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코와 GC/MS를 이용한 포도 품종별 저장 조건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 연구

        이윤정,이기택,Lee, Yun-Jeung,Lee, Ki-Te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품종에 따른 포도를 이용하여 3일 동안 $4^{\circ}C$와 실온에 각각 저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전체적인 향의 패턴을 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SPME-GC/MS 분석 결과를 통하여 휘발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표적인 포도의 주요 휘발 성분은 alcohols, esters, acids, terpenes 등으로 GC/MS 분석 결과 butanoic acid/ethyl ester와 1-hexanol, hexanoic acid/ethyl ester, phenylethyl alcoh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캠벨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양한 휘발 성분이 동정되었고 레드글로브와 머루 품종에서는 1-hexanol, 2-decene, 8-methyl-(z)/1-dodecanol 등을 제외한 나머지 휘발 성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결과 $4^{\circ}C$와 실온 저장한 시료의 제 1주성분 값의 기여율은 각각 99.30, 99.36%로 품종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였다. $4^{\circ}C$ 저장 시 저장 기간에 따른 제 1주성분 값의 변화 범위는 실온에서 저장한 것에 비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4 grape species (Campbell, Sheridan, Red globe, and Meoru) were identified during 3-day storage at either $4^{\circ}C$ or room temperature. Each sample was analyz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 combin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lso electronic nose composed of 12 different metal oxide sensors was used to differentiate flavors of grapes. Sensitivities (delta $R_{gas}/R_{air}$) of sensors from electronic nose were obtain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roportion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99.30% at $4^{\circ}C$ and 99.36% at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In our result, flavor patterns of grape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1-hexanol, hexanoic acid and its ethyl ester, and phenylethyl alcohol with the presence of butanoic acid and its ethyl ester, acetic acid, benzeneacetic acid and its ethyl ester.

      • SCOPUSKCI등재

        팜유와 아보카도유로부터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한 trans free margarine stock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이윤정(Yun-Jeung Lee),이기택(Ki-Teak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3

        팜유와 아보카도유를 이용하여 효소적 방법을 통해 trans free margarine stock(TFMS)을 제조하였다. 회분식 반응기(stirred batch type reactor)를 통한 본 반응은 sn-1,3 위치 특이성을 가진 lipozyme RM IM(from Rhizomucor miehei)을 사용하였다. 반응기질 대두극도경화유와 아보카도유 및 팜유는 30:150:120(g)의 비율로 230 rpm, 65℃에서 합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구성 지질의 DSC 분석 결과 TFMS의 solid fat content(SFC)는 5℃에서 58.6%, 35℃에서의 약 8.5%로 확인 되었으며 7.3, 23.6, 35.3℃의 DSC 상의 melting point 특성을 나타내었다. TFMS는 C16:0(약 29%)과 C18:1(약 45%)이 주요 지방산으로 확인되었고 ΣSFA는 40.7%이었으며 trans 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Sn-2 위치에는 주요적으로 C16:0(21.6%)과 C18:1(50.2%)의 지방산 조성이 확인되었다. RP-HPLC를 통해 TFMS를 이루고 있는 TAG의 PN을 확인 하였다. 주요적으로 PN=48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PN=46, PN=50으로 분리되었으며 TFMS의 반응 전과 비교 시 차별적인 TAG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α-, γ- 및 δ-tocopherol이 각각 5.7, 2.1, 1.7 mg/100 g을 나타냈으며 산가, 요오드가, 비누화가를 통해 TFMS의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FMS를 통해 마가린 제조 시 물성 변화를 고려하여 마가린의 적합한 물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rans free margarine stock (TFMS) was produced by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fully hydrogenated soybean oil (FHSBO), avocado oil (AO) and palm oil (PO). A blend of FHSBO, AO, and PO with a 1:5:4 (30:150:120 g, respectively) ratio was interesterified with lipozyme RM IM(from Rhizomucor miehei) in a 1 L-batch type reactor at 65 for 12 hr, and the physicochemical and melting properties of TFMS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 margarine. The solid fat content (%) of the TFMS was analyzed at 25, 30, and 35℃, respectively, while its melting point was 37.8℃. The trans fatty acid content of the TFMS was below 0.1%. It also had acid, saponification, and iodine values of 0.4, 173.9, and 58.6, respectively. In HPLC chromatograms of the TFMS, newly synthesized peaks of triacylglycerol molecules were observed by using reversephase HPLC with evaporative light-scattering detection. Normal-phase HPLC with UV detection was used to quantify tocopherols in the TFMS, indicating that its α-, γ- and δ-tocopherol contents were 5.7, 2.1, and 1.7 mg/100 g, respectively.

