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6 No.-

        <大老祠碑>는 正祖(재위 1776~1800)가 1787년 직접 써서 하사한 ‘大老祠碑’ 네 자를 새겨 세운 석비로서, 宋時烈을 향사한 경기도 여주 대로사에 있다. <대로사비> 前面 篆書는 小篆이 대부분인 조선시대 碑額과는 다른 특이한 大篆으로서유사한 예를 찾기 어려운 대작이다.성리학이 주도 이념으로 자리 잡은 16세기 중반 이후 국왕의 문예활동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럼에도 정조가 <대로사비>와 같은 대작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에는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많은 시와 서예를 남기고 서화를 감상하는 등 다양한 문예활동을 했던 숙종과 영조의 선례가 있었다.정조의 서예는 전서 ․ 해서 ․ 행서 ․ 초서, 한글 등 각체가 비문 ․ 현판 ․ 묵적 ․간찰 등 다양한 매체에 걸쳐 남아 있다. 정조의 서예는 어필이라는 국왕의 상징 자본을 당대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적절히 활용한 실용적인 용도의 것이었다. 정조는금석문을 많이 남겼는데 비문 뿐 만 아니라 비의 篆書까지 직접 쓴 것은 주목할만하다.그간 <대로사비> 전서 서체는 기필과 수필이 뾰족한 획의 형태로 인해 막연히懸針篆이나 柳葉篆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대로사비> 전면 전서의 자형을분석한 결과 祠자의 ‘示’ 부분이 설문해자의 籒文임을 밝힐 수 있었다. 정조는<대로사비> 전서를 당시까지 실제 적용된 유례를 찾기 어려운 籒文으로 書寫하였다고 판단된다.정조가 주문으로 <대로사비>를 쓴 것은 의례용의 서체인 전서로서 학문적 이념과 정치적 정체성을 나타내기도 했던 조선시대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한 것이었다.許穆의 眉叟篆이 남인들의 비액에 사용됨으로서 그들의 이념적, 정치적 정체성을나타내는 표지로 작동했고, 영조가 ‘洪武正韻體’로서 대명의리를 표명했듯 정조는국왕으로서의 정체성을 주문으로서 나타내고자 하였다고 여겨진다.<대로사비>는 정조시대의 가장 거대한 정치 집단이었던 노론의 종주이자 주자학자인 송시열에 대한 존숭을 표시하면서 국왕의 더 큰 통합력으로 노론을 포용하고자 한 정조의 의지에서 나온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Daerosabi(大老祠碑) is a stone monument inscribed with handwritings bestowed on Song Siyeol (宋時烈) by King Chong-jo(正祖), in 1787, and it is in Yeoju, Kyungkido. Daerosabi seal characters(篆書) on the front is a great work with an unusual type of Daejeon(大篆), which is quite differentfrom Sojeon(小篆) on general stone monuments in the Choseon dynasty, and so it is not that easy to find a similar example like this. There'll be no question to say that a king's own handwritings be used as political symbols. But there were quite a restriction for a king to do literary activities such as calligraphies by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King Yeong-jo(英祖) and Chong-jo left a lot of handwriting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and it was influenced by King Suk-jong(肅宗), who had a lot of interest in literature. On the basis of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Suk-jong left his ow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also appreciated of othe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se literary activities by Suk-jong became a background for Chong-jo to leave a great calligraphic work such as Daerosabi. Chong-jo(reigned 1776-1800)'s calligraphy has various types of the classic writing styles; Jeonseo(篆書) ․ Haeseo(楷書) ․ Haengseo(行書) ․ Choseo(草書), Korean (한글). And these various writing styles used on various media such as stone monuments, signboards, letters, documents, and some other calligraphic materials are handed down today. Chong-jo used his handwritings properly for the political necessities of the time. Especially, Chong-jo left a lot of seal characters(篆書), and it is noteworthy. Till now, the calligraphic writing of the seal characters of Daerosabi has been called Hyunchimjeon(懸針篆) or Yuyeopjeon(柳葉篆), because it have the shape of the sharp stroke. But by analyzing the form of the seal characters on the front of Daerosabi, a fact that the first part Si(示) of the word Sa(祠) is Jumoon(籒文) of Seolmoonhaeja(說文解字)is found. It's adjudged that Chong-jo wrote the seal characters on the front of Daerosabi with Jumoon, which was very hard to find a descended example applied the same way till then. It's due to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Choseon dynasty, in which the seal characters, a ceremonial handwriting, reflects the academic ideology and political identity, that Chong-jo wrote Daerosabi with Jumoon. By using Heomok(許穆)'s Misujeon(眉叟篆) on the monument of Namin(南人) group, it became means of explaining their ideological and political identity. Chong-jo intend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a king with Jumoon. Daerosabi is an expression of honor towards Song Siyeol, who was the core of Noron(老論), the greatest political group at the time of Chong-jo, and also it is figured out that this work is out of Chong-jo's will to embrace Noron with bigger integration.

