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굴 엑기스에서 결정물질 Brushite(CaHPO₄ㆍ2H₂O)의 생성

        이종수(Jong-Soo Lee),윤소미(So-Mi Yoon),장준호(Jun-Ho Jang),임치원(Chi-Won Lim),최광열(Kwang-Yeol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6

        굴 자숙시 사용한 세척수를 농축하여 만든 굴 엑기스 제품에서 발생한 미세 결정물질을 분리하여 성분의 본체를 규명하고, 발생 원인을 추정하였다. 결정물질은 수분 8.1%, 유기물이 21.6%, 무기물 70.2%로 되어 있었으며, 유기물은 taurine, phosphoserine 등 9개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무기물의 주성분은 ICP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Ca이 54.8%, P이 43.8%로 이 두 성분이 전체 무기질의 98.6%를 차지하였다. XRD 분석결과와 SEM 사진의 분석에 의하여 이 결정물질은 Ca와 인산이 결합된 brushite(CaHPO₄ㆍ2H₂O)로 동정되었으며, 10 ㎎까지는 마우스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정물질이 생성된 굴 엑기스에서 결정물질을 제거한 다음 남은 엑기스와 결정물질이 생성되지 않은 굴 엑기스의 칼슘이나 인 등의 함량이 비슷하여, 이 결정물질이 원래 굴의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거나 굴 엑기스의 제조과정 중에 만들어진 소량의 brushite가 농축과정에서 점차 농도가 진하여지고, 저장중 굴 엑기스 내의 다른 성분이나 외부의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으로 성장하고, 이렇게 성장된 결정이 황갈색으로 착색된 굴 엑기스 내에서 혼재하여 확인되지 않고 있다가 비중 차이에 의하여 저장 중에 굴 엑기스를 담은 용기의 바닥에 침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Small yellowish brown crystals were found in some concentrated oyster extracts which prepared by heating with the drip and washed water of boiled oyster in oyster processing factories. We collected those crystals by filtering the oyster extracts and analysed X 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minerals by ICP. Those were composed of moisture (8.1%), organic materials (21.6%) and inorganic materials (70.2%). Those major inorganic materials were determined as Ca (53.8%) and P (43.8%), from the ICP and elucidated those crystal as brushite (CaHPO₄ㆍ2H₂O) by XRD and SEM. Organic materials contained crude protein (33.7%) consisting of 7 amino acids. It is presumed that brushite may be formed by the reaction of excess Ca with P in the oyster extracts during concentrating process under higher temperature.

      • KCI등재

        미역 추출물로부터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분리 및 동정

        윤소미,장준호,이종수,Yun, So-Mi,Jang, Jun-Ho,Lee, Jong-S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2