      • KCI등재

        B급 문화를 반영한 서체 표현 특성 분석 연구 - 언어유희(PUN)을 중심으로 -

        이주현 ( Lee Joo-hyun ),이윤정 ( Lee Yun-jung ),김수정 ( Kim Su-j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동시대의 시각문화 영역에서 `B급 문화`가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한 매체들로 표현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런 현상에 주목하며 `B급 문화`의 지표들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B급 문화`의 원인과 그로 인한 사회적 현상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시각 문화 사례들의 구조적 특성과 시각 표현 특성을 도출하였다. 언어적으로 동질성을 가지는 언어공동체는 문화권의 정서를 반영하기 때문에 서체표현 분석의 대상을 한글서체로 한정하였다. B급 문화가 반영된 시각 문화 사례 분석을 통해 7가지-재구성/ 복고/ 문란/ 말장난/ 재미/ 풍자/ 탈피로 특징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중 `말장난`(언어유희)이 주요한 특성임을 도출 하였다. 이에 언어유희(PUN)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김종민,「B급 유머광고의 표현기법 사례연구」를 토대로 한 패러디형 PUN/ 오버액션형 PUN/ 복고풍 연출형 PUN/ 기타 PUN - 4가지 구조적 특성과 김진평의 『한글의 글자표현』의 시각/서체 표현 특성 13가지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B급 문화를 반영한 언어유희(PUN)를 표현하기 위한 서체 표현에 있어서는 굵기와 꺾임의 변형과 비례의 변화 순으로 시각적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 2가지 특징은 B급 문화를 반영한 언어유희(PUN)의 주요한 서체 표현 특징임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체 표현 방식이 독립적으로 발현되기 보다는 두 가지 이상의 서체 표현 방식들이 결합되는 양상이 두드러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급문화로서의 언어유희(PUN)의 서체표현 특성 결합 분석 결과, b.굵기와 꺾임의 변형+ e.비례의 변화가 결합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 a.돌기의 변형+ b.굵기의 꺾임의 변형이 결합되었다. 즉, b+e 결합과 a+b 결합이 B급 문화 서체 표현의 두드러진 특성임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In contemporary visual culture, there is phenomenon of B culture in diverse mediums and in various media. This study was starting from the question that how this B culture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visual culture area. On the basis of analysing B culture-design, this study found that B culture plays a central role in contemporary design field. This study was able to look at the aspect and a range of reasons of B culture in this visual society, then organis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 culture. Language community reflected their culture and emotion of people, so Korean typeface was researched.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visual culture field such as films, music, fashion, and advertising, PUN characteristics was plays a important roles in B culture. It found that PUN has 4 structural characteristics- parody PUN, over-action PUN, retro PUN and etc PUN. To sugges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UN in B culture, 13 criteria of Korean typeface (Kim Jin Pyeong) was applied. Accordingly, to communicate PUN in B culture effectively, the Korean typeface has several characteristics 1. change of stroke`s thickness and apex 2. change of proportion. On top of that, such several criteria of Korean type faces fuse together to express PUN in B culture. In the end, the researcher attempted to find certain module system-combinations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typeface to deliver PUN in B culture appropriately and proper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브랜드 경험을 활용한 스포츠센터 공간에 관한 연구