      • SCOPUSKCI등재

        수용액에서의 Eu(Ⅲ) 착물의 형광스펙트럼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리간드 효과에 관한 연구

        이인숙,김건,Lee, In Suk,Kim, Geon 대한화학회 1990 대한화학회지 Vol.34 No.6

        Eu(III)이온과 간단한 리간드 사이의 착물형성에 대한 온도와 리간드의 영향을 형광방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온도와 리간드에 따라 hypersensitive 전이($^5D0\; {\to}\;^7F_2$)와 nonhypersensitive 전이($^5D0\; {\to}\;^7F_1$)의 상대적 세기는 온도와 리간드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러한 상대적 세기변화를 내부권 착물 형성에 의한 평형상수의 변화로 해석하여 $Eu(H_2O)_X^{3+}$ 에서 EuL(H$_2O)_{X-1}^{2+}$로의 내부권 착물 형성시의 열역학적 함수들을 계산하는데 사용하였다. EuCl(H$_2O)_{X-1}^{2+}$의 내부권 착물 형성시의 $\Delta{H}$는 대략 15 kJ/mol이고 온도에 따라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EuNO$_3(H_2O)_{X-1}^{2+}$의 내부권 착물 형성시의 $\Delta{H}$는 온도에 따라 25$^{\circ}C$에서는 -11 kJ/mol 그리고 250$^{\circ}C$에서는 47 kJ/mol로 증가하였다. Temperature effects on the fluorescence emission spectra of 0.01 M Eu(III) ion with ClO$_4$, Cl$^-$, NO$_3$ were studied. Relative intensity change of hypersensitive band ($^5D0\; {\to}\;^7F_2$) and nonhypersensitive band ($^5D0 \;{\to}\;^7F_1$) was quite remarkable with temperature and ligand. The relative intensity change was interpreted as the change of formation constant and used to calculation the enthalpy change of $Eu(H_2O)_X^{3+}$+ to EuL(H$_2O)_{X-1}^{2+}$ complex. $\Delta{H}$ of $Eu(H_2O)_X^{3+}$ to EuCl(H$_2O)_{X-1}^{2+}$ was roughly 15 kJ/mol and temperature independent, but $\Delta{H}$ of EuNO$_3(H_2O)_{X-1}^{2+}$ was changed with temperature; -11 kJ/mol at 25$^{\circ}C$ and 47 kJ/mol at 250$^{\circ}C$.