        건조 미역 10.4 kg을 acetone으로 추출, 여과한 다음 액-액 분배, 각종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하여 충치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한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160 mg, 수율 $1.5\times10^{-3}$%) 물질을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 미역 30 g 상당량의 추출액을 기준으로 용매 획분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CHCl_3$층이 73.2%로 가장 강하였고, hexane층이 62.0%이었으며, BuOH층이나 물층은 거의 없었다. 알루미나 칼럼에서는 산성 획분인 1% $NH_4OH:MeOH(1:1)$용매 획분이 81.0%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실리카 칼럼에서는 $CHCl_3:MeOH(95:5)$용매에서 가장 높은 95.5%의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ODS칼럼에서는 85% MeOH에서 96.4%의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ODS칼럼에서 95% MeOH를 이동상으로 하여 3개의 물질 S1(10 mg), S2(90 mg), S3(60 mg)을 분리 정제하였다. TLC에서 각 성분은 동일한 Rf값 0.42를 나타내어 동일한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이들을 메칠 유도체화한 성분들은 Rf값이 0.95로 바뀌어 이들 물질이 carboxyl기를 가지는 지방산으로 추정되었다. GC분석에서 표품 지방산과 비교한 결과, 이들은 $C_{18:4,n-3}$ 지방산과 retention time이 일치하였다. 또한, 메칠 유도체의 mass spectrum 분석 결과, m/z 290에 분자 이온 peak가 관측되어 $C_{18:4,n-3}$ 지방산의 methyl 유도체의 분자량과 일치하여, 이 물질을 3,6,9,12-octadecatetraenoic acid(stearidonic acid, $C_{18:4,n-3}$) 지방산으로 동정하였다. An antibacterial substance to the Streptococcus mutans, a causative bacterium for decayed teeth, was isolated from the dri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Acetone extract from the sea mustard (10.4 kg), was evaporated and partitioned to 4 fractions such as hexane, chloroform, butanol and water. The most active chloroform fraction were further purified through basic alumina, silicic acid and ODS column, successively, and finally, 3 antibacterial substances were isolated on the HPLC attached ODS column by using 95% MeOH and guided with UV detector (254 nm). Antibacterial substances (total 160mg, yield $1.5\times10^{-3}$%) had the same Rf value (0.42) on the TLC developed hexane diethyl ether acetic acid (80:30:1) and those methyl esters moved to 0.95. They were identified as the same unsaturated fatty acid, $C_{18:4,\;n-3}$ (3,6,9,12-octadecatetraenoic acid, stearidonic acid) compared relative retention times (15.5 min) with authentic fatty acid on the GC chromatogram. It was further confirmed unambiguously on the GC/MS giving molecular ion peak at m/z 290 which coincided with its methyl ester.

      • KCI등재

        복섬 간장의 독성분과 pH 및 가열 조건에 따른 독성의 변화

        장준호(Junho Jang),윤소미(So-Mi Yun),김정수(Jung-Soo Kim),이종수(Jong-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5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 서식하는 복섬(Takifugu niphobles) 간장의 TTX유도체들을 활성탄 칼럼을 이용하여 부분 정제하고, Hydrophilic Interaction Liquid Chromatography(HILIC)를 사용한 LC/MS(SIM mode)로 분석하였으며, pH와 가열 조건에 따른 독성 변화를 조사하고 복섬 fillet으로 복국 조리시 독성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복섬 간장의 독성분은 LC/MS에 의하여 7개의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각 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5,6,11-trideoxyTTX(34.0%, 1,029.6 n㏖/g), 6,11-dideoxyTTX(29.3%, 887.6 n㏖/g), TTX(22.1%, 667.8 n㏖/g), 4,9-anhydroTTX(11.2%, 339.3 n㏖/g), 11-deoxyTTX+5-deoxyTTX(2.6%, 78.6 n㏖/g), 4-epiTTX(0.8%, 23.6 n㏖/g), 5,6,11-trideoxyTTX(34.0%), 6,11-dideoxyTTX(29.3%), TTX(22.1%), 4,9-anhydroTTX(11.2%), 4-epiTTX(0.8%)이었다. 복섬 간장 추출물 희석액의 독성은 pH에 따라 크게 변하여 pH 3에서 8.4 MU/mL로 최고의 독성을 나타내었고, 알칼리로 갈수록 독성이 감소하여 pH 10에서는 pH 3의 1/7(1.4 MU/mL)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pH(pH 5, 7, 9)에서 80℃, 100℃, 115℃를 유지하며 가열 시 온도는 높을수록, 시간은 길수록 독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산성이나 중성에서는 독성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알칼리 영역인 pH 9에서는 가열 10분 후에 80℃의 경우라도 최초 독성(79 MU/mL)이 1/2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115oC에서는 완전 소멸하였다. 복섬 개체별 fillet 중의 총 독량은 43.2~106.7 MU로 개체에 따라서 2.5배까지 독량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복섬 가식부에 3배량의 물을 가하여 10분간 끓일 경우 총 독량의 64~78%는 국물 중으로 용출되어 나와 육에 남아있는 것보다 독성이 강하였다. Tetrodotoxin (TTX) analogues were first determined from the liver extracts of puffer fish, Takifugu niphobles, by LC/MS with Hydrophilic Interaction Liquid Chromatography (HILIC). In total, 7 TTX analogues were detected within 20 minutes as follows; 5,6,11-trideoxyTTX (34.0%, 1,029.6 n㏖/g), 6,11-dideoxyTTX (29.3%, 887.6 n㏖/g), TTX (22.1%, 667.8 n㏖/g), 4,9-anhydro-TTX (11.2%, 339.3 n㏖/g), 11-deoxyTTX +5-deoxyTTX (2.6%, 78.6 n㏖/g), and 4-epiTTX (0.8%, 23.6 nmol/g). Mouse toxicity of diluted liver extracts showed the highest toxicity at pH 3 (8.7 MU/mL) and decreased, as increasing pH, to 1.4 MU/mL at pH 10. At acidic (pH 5) and neutral conditions (pH 7), mouse toxicity of liver extracts (79 MU/mL) decreased slowly, as increasing temperature from 80℃ to 115℃, and time until 1 hour; in contrast, at the akaline condition (pH 9), the toxicity decreased rapidly to the more than half within 10 minutes. Individual toxicity of the fillet of T. niphobles were between 43.2~106.7 MU, and 64~78% of its toxicity was eluted to soup when boiled with 3 volumes of water during 10 minut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설사성 패류독의 LC-MS/MS에 의한 분석