        최서원 ( Choi Seo-won ),이윤정 ( Lee Yun-jung ),김수정 ( Kim Su-j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현대사회는 경제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소비력이 증가하고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이를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책임질 수 있는 시간으로 활용하고자 스포츠센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스포츠센터의 수요 또한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략으로 브랜드 경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스포츠센터의 사례를 통해 브랜드 관련 자극(Brand-related stimuli) 2가지(<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와 4가지 경험유형(<감각>,<감성>,<행동>,<지성>)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9곳의 스포츠센터를 분석에 따라 브랜드 경험의 관계성과 영향을 확인하고, 국내 스포츠센터 발전에 필요한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에서 해외 사례는 <브랜드 로고>, <색깔>, <형태> 요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브랜드 관련 자극을 확장하고, 브랜드와 소비자간의 상호 연관성을 높였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감각경험을 극대화 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둘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에서는 해외사례와 같이 <매장분위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강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높은 브랜드 경험 유형의 강도를 보이는 해외 사례를 통하여 감각경험 즉 스포츠센터의 공간에서는 시각적 자극을 통한 감각경험을 강화하면 효과적인 마케팅이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스포츠센터의 브랜드 마케팅에 있어서 2가지 브랜드 관련 자극(<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과 4가지 경험유형(<감각>,<감성>, <행동>,<지성>)을 활용하는 것은 국내 스포츠센터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한다. According to recent economic growth and growing purchasing power of customers, customer’s need for wellness and healthy life is increasing nowadays. This trends cause demands for huge amount of sports centers in metropolitan life style. Based on such gradually rising demands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ports centers also require the importance of branding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effectively by using Brand Experience as a main marketing strategy in such a experiential and emotion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4 factors of brand experience(sensory, affective, behavioral, intellectual) and 2 Brand-related stimuli(brand identity stimulus, brand communication stimulus) by analysing 9 sports centers to enhance the brand experience of custo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rom the analysis of overseas sports centers, < brand logo >, < color >, < shape > were utilized actively in brand identity stimulus can extend Brand-related stimuli, in the end brand experience(sensory) can be maximized. Second, applying actively atmosphere of shop for sports center can provide strong brand experience for customers. Lastly high scale of brand experience from overseas sports centers examples, sensory experience -visual stimulus attracts customers to interact brand experience and consequently communicat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By applying 2 Brand-related stimuli(brand identity stimulus, brand communication stimulus) and 4 factors of brand experience(sensory, affective, behavioral, intellectual) can expect positive and potential influence for sport center industry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나는 체험마케팅 특성 분석 연구

        유현지 ( Ryu Hyun-ji ),이윤정 ( Lee Yun-jung ),김수정 ( Kim Su-j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국내외적으로 K-beauty의 인기는 한류열풍과 함께 지속해가면서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beauty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활용되고 있는 체험마케팅 요소들의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분석 방법으로는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플래그쉽 스토어를 직접 방문하여 체험적 요소를 찾아 특성들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파인과 길모어의 4가지(4Es)체험유형(4Es-Entertainment, Educational, Escapist, Esthetic)을 분석 툴로 적용하여 정성평가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범위로는 주타겟층인 20-30대 여성소비자의 방문율이 높으며 K-beauty 플래그쉽이 응집되어있는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에 위치한 `컨셉스토어` 형식의 브랜드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는 <현실도피 체험>과 <미적 체험>이 가장 강하게 제공함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는 K-beauty 시장의 특성인 문화 컨텐츠 속의 주인공들을 모방하고 싶어 하는 타겟층의 소비심리를 바탕으로 K-beauty플래그쉽 스토어가 효과적으로 소통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플래그쉽 스토어 중 "닥터 자르트"는 4가지 체험마케팅 영역의 정도가 평균적으로 가장 높게 제공되어 스위트스팟 영역이 가장 넓으며 그 결과 브랜드 충성도가 높고 지속성이 확보되는 브랜드로 소통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 체험>을 강화했을 때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정보와 지식을 자연스럽고 즐겁게 제공하여, 재구매율이 증가되어 궁극적으로는 부가가치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popularity of K-beauty has been strongly growing all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flagship stores of K-beauty brands are becoming considerate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in the K-beauty flagship stor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s. The analysis method is based on Pine and Gilmour`s 4 characteristics experiential analytical tools(4Es) which ar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The scope of this analysis is restricted to the `concept store` type brands, which are located for the main target audiences age of 20-30 female consumers, who are very enthusiastic about K-beauty products.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K-beauty flagship stores they have been providing < Escapist Experience > and < Aesthetic Experience > the most. The K-beauty flagship store is being eff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costumers who wants to imitate the characters of Korean cultural society. In conclusion, Among those 5 flagship stores I have been researching, "Dr. Jart" flagship store showed the highest average level of the four experiential market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rea of the sweet spot is most wide, which means the brand`s loyalty shows the strongest. Finally, if the flagship stores strengthened the < Educational experience >, consumers will naturally accept the brand identity easily, and re-purchase rate will increase ultimat ely.

