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박용 LED 등기구의 알루미늄 합금 방열판의 방열성능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전해 산화의 공정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이정형,정인교,한민수,Lee, Jung-Hyung,Jeong, In-Kyo,Han, Min-Su 한국표면공학회 2018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1 No.6

        The possibility of an improvement in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aluminum alloy heat sink for shipboard LED luminaries through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 was investigated. Four different PEO coatings were produced on aluminum alloy 5052 in silicate based alkaline solution by varying current density ($50{\sim}200mA/cm^2$). On voltage-time response curves, three stag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at all current densities, namely an initial linear increase, slowdown of increase rate, and steady state(constant voltage).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current density caused the breakdown voltage to increase. Two different surface morphologies - coralline porous structure and pancake structure - were confirmed by SEM examination. The coralline porous structure was predominant in the coatings produced at lower current densities (50 and $100mA/cm^2$) while under high current densities(150 and $200mA/cm^2$) the pancake structure became dominant. The coating thickness was measured and found to be in a range between about $13{\mu}m$ and $44{\mu}m$, showing increasing thickness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As a result, $100mA/cm^2$ was proposed as an effective process parameter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aluminum alloy heat sink, which could lower the LED operating temperature by about 30%.

      • KCI등재

        서울 도심부 3대 광장 주변부 공간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형(Lee, Jung-Hyung),이용훈(Lee, Yong-Hun),정영도(Jeong, Young-D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6

        2004년에 서울광장이 조성된 이후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은 도심공간에 공공을 위한 대표적 공공광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도시광장은 도시공간 골격이 형성된 이후 광장공간으로 전용된 공공공간으로, 개별?산발적으로 조성되어 주변부의 도시건축, 공공공간 등과 체계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광장 그 자체는 개방적 공간이라 할 수 있지만 주변공간들에 의해 단절되거나 주변과의 공간적 맥락이 단절되어 도시광장으로서 기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 맥락적 시점에서 ‘공공공간인 광장이 어떻게 주변 도시건축의 질과 도시공간적 연계가치를 보장할 수 있느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장가로 블록’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광장을 중심으로 공간활성화를 위한 계획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및 현황조사를 통하여 대상지를 선정한 후 도시광장적/가로블록적/가로공간적 관점에서 광장과 주변부의 공간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광장 주변 블록 세부 단면의 유형화를 통해 광장과 주변부 공간이 갖고 있는 관계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광장가로블록’이라는 단위공간조직을 위계에 따른 3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성에 대한 유형화 도출, 유형별 특성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관점으로는 광장과 도시공간의 문제점 도출 및 해결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해 ‘광장가로블록’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면서 공간구조의 분석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Square of city is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But the squares are isolated from periphery when they were developed on an individual basis without understanding surrou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quares, which are disconnected with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periphery by conducting site analysis focusing on squares.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six derived typical pattern, the relationship of square and the spatial of periphery was examined.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concept of “Block-street Square” concept was suggested.

      • KCI등재

        전방향 이동로봇의 제작과 제어에 관한 실험연구

        이정형(Jeong Hyung Lee),정슬(Seul Ju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논문은 세 개의 바퀴로 구동되는 전방향 이동로봇의 제작과 제어에 대해 소개한다. 전방향성 움직임은 독립적인 회전과 병진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방향 이동로봇의 기구학과 동역학을 사용하여 장애물 회피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수행하였다. 실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로봇을 제작하고 하드웨어를 구성하였으며, 제어 알고리즘은 DSP와 FPGA 칩에 구현하였다. 모터제어에 필요한 PWM, 엔코더 카운터, 통신 등과 같은 하드웨어는 FPGA에 구현하였다. 조이스틱을 통한 전방향 이동로봇을 제어함으로써 로봇의 동작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control of an omni-directional holonomic mobile robot platform, which is equipped with three lateral orthogonal-wheel assemblies. Omni-directionality can be achieved with decoupled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tions. Simulation studies on collision avoidance are conducted. A real robot is built and its hardware is implemented to control the robot. Control algorithm is embedded on DSP and FPGA chips. Hardware for motor control such as PWM, encoder counter, serial communication modules is implemented on an FPGA chip. Experimental studies of following joystick commands ar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functionality and controllability of the robot.

      • 힘 방향 기법을 이용한 전방향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

        이정형(Jeong Hyeong Lee),이형직(Hyung Jik Lee),정슬(Seul Jung)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4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teleoperation control of an omni-direction mobile robot. The master joystick robot has two degrees of freedom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lave mobile robot in the Cartesian space. In addition, the whole teleoperated control system is closed by the force feedback. The operator can feel the contact force as the slave robot makes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eleoperated control with force feedback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 SCOPUSKCI등재

        항암성 천연물 및 그 유사체(XI) : 한약재 및 민간약의 L121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이정형(Jeong Hyung Lee),강석균(Suck Kyun Kang),안병준(Byung Zun Ahn) 한국생약학회 1986 생약학회지 Vol.17 No.4