      • KCI등재

        근대기 대구의 서화 후원자 이종면, 이근상 부자의 `오정ㆍ소정컬렉션` 연구

        이인숙 ( Lee In-su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1

        이 연구는 대구의 서화 후원자 오정(梧庭) 이종면(1870~1932), 소정(小庭) 이근상(1903~34) 부자가 수장한 `오정ㆍ소정컬렉션`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이 컬렉션 중 서화 320여 점의 의의를 밝혔다. 이종면, 이근상은 그들의 시문이『오정시집』, 『소정문집』으로 간행된 문학가이기도하다. 부유한 지식계층인 이들이 대구의 주요 서화가인 석재 서병오(1862~1936), 죽농 서동균(1903~78)과 각각 친분이 깊었던 것이 수장의 계기가 되었다. 오정ㆍ소정컬렉션 서화는 당대 대구작가 작품이 134점으로 42%이며 그중 서병오, 허섭, 서동균 등의 작품이 38%에 달한다. 서병오와 교유한 김가진, 지창한, 오세창, 김규진, 유창환, 김돈희, 김태석, 김진우, 이도영, 변관식 등 당대 유명작가 작품도 소장되었다. 이종면, 이근상의 서화 후원은 지역 서화계의 역량을 높이고, 서화 중심지로 대구의 위상을 부각시킨 역할을 하였다. 오정ㆍ소정컬렉션의 의의는 후원자와 동시대를 살았던 작가들의 작품이 많이 수장되었다는 당대성, 서세동점의 근대기에 한학 교양인으로서 전통문화에 대한 동호적 배려에 바탕 했다는 우호성, 지역의 자산가가 지역의 작가를 후원함으로서 이루어졌다는 지역성 등을 들 수 있다. As this is the first study on `Oh-jeong, So-jeong collection`, which are collected by art patrons, Oh-jeong Lee Jong-myeon and his son So-jeong Lee Keun-sang in modern Daegu, it is focused on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320 paintings out of the collection which are housed at Yeungnam University Museum. Lee Jong-myeon and Lee Keun-sang, who were businessmen and educators, formed Seowonsisa and Dongwonsa each and started their literature activities. Their poetry and prose were published as 『Oh-jeong Collection of poems』, 『So-jeong Collection of works』. Lee Jong-myeon and Lee Keun-sang had a very intimate relationships with Seo Byeong-oh, who was a central figure in Daegu painting groups at that time, and with Seo Dong-gyun, who was the best pupil of Seo Byeong-oh. This kind of close relationship served as opportunities for the father and his son to patronize these painting artists. Oh-jeongㆍSo-jeong Collection has 134 works, making 42% of the whole collection, from the local artists who were active in Daegu at that time. And 38% out of that are Seo Byeong-oh, Heo Seop, and Seo Dong-gyun`s works. And painting works by famous painters between 1920s and 30s, such as Kim Ga-jin, Ji Chang-han, Oh Se-chang, Kim Gyu-jin, Yu Chang-whan, Kim Don-hee, are also housed. Lee Jong-myeon and Lee Keun-sang helped the capacity of the local painting groups to become matured and influenced on enhancing the status of Daegu pivoting on regnant paintings. The significances of Oh-jeongㆍSo-jeong Collection are as follows; The contemporaneity, the contemporary artists` works who lived the same time with the collectors are mainly owned. The affinity, in spite of the strong western influence in modern period, as cultured persons in the realm of Chinese literature, their collection was on the basis of concerning the favor of traditional cultur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local wealthy persons supported the local artists.

      • KCI등재

        1920-50년대 한글 서예의 한글 인장 사용 연구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12 서예학연구 Vol.21 No.1