      • KCI등재

        효소적 Acidolysis를 이용한 Stearic Acid 함유 팜중부유의 개질

        전미선(Mi-Sun Jeon),이윤정(Yun-Jeung Lee),강지현(Ji-Hyun Kang),이정희(Jeung-Hee Lee),이기택(Ki-Tea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4

        PMF와 stearic acid를 기질로 하고, TAG의 sn-1,3 위치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lipozyme TLIM을 이용해 항온교반수조(70℃, 180rpm)에서 개질된 PMF(팜중부유)를 얻었다. 효소량을 20 wt%를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stearic acid 결합율을 보인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은 1:2였고, 1:1.5와 비교적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1:0.5는 가장 낮은 결합율을 보였다.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 1:2일 때, 효소량을 20 wt% 사용하여 반응한 경우 stearic acid의 함량은 31.6%까지 증가한 반면, 효소량을 10 wt% 사용하였을 때는 13.4%까지 증가하여 효소량을 20 wt% 사용했을 때보다 2.4배 낮은 함량을 보였다. RP-HPLC 분석결과 반응 기질로 사용된 PMF는 대부분이 POP로 93.27 area%를 차지하였고, 효소 첨가량 20 wt%,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 1:2로 36 hr 반응한 시료의 TAG 조성은 7 hr 반응했을 때에 비하여 POP가 크게 감소(7 hr: 33.4 area%, 36 hr: 6.21 area%)하였다. 하지만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던 POS(PSO)의 경우 7 hr 반응했을 때보다 2.61% 감소하였다. 반면 7 hr 반응했을 때보다 PPS는 약 1.9배, PSS는 약 6.7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lipozyme TLIM으로 반응할 경우 반응시간이 지날수록 acyl migration 현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효소 첨가량 20 wt%,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 1:2로 36 hr 반응 후 시료의 TAG 중 sn-2 position에는 oleic acid 함량이 5.4%로 낮았고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은 각각 50.1%, 43.7%로 나타났다. 이로써 개질된 PMF에서 효소의 sn-1,3 위치 특이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The acidolysis was performed to produce structured lipid with palm mid fraction (PMF) and stearic acid for 7, 24, and 36 hr at 70oC. The reaction was catalyzed by lipozyme TLIM (immobilized lipase from Thermonyces lanuginosa, amount of 10% and 20% by weight of total substrates) in the shaking water bath. The reaction conditions for maximum incorporation of stearic acid on the structured lipid were obtained when molar ratio of PMF and stearic acid was 1:2; concentration of lipozyme TLIM was 20wt%; reaction temperature was 70℃; and reaction time was 36 hr. After reaction under this condition, incorporation of stearic acid in the structured lipid was obtained up to 36.3% while the major components of triacylglycerol were 1,2-dipalmitoyl-3-stearoylglycerol (PPS, 28.19 area%), 1-palmitoyl-2-oleoyl-3-stearoylglycerol (POS/PSO, 20.70 area%) and 1-palmitoyl- 2,3-distearoylglycerol (PSS, 18.13 area%). However, the fatty acid composition at the sn-2 position suggested that the positional specificity of lipozyme TLIM was not observed due to the acyl migration.

      • KCI등재

        유통 주류의 포름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 함량분석

        박영석(Young Seok Park),이윤정(Yun Jeung Lee),이기택(Ki Tea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respectively analysed in forty-five alcoholic beverages obtained from the market. After derivatization with PFBHA, GC-ECD and GC-MSD were employed for analysis. The peak area of aldehyde oximes (derivatives with PFBHA)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ethanol content (5%, 10%, 15%, 20% and 40%). When three-point calibration curves for the selected ethanol concentration (5, 13, 21 and 40%, v/v) were studied, suitable linearity against ethanol concentration was observed only under 5, 13, and 21% (ethanol, v/v). After analysis, maximum content of formaldehyde (average of 0.272 ppm) and acetaldehyde (average of 15.262 ppm) among the observed 