        윤소미,장준호,신일식,이종옥,이종수,Yun, So-Mi,Jang, Jun-Ho,Shin, Il-Shik,Lee, Jong-Ok,Lee, Jong-S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LC-MS/MS법에 의하여 설사성 패류독소 7종(okadaic acid, dinophysistoxin-1, -3, pectebotoxin-1, -2, -6, yessotoxin)의 동시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고, 2006년 3월부터 9월까지 매월 5종의 이매패(굴, 진주담치, 반지락, 가리비, 개조개, 6월부터 9월까지는 가리비 대신 피조개)를 정기적으로 통영시장에서 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마우스 검사법과 비교하였다. 마우스 검사법으로는 총 35종 시료 중 3월의 굴과 진주담치에서 0.05${\sim}$0.1 MU/g의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이미 알려진 설사성 패류독소는 전혀 검출되지 않아 다른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LC-MS/MS법에 의하여서는 6월 진주담치에서 dinophysistoxin-1(DTX1)이 0.05 ${\mu}g/g$ 검출되었으며, 8월의 모든 시료에서 okadaic acid(OA)가 0.01${\sim}$0.02 ${\mu}g/g$ 검출되었다. 이들은 외국의 기준치[0.05 MU/g(일본), OAs(OA+DTX1) 0.16 ${\mu}g/g$(EU)]보다 매우 낮은 함량으로 식품 위생상 안전하였다. Diarrhetic shellfish poisons (DSP) such as okadaic acid (OA), dinophysistoxin-1 (DTX1), pectenotoxin-1(PTX1), PTX2, PTX6 and yessotoxin (YTX) were determined simultaneously by LC-MS/MS and mouse bioassay in the shellfishes (oyster, mussel, Washington purple clam, ark shell, scallop and short necked clam) collected at Tongyeong, from March to September, 2006. Oyster and mussel were found to contain DSP (0.05${\sim}$0.1 MU/g) in March by mouse bioassay; however, no DSP components were detected on the LC-MS/MS. Also, a small amount of DTX1 (0.05 ${\mu}g/g$) in mussel (June) and OA (0.01${\sim}$0.02 ${\mu}g/g$) in 5 species of shellfishes(August) were determined by LC-MS/MS.