        This thesis is written to look into the aspects of Hangeul seal-engraving art by the year of 1920-1950's. It was possible for Hangeul seal-engraving art to become a new form of art in the 20th century, since Hangeul was used as Korean letters instead of Chinese and Hangeul became a part of calligraphy. The founders of Hangeul calligraphy are Hanseo(翰西) Namgung-eok(南宮檍 1863-1939) and Sahudang(師候堂) Yun Back-young(尹伯榮 1888-1986). By them, Hangeul calligraphy works were appeared in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but Chinese seal-engraving has been used. Hangeul seal-engraving was not used by 1930's, and at that time it was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times. The first Hangeul seal-engraving was showed in Iljung(㊀中) Kim Chung-hyeon(金忠顯 1921-2006)'s Sijoshipchup(時調十疊) in 1942. Kim Chung-hyeon used Hangeul seal-engraving in his Hangul calligraphy in the early 1940's, which showed his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after that he used several Hangeul seal-engravings in 1940s and 1950s. His Hangeul seals were engraved by his brother Yeocho(如初) Kim Eung-hyeon(金膺顯 1927-2007). Kim Eung-hyeon, calligrapher and seal engraver,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rtist used Hangeul seal engraved by himself. His first Hangeul seal-engraving was identified in his work, Hoongyejasonga(訓戒子孫歌) in 1946, which he made at the age of 20. Hyodereiyeui(효뎨례의) by Kim Eung-hyeon, he recreated the shape of the coins and letter forms in Joseon dynasty as a modern Hangeul art, and it created a model of beautiful Hangeul seal-engraving patterns. He achieved a remarkable work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Hangul seal-engraving art. Galmul(갈물) Lee Chul-kyung(李喆卿 1914-1989) used the separate writing forms of Hangeul seal-engraving in 1947 and her sister, Gokdul(꽃뜰) Lee Mi-kyung(李美卿 1918-) used similar forms of Hangeul seals. These seals seemed like from their father, Yaja(也自) Lee Man-gyu(李萬珪 1889-1978), a Hangeul scholar who wanted his daughters to learn the court style of Hangeul writing and gave them Hangeul pen names. Ohsechang(오세창), Mumu(뮤뮤) by Wichang(葦滄) Oh Se-chang(吳世昌 1864-1953) is Hangeul seal-engraving made before his death in 1953, and '뮤뮤' is hard to understand its meaning. Considering that Oh Se-chang was a translater, fluent in Chinese and also the meaning of the seal letters, I assume that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mùmù(穆穆)' was engraved as '뮤뮤' in Korean letters. The followings are some representatives in the early Hangeul seal-engraving art: Namgung Eok contributed to the pioneering achievement of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to be realized and disseminated. Lee Chul-kyung and Lee Mi-kyung, the daughters of Lee Man-gyu, a Hangeul scholar, put their efforts