        Forty herbal drugs which are described to have potential antitumor activity were solvent-fractionated with petroleum ether, ether and ethyle acetate in sequence. The cytotoxic activity was mostly shown in the ether fraction(40.54%) and petroleum ether fraction (35.15%), but scarcely in the water phase (10.8%), meaning that most of the active components had less polar property. Twenty-seven percent of the drugs tested were active, which is higher value than 10.4% of the random sampled drugs The drugs possessing the ED<sub>50</sub> values less than 10㎍/㎖ were the roots of Lithospermum erythror hixon, Curcuma domestica, Salvia miltiorrhiza, Astragalus membraneceus and Scutellaria indica, the leaves of Panax ginseng, S. indica and Liriodendron tulipifera, the barks of Picrasma ailanthoides and Rhus vernifera, the herbs of Agrimonia pilosa and Siegesbeckia pubescens the seeds of Tricosanthes kirilowii, P. ailanthoides, and the stem of P. ginse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중각에 발생한 포상기태 1 예

        강정오(Jeong Oh Kang),유인영(In Young Yoo),김상용(Sang Yong Kim),이정형(Jeung Hyung Lee),이채원(Chae Wo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2

        Ectopic pregnancy refers to gestation in which the fertilized ovum implants on any other tissure than tbe mucus membrane lining the uterine cavity. Cornual (intertitial) pegnancy is a relatively uncommon but potentially catastrophic form of ectopic pregnancy, defined as implantation in the intramural portion of a fallopian tube. A hydatidiform mole usually occupies the uterine cavity but it's occurrence in the uterine tube is extremely rare. Only a few cases of primary hydatidifm mole of the tube have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case of ectopic hydatidiform mole in the uterine cornua and so present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문화지구 관리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두영(Hwang, Doo-Young),이정형(Lee, Jung-Hyung),정영도(Jeong, Young-D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5

        인사동, 대학로 등 전통문화 자원 밀집지역이 생겨나고, 문화자원의 가치가 주목됨에 따라 「문화예술진흥법」 개정(2000)을 통해 ‘문화지구 제도’가 도입되었고, 이에 따라 현재까지 인사동(2002), 대학로(2004), 파주헤이리(2009), 인천개항장(2010), 제주 저지리 문화예술인마을(2010)이 문화지구로 지정ㆍ운영되고 있다. 문화지구는 ‘문화지구 관리계획’을 통해 관리되며 권장용도 지정, 조세감면 등 인센티브를 다루고 있고, 물리적 공간환경 관리에 대한 내용은 ‘지구단위계획’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두 관리수법이 개별적으로 수립ㆍ적용되어 내용이 일부중복ㆍ상충되거나 연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성시가지 문화지구 3곳(인사동, 대학로, 인천 개항장)을 대상으로 문화지구의 지역적 특성을 유지ㆍ관리하기 위한 효율적 운용시점에서 규제, 유도, 지원 측면에서 현행 문화지구제도의 관리현황 및 실태분석을 통해 제도적 한계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현행 관리수법을 통해서는 문화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문화지구가 운용되지 못하고 있고,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업종 및 시설 중심의 관리에서 문화적 활동 권장방식의 전환, 지구별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지원ㆍ규제항목 마련, 주민협의체의 기능 강화를 제언하였다. South Korea has created a ‘cultural district institution’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sa-dong(2002), Daehak-ro(2004), Paju Heyri (2009), Incheon Open-port area(2010) and Jeju Culture and Art Village (2010) are designated as cultural districts. Cultural districts are managed based on the Cultural District Management Plan. The management plan employ incentives such as designation of recommended use, and tax incentives as a wy to achieve its planning objectives. Also, the contents of physical space environment management are established as ‘the district unit plan’ and utilized as a way of managing the spatial environment. However, the problems are being recognized the two management methods are partially duplicated, conflicted, or individually established with on consideration of conne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ltural districts in urba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district system in terms of regulation, inducement and support projects in terms of efficient management to maintain and manag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tricts. It was found that cultural district is not operated by systematically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urrent management metho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omotion of cultural activities. It is also suggested to arrange detailed support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and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residents council.

      • 생명체 간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계산 시뮬레이션 모델 연구

        배경민 ( Kyungmin Bae ),여은지 ( Eunji Yeo ),김철수 ( Chul-soo Kim ),마진현 ( Jin-hyun Ma ),지정규 ( Jeong-gyu Chi ),김형선 ( Hyung-seon Kim ),이정형 ( Jeong-hyeong Lee ),임효상 ( Hyo-sang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생명체 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안정된 생태계의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계산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얻은 실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계산 시뮬레이션 분야와 생명과학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보인다. 제시한 계산 시뮬레이션 모델은 1) 하나의 커다란 생태계로 이루어진 세계, 2) 다수의 작은 생태계로 이루어진 세계, 3) 생태계가 미형성된 세계를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2)번 모델이 생태계를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오래 유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충분한 에너지가 존재하거나 공급되는 환경에서는 생물 밀도가 높으면서 에너지 순환이 빠른, 작은 규모의 생태계가 가장 안정적이라는 생물학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