      • KCI등재

        시판 중인 패류의 마비성 패류독 특성

        장준호(Jun-Ho Jang),윤소미(So-Mi Yun),이종수(Jong-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2004년 4월 셋째 주에 수산시장에서 구입한 국내산의 패류 및 5, 7, 9월에 구입한 수입산 패류를 형광 HPLC에 의해 마비성 패류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입산 피조개에서는 마비성 패류독성분 중 Saxitoxin(STX), Decarbamoylsaxitoxin(dcSTX), Gonyautoxin(GTX)-1,2,3,4,5, C1 그리고 C2로 총 9개의 독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독성분 중에서 GTX1과 GTX4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은 국내산 패류에서도 검출이 되었고, 패류 종류별 서로 다른 함량과 조성을 나타내었다. 뻘 속에서 사는 바지락과 백합의 C1+2의 함량은 0.06~0.56 n㏖/g이었다. 그러나 양식산 진주담치와 굴에서는 더 높은 독성과 복잡한 독성분 조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꼬막과 개조개의 독성분의 조성은 같은 종류의 시료라 할지라도 서로 다르게 검출되었다. GTX1과 GTX5는 수입산 가리비에서 더 높았고, STX는 다른 종류와 비교해서 수입산 피조개에서 더 높게 검출되었다. Toxin profiles of the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detected from domestic shellfishes collected at the market and imported shellfishes were invested by fluorometric HPLC. Total 9 components in PSP were analysed from the imported ark shell, such as saxitoxin (STX), decarbamoylsaxitoxin (dcSTX), gonyautoxin (GTX)- 1,2,3,4,5, C1 and C2. Among those toxins, 7 components except for GTX1,4 were detected from domestic shellfishes and showed different toxin contents and toxin compositions by species. Only C group toxin (C1+2) contained in short necked clam and hard clam (0.06~0.56 nmole/g) which living under soil but, in the blue mussels and oysters which cultured in the open sea water, showed more higher toxicity and complicate toxin compositions. Toxin compositions in bloody clam and purplish washington clam were very different in some samples even in same species. GTX4 and GTX5 were higher in imported scallop and STX was higher in imported ark shell than other species.

      • SCIESCOPUSKCI등재

        수삼 증자 시 생성되는 유출액을 이용한 ginsenoside-Rg₃ 강화 효모 제조

        김나미(Na-Mi Kim),이성계(Seong-Kye Lee),조해현(Hae-Hyun Cho),소승호(Seung-Ho So),장동필(Dong-Pil Jang),한성태(Sung-Tai Han),이종수(Jong-Soo Lee) 고려인삼학회 2009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3 No.3

        홍삼의 유효성분인 ginsenoside-Rg₃가 강화된 식용 효모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삼 증자 유출액을 이용하여 4종의 식용효모를 배양하였다. 효모의 생육도는 Saccharomyces cerevisiae가 가장 높았으며, YEPD 배지에 배양한 경우에 비하여 약 75%의 생육도를 나타내었다. YEPD 배지에 배양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는 ginsenoside가 함유되어있지 않았으나 수삼 증자 유출액에 배양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는 ginsenoside-Rg₃가 0.033 m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효모 중 Saccharomyces cerevisiae가 향긋하고 구수한 향취를 나타내어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수삼 증자 유출액에 식용 효모를 배양하면 ginsenoside-Rg₃가 강화된 효모를 제조할 수 있으며,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생육율과 ginsenoside-Rg₃ 함량이 높고 향미의 기호도가 우수하여 식용 효모로 활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였다. To produce ginsenoside-Rg3 enriched edible yeast, ginseng steaming effluent (GSE) was used for yeast cultivation in this study. Four kinds of edible yeasts were cultured in sterilized GSE (2% w/v, pH 6.5), without any nutrient, for 48 h at 30℃, and their growth and ginsenoside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Among the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showed the highest growth in the GSE medium. 267.1 ㎎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iomass was produced from 1 g of GSE solid and ginsenoside-Rg₃ contents was determined with 0.033 mg. Saccharomyces cerevisiae also showed the best overall acceptability, with a herbal and fermentative flavor and a slightly bitter taste. From these data, we conclude that Saccharomyces cerevisiae is the excellent strain for production of ginsenoside-Rg₃ enriched edible yeast using GSE.