to expand the base of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Kim Chung-hyeon used Hangeul seal-engraving in his Hangul calligraphy in the early 1940s. Kim Eung-hyeon who was a pioneer in Hangeul seal-engraving art and developed the very first phase of it. Oh Se-chang who left Hangeul seal-engraving as a national pioneer. Oh Se-chang and Kim Eung-hyeon are recognized as seal engravers who engraved Hangeul seal for the first time. Kim Eung-hyeon is recognized significantly as the first person who engraved his own Hangeul seal-engraving and used it on his Hangeul calligraphy works. 한글 인장예술은 한글이 國文으로 사용되고, 서예의 한 분야로 자림 매김 된 이후 새롭게 성립된 분야이다. 한국서예사에서 한글 서예와 한글 인장예술은 매우 중요함에도 아직 연구가 미흡하다. 이러한 인식 아래 1920-1950년대 한글 서예에서 한글 인장이 사용된 상황을 한글 인장예술의 초기 양상으로서 살펴보았다. 한글의 서예 작품화는 1920-1930년대 翰西 南宮檍(1863-1939)과 師候堂 尹伯榮(1888-1986)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이들은 한문 인장으로 낙관하였으며, 조선미 술전람회 한글 서예 입상작에서도 한글 인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1930년대까지는 한글 서예에도 한문 인장으로 낙관하여 한글 인장이 사용되지 않았던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시대적 상황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본고에서 살펴 본 바 한글 인장이 사용된 한글 서예의 현전하는 가장 이른 예는 1942년 작인 一中 金忠顯(1921-2006)의 <時調十疊>이다. 김충현은 1940년대초 선구적으로 한글 서예에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고, 1940-1950년대에 여러 벌의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김충현이 사용한 한글 인장은 대부분 동생인 如初 金膺顯(1927-2007)이 새겼다. 김응현은 서예가, 전각가로서 한글 인장을 직접 새겨 사용한 최초의 작가로 주목되며, 확인되는 이른 용례는 20세 때인 1946년 작 <訓戒子孫歌>이다. 김응현은 한글 인장예술을 개척한 선구적 전각가로서 한글이 주조된 조선시대 별전을 응용한 葉錢形印 <효뎨례의>(인31)로서 한글 閑章에 있어서 하나의 전형을 창출하였다. 갈물 李喆卿(1914-1989)은 1947년 작<고시조>에서 한글 풀어쓰기로 된 인장을 사용하였고, 동생 꽃뜰 李美卿(1918-)도 이와 유사한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다. 이들이 1940-1950년대에 사용한 한글인장은 딸들에게 한글 호를 지어주고 궁체를 학습하게 한 한글학자인 아버지 也自李萬珪(1889-1978)의 안목에서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많은 전각가들 중 한글을 새긴 전각가는 葦滄 吳世昌(1864-1953), 雲如 金廣業(1906-1976), 鐵農 李基雨(1921-1993), 김응현 등에 불과하다. 오세창의 한글 인장 <오세창>, <뮤뮤>는 그가 사망한 1953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뮤뮤’는 뜻을 알기 어렵다. 필자는 ‘穆穆’의 중국어 발음 ‘mùmù’를 한글로 새긴 것으로 추정하였다. 오세창이 중국어에 능통했던 漢語 역관이었던점, 소리 나는 데로 표기하는 한글의 표음문자로서의 특징, ‘위엄 있고 온화함’이라는 뜻을 가지는 印文이 자신의 이름인 ‘오세창’과 함께 새겨진 점 등이 그 이유이다. 그렇다면 <뮤뮤>는 이른 시기의 한글 閑章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한글이 한국인의 문자생활에 전면적으로 부상한 초기에 선구적으로 한글 궁체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작품화에 힘쓰고 한글서예 교본을 남긴 남궁억, 자신의 집안에 보내진 궁중의 편지를 통해 궁체를 서예화하고 후진을 양성한 윤백영, 한글학자 이만규의 딸들로 궁체 저변화에 노력하고 일찍이 한글 인장을 사용한 이철경과 이미경, 궁체 일변도의 한글 서예에서 훈민정음창제 당시의 판본을 연구해 古體를 창안하고 1940-1950년대에 여러 벌의 한글 인장을 사용한 김충현, 한글 인장예술의 선구자로서 초기 국면을 개척한 김응현,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가이자 서예가, 전각가로서 한글 인장을 남긴 오세창 등을 한글 인장예술 초기의 대표적 인물로 꼽을수 있다. 오세창과 김응현은 한글 인장을 처음으로 새긴 전각가로 자기 매김 되며, 김응현은 자신의 한글서예에 한글 인장을 自刻自用한 최초의 작가로서 의미가 크다.

