. The crust color of the brea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the crumb lightness value decreased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 increased respectively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BBP. The texture measurement indicated that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bread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SBB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bread supplemented with the SBBP was increased (4.60~16.14 mg GAE/g) compare to the control (1.67 mg GAE/g). Dose-dependent, significant-high DPPH (26.86%) and ABTS (42.5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bread with the addition of the SBBP up to 5%.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amount of the SBBP to add for baking bread would be 3% and the SBBP could be considered a functional agent.

      • KCI등재

        Coverage 분석을 위한 신뢰구간 추정량에 관한 비교 연구

        이종숙,정해덕,Lee, Jong-Suk,Jeong, Hae-Duck J.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1

        지금까지 비율(proportion)에 대한 신뢰구간의 근사적 추정량(approximate estimator)에 대한 여러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coverage 분석을 수행할 경우에는 정규분포에 기반 한 신뢰구간 추정량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 이유는 정규분포에 대한 근사법이 다른 근사법들 보다 실제 구현하는데 쉽게 여겨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 arcsin 변환에 기반한 coverage 분석을 위한 근사법이 [12]에서 시뮬레이션 수행 시에 최종결과에 요구되는 정확도의 조절과 비율을 추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개의 신뢰구간 추정량 근사법(정규분포 기반 근사법, arcsin 변환 기반 근사법, 그리고 F-분포 기반 근사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세 신뢰구간에 대한 추정량을 단일 프로세서와 다중 프로세서 상에서 참조모델(reference model)로 M/M/1/$\infty$와 W/D/l/$\infty$ 큐잉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상상태(steady-state)에서의 평균치를 추정하는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Confidence interval estimators for proportions using normal approximation have been commonly used for coverage analysis of simulation output even though alternative approximate estimators of confidence intervals for proportions were proposed. This is -because the normal approximation was easier to use in practice than the other approximate estimators. Computing technology has no problem with dealing these alternative estimators. Recently, one of the approximation methods for coverage analysis which is based on arcsin transformation has been used for estimating proportion and for controlling the required precision in [12]. In this paper, we compare three approximate interval estimators, based on a normal distribution approximation, an arcsin transformation and an F-distribution approximation, of a single proportion. Three estimators were applied to sequential coverage analysis of steady-state means, in simulations of the M/M/1/$\infty$ and W/D/l/$\infty$ queueing systems on a single processor and multiple processors.

      • KCI등재

        순차적 시뮬레이션을 위한 순차적인 Percentile 추정에 관한 연구

        이종숙,정해덕,Lee, Jong-Suk,Jeong, Hae-Duc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6