      • KCI등재

        알칼리 처리 및 가열, 저장에 따른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류독 성분 특성 및 제독

        장준호(Jun-Ho Jang),윤소미(So-Mi Yun),이종수(Jong-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2

        독화된 진주담치(blue mussel, Mylilus edulis)를 pH 처리, 온도별 저장 그리고 가열에 의한 마비성 패류독의 독성과 독조성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pH 3으로 조절한 시료가 14.1 MU/g(100%)으로 가장 높은 독성이 검출되었고, pH5는 12.9 MU/g(92.1%), pH 7은 9.0 MU/g(63.8%)으로 검출되었으나, 마비성 패류독은 독성이 불안정한 알칼리 조건인 pH 9에서는 3.6 MU/g(25.5%), pH 10은 0.8 MU/g(5.7%)으로 독성이 검출되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독성은 pH(3, 5, 7, 9) 그리고 온도(30, -5, 20℃)에서 5일(19.9~65.3%)까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5일 후부터 30일까지는 약간의 독성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더 높은 온도에서 저장에서는 독성이 더 빨리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분인 C군(C1, C2)과 GTX1,2,3,4, STX 그리고 dcSTX으로 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8개의 독성분 중에서 GTX1,4, STX 그리고 dcSTX는 모든 가공조건에서 독성이 감소함에 따라 제일 먼저 감소하였다. 독성이 기준 독성치(4 MU/g)보다 3배 이상이더라도 마쇄된 패류 육에 pH를 알칼리(pH 7이상)로 처리하고, 10분의 가열에 의해 독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Changes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contents, toxicity and toxin composition with pH and storing periods at different temperature in toxic blue mussel, Mytilus edulis, were tested by using fluorometric HPLC method. Toxicity at pH 3 was the highest as 14.1 MU/g (100%) and showed 12.9 MU/g (92.1%) at pH 5, 9.0 MU/g (63.8%) at pH 7, 3.6 MU/g (25.5%) at pH 9 and 0.8 MU/g (5.7%) at pH 10 which suggested PSP was unstable at alkaline conditions. The decrease in toxicity during storage days was depend on pH and temperature. The toxicity markedly decreased until during the first 5 day storage (19.9~65.3%) at all pH (3, 5, 7, 9) and temperature (30, 5, -20℃), but, slightly decreased after then till to 30 days. C group toxin (C1 and C2) was the major components and other toxins such as GTX1,2,3,4, STX and dcSTX were detected. Among the 8 toxins, GTX1,4, dcSTX and STX were firs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creasing the toxicity at all processing conditions. The toxicity in blue mussel (14.1 MU/g) were able to remove by heating over 10 minutes at pH higher than 7.

      • KCI등재

        인공수정체 혼탁으로 오인된 지연 낭폐쇄증후군 1예

        안민원(Min Won Ahn),김소희(So Hee Kim),이종수(Jong Soo Lee)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6

        목적: 인공수정체 혼탁으로 오인된 지연 낭폐쇄증후군 1예에 대한 진단 및 치료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9세 남자가 1년 전부터 진행된 우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고혈압 외에는 특이병력이 없었으며, 10년 전 타 병원에서 양안 백내장수술을 받았다. 안과 개인의원에서 우안 인공수정체 변성으로 인한 혼탁으로 진단받고 인공수정체 교체를 위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내원 당시 나안시력은 0.06이며, 안압은 22 mmHg, 굴절력은 인공수정체 부위의 혼탁 때문에 측정되지 않았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는 인공수정체의 부위가 우유빛 변성으로 관찰되었다. 전안부 빛간섭광학단층촬영에서 인공수정체 뒤쪽 고반사 물질의 저류가 관찰되었고, 초음파생체현미경검사에서는 수정체 후낭의 팽창이 확인되었다.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ium garnet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을 시행한 후 합병증 발생 없이 나안시력이 1.0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낭폐쇄증후군은 백내장수술 후 1일에서 2주 사이에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인데, 술 후 10년이 지나서도 발생하는 지연 낭폐쇄증후군은 전형적인 임상양상과 달리 나타나기에 인공수정체의 변성으로 인한 혼탁과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late-onset capsular block syndrome, which resulted in a misdiagnosis of intraocular lens (IOL)opacity. Case summary: A 59-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with reduc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from 1 year prior. He had undergone uncomplicated bilateral cataract surgery by phacoemulsification with IOL implants at another hospital 10 years before. There was no specific history with the exception of hypertension. After being diagnosed in the ophthalmology clinic with IOL degeneration and opacity in the right eye, he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for IOL replacement. Upon examination, his right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0.06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22 mmHg. The refractive error could not be checked due to IOL opacity. Slit-lamp microscopy revealed a cloudy, milky IOL. Anterior-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the right eye showed retention of a highly reflective material in the lens capsule behind the IOL. Posterior capsule enlargement of the right eye was confirmed on ultrasound biomicroscopy. After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ium garnet (Nd:YAG) laser capsulotomy was performed, the homogeneous space disappeared and the eye recovered normal visual acuity. Conclusions: Capsular block syndrome is a rare complication that can occur shortly (1 day to 2 days) after cataract surgery. Late-onset capsular block syndrome, which occurs 10 years after surgery differs from typical clinical manifestations. Thus, capsular block syndrome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upon the presentation of opacification due to IOL degeneration.