      • KCI등재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이인숙(Lee, In-suk)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본고는 芭蕉의 문화적 의미를 파초와 연관되는 역사인물과 그 고사, 문학과 회화에서의 형상화, 원예문화와의 관련성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초의 커다란 푸른 잎과 속이 빈 잎 줄기, 여름의 무성함과 가을의 조락, 새잎이 계속해서 펴져 나오는 생장 모습 등의 생태는 다양한 인문적 상징을 낳았다. 파초에는 維摩詰, 王維, 懷素, 張載 등 역사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있 다. 유마힐의 “是身如芭蕉 中無有堅”이라는 비유는 육신의 덧없음이라는 생멸무상의 불교적 의미를 파초에서 연상하게 하였다. 왕유가 그린 雪中芭 蕉는 실제의 너머를 지향하는 超逸한 寫意의 정신을 파초에서 환기시키게 하였다. 초서의 대가인 회소가 파초를 심어 그 잎에 글씨를 연습한 種紙鍊字 고사로 인해 파초는 부단한 연찬을 상징하게도 되었다. 성리학자 장재는 파초를 통해 觀物察理한 <파초>시를 남겨 조선시대 지식인들에게 파초는 격물치지의 대상으로서도 인식되었다. 파초는 唐詩에서 파초 잎에 시를 쓰는 蕉葉題詩, 여름날 파초 잎에 부딪치는 빗소리를 듣는 芭蕉雨聲, 고향을 떠난 파초처럼 나그네로서 파초우성을 듣는 旅心 등의 시정으로 문학화 되었다. ‘高逸圖’ ‘十八學士圖’ ‘西園雅集圖’ 등의 故事圖에서 파초는 등장인물의 高逸한 인격과 우아한 주거환경 을 은유한다. 18∼19세기에는 지식인들이 화훼를 가꾸고 관련 문장을 저술하는 등 원예문화가 붐을 이루어 파초의 생활 속 향유 또한 파초의 문화적 의미를 형성한 요소가 되었다. 조선시대 문예 작품에서 사물은 물 자체로서 인식되기보다 그것의 역사적, 인문적 의미망 속에서 환기되었다. 산수화가 臥遊의 효용을 제공했듯 사군자화는 比德의 의미로 통용되었다. 파초는 유사한 외래종의 이국 식물인 종려나 소철, 화리 등에 비해 유난히 애호되었고 문학과 회화에 등장한다. 그것은 한자문화권의 文翰의 역사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이러한 문화적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lantain made a frequent appearance in paintings.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thesis to research the plantain's connection to historic figures and events, its expression in literary works, its meaning in paint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lantains in the garden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In literary work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lantain are abstracted in broad and wide leaves, coreless cladophyll, lush leaves in summer and its withering, and its growing looks with new leaves spreading out continuously. There are some old events related to some historic figures such as Yumahil(維 摩詰), Wangyu(王維), Hoeso(懷素), and Jangjae(張載). Yumahil compared the plantain to the transience of the physical body, and so the plantain got the Buddhist meaning of transience of birth and death. Wangyu painted a plantain piled up with snow, and from this, the plantain was considered to arouse a spiritual mood aiming to reach a world beyond reality. A master of cursive characters, Hoeso, didn't have paper to write on, and so he practiced writing on the plantain leaves. So the plantain is considered to symbolize continuous effort to study hard. A Neo-Confucianist, Jangjae, made poems on plantains, and that was about what he perceived by observing their ecology. And the poems reflect his philosophical introspection. And so, the plantains are cognized as an object ofgaining knowledge for the intellectuals in the Choseon dynasty.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plantain, having roots in the poetry of Tang dynasty,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in Choyeopjaesi(蕉葉題詩)-writing on a leaf of plantain, Pachowooseong(芭蕉雨聲)-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summer, Yeoshim(旅心)-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a place away from home. In old paintings such as ‘Goildo(高逸圖)’ ‘Sippalhaksado(十八學士圖)’ ‘Sawonahjipdo(西園雅集圖)’, plantains were mostly painted as precious and beautiful scenery with oddly shaped stones, and they are a metaphor for the lofty personality and elegant hosing environment of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gardening culture was created as a boom among the intellectuals, and they initiated some activities such as growing flowering plants and writing some sentences about th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lanting plantains and their effectiveness in real life worked as factors in many paintings of plantain. Natural objects used as subject material in literary works of the Choseon dynasty have been called to attention here in their historic and literary nexus or 'nets' of meaning. That the plantain, although it was from abroad and not commonly seen, is frequently used as a subject in painting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regarded as the effect of old events related to historic figures and to traditional usage in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