        Percentiles are convenient measures of the entire range of values of simulation outputs. However, unlik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observations have to be stored since calculation of percentiles requires several passes through the data. Thus, percentile (PE)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mputer storage and computation time. The best possible computation time to sort n observations is (O($nlog_{2}n$)), and memory proportional to n is required to store sorted values in order to find a given order statistic. Several approaches for extimating percentiles in RS(regenerative simulation) and non-RS, which can avoid difficulties of PE, have been proposed in [11, 12, 21].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se three approaches known as : leanear PE, batching PE, spectral $P^2$ PE in the context of sequential steady-state simulation. Numerical results of coverage analysis of these PE approachs are present. 백분위수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전체적인 성향을 파악하는데 아주 유용한 측정 기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평균이나 표준편차와는 달리 백분위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모든 관측된 데이터들을 저장해야 만 한다, 왜냐하면 백분위수의 추정을 위해서는 관측된 모든 데이를 분류하여 오른차순으로 정렬하는 등 여러 단계의 처리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분위수 추정을 위해서는 관측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의 저장장치와 정렬을 위한 계산시간 (O($nlog_{2}n$))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백분위수 추정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나 고정된 샘플 크기의 시뮬레이선(fixed sample size simulation) 을 수행할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11, 12, 21]. 본 논문에서는 3가지 백분위수 추정 기법(linear PE, batching PE, spectral $P^2$ PE) 을 순차적인 안정상태 시뮬레이션(sequential steady-state simulation) 에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3가지의 백분위수 추정 기법들에 대해 coverage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탠다드 국화 ‘신마’의 잎과 꽃잎 조직 배양시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신초 및 뿌리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숙(Jong Suk Lee),이긍주(Geung-Joo Lee),정성진(Sung Jin Chung),김진백(Jin-Baek Kim),김동섭(Dong Sub Kim),강시용(Si-Yong Kang) 한국원예학회 2008 원예과학기술지 Vol.26 No.3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신마’ 의 잎과 꽃잎 배양을 통해 효율적인 배양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배양시작 21-28일 후 신초와 뿌리가 형성되었다. MS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BA와 NAA를 조합한 7가지 배지조성 중 잎 배양의 경우신초 형성률은 0.5㎎ ℓ⁻¹ BA와 1.0㎎ ℓ⁻¹ NAA 배지조성에서, 뿌리는 0.1㎎ ℓ⁻¹ BA와 0.5㎎ ℓ⁻¹ NAA 배지조성에서 가장 좋았으며, 이와는 달리 꽃잎 배양의 경우 신초는 0.5㎎ ℓ⁻¹ BA와 0.5㎎ ℓ⁻¹ NAA로 조합한 배지조건에서, 뿌리는 0.1㎎ ℓ⁻¹ BA와 1.0㎎ ℓ⁻¹ NAA 배지 조합조건에서 형성률이 가장 좋았다. 본 연구 결과 같은 품종의 국화라도 배양하는 잎과 꽃잎에 따라 신초 형성에 효율적인 배지조성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고, 캘러스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신초를 형성하여 재분화체를 얻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스탠다드 국화 ‘신마’를 이용하여 몇 가지 형질개선을 위한 목적을 위해 방사선 등을 활용한 돌연변이체 유기 시에 대량의 재분화체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ditions of a higher frequency for regenerated plants from different explants of a standard-type chrysanthemum ‘Jinba’. In vitro culture was initiated on an MS medium containing 3% sucrose, 0.8% agar, and 5 μM benzyl adenine (BA) with naphthalene acetic acid (NAA) by using surface-sterilized leaf and flower tissues from greenhouse-grown plants. Direct shoot regeneration from the leaf and flower explants was obtained 21 to 28 days after the initial culture. Among the seven combinations of the growth regulators used for the culture, the most efficient condition for the shoot and root formation from the leaf tissue was obtained when the MS basic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0.5 ㎎ ℓ⁻¹ BA and 1.0 ㎎ ℓ⁻¹ NAA, and 0.1 ㎎ ℓ⁻¹ BA and 0.5 ㎎ ℓ⁻¹ NAA, while the culture using floret tissues was most efficient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5 ㎎ ℓ⁻¹ BA and 0.5 ㎎ ℓ⁻¹ NAA, and 0.1 ㎎ ℓ⁻¹ BA and 1.0 ㎎ ℓ⁻¹ NAA. These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help set up an efficient system for a tissue culture of chrysanthemum cv. Jinba to improve one or some of its negative traits in combination with a radiation mutagenesis approach.

      • SCOPUSKCI등재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분말 첨가가 sponge cake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숙(Jong Suk Lee),김한섭(Han Sup Kim),이윤주(Yoon Joo Lee),정인창(In Chang Jung),배종호(Jong Ho Bae),이재성(Jae Sung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4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가루를 이용하여 제과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과 적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잎새버섯 가루의 일반성분은 수분 8.6%, 탄수화물 36.9%, 조단백질 32.6%, 조지방 1.1%, 조섬유 13.8%, 회 분량은 7.0%이었다. 버섯 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비중, 점도과 케이크의 무게는 증가하였다. 스폰지 케이크의 부피 및 비용적, 높이는 버섯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rust와 crumb의 색도는 버섯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경도, 점성, 부서짐성은 버섯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반면에 응집성과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버섯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외관, 색에서의 선호도는 낮았으나 향,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5% 첨가구가 버섯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폰지 케이크 배합에는 케이크의 부피, 조직감, 관능검사 결과 5%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dded with Grifola frondosa powder. The specific gravity, viscosity, and dough weight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mushroom powder increased. The sponge cake volume, specific volume, baking loss rate, and height had a tendency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mushroom powder. The color of the cake crust and crumb became darker as the amount of mushroom powder increased, and the addition of mushroom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the cake. Finally,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ponge cake was the best when the cake contained 5% mushroom pow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