      • KCI등재

        고감도 HPLC에 의한 시판 중인 패류 및 멍게의 마비성 패류독 모니터링

        장준호(Jun-Ho Jang),김병윤(Byung-Yun Kim),이종백(Jong-Baek Lee),윤소미(So-Mi Yun),이종수(Jong-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패류의 안전성 확보와 국가 독성 감시체계 확립을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울산, 포항, 마산, 통영, 거제, 사천 등 총9개 도시에서 유통 중인 패류 및 그 가공품, 수입 패류와 그 가공품 등 총 36종 850점을 2004년 3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10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4월과 5월은 2회), 수입산과 가공품은 5월, 7월, 9월에 각 1회씩 수거하여 독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패류에는 조사를 시작한 3월부터 마비성 패류 독소가 검출되기 시작하였으며, 독소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양식장에서 진주담치의 채취가 금지된 4월 셋째 주에는 72.9%의 독 검출율을 나타내어(70개의 시료 중 51개의 패류에서 독소 검출) 가장 높았고, 이후 급감하여 5월 셋째 주에는 3.7%이었으며, 6월과 7월에는 산발적으로 독소가 검출되었고, 8월 이후는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독성은 모두 기준치(4 MU/g) 이하로, 마우스 검사로 독성이 검출된 것은 4월 마산의 굴(1.9 MU/g)과 사천의 진주담치(1.8 MU/g), 그리고 5월 첫째 주 사천의 개조개(2.1 MU/g) 뿐이며, 나머지 시료는 1 MU/g 이하로 모든 시료가 식위생상 안전하였다. 그러나 원산지가 확실하지 않은 수입산 가리비와 피조개의 일부에서는 5월, 9월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료가 있었으며, 국내산에서 검출되지 않는 7월, 9월에도 독성이 검출되고 있어 철저한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패류 가공품은 마른 진주 담치에서 흔적 정도(0.01 MU/g 이하)만 검출되고 나머지는 모두 무독이었다. We monitored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by HPLC method in shellfishes including a sea squirt, and its products produced in domestic and imported, total 35 species, 850 samples, collected at 9 cities such as Seoul, Busan, Daegu, Ulsan, Pohang, Masan, Tongyeong, Geoje and Sacheon, 10 times by month (2 times in April and May) from March to October, 2004. PSPs were detected in a few raw samples on March, and it showed highest toxic ratio (72.9%) on third week of April (51 samples toxic in total 70 samples) and decreased suddenly to 2.4% on third week of May. After then, PSPs were detected in a few samples, sporadically, and disappeared after August. Most raw shellfishes in the market were safe from PSP, showing the toxicity below 1 MU/g (quarantine level 4.0 MU/g), except oyster collected on April at Masan (1.9 MU/g), blue mussel on April (1.8 MU/g) and purplish washington clam on May at Sacheon (2.1 MU/g). However, it was strongly suggested to survey and under control for the imported scallops and ark shells which showed highly toxic in the quarantine level on May, July, even September. PSP were not detectable in the all shellfish products collected on May, July and September, except 2 boiled and dried mussels contained trace amount (0.01 MU/g), and all those products were safe as below quarantine toxin level (4.0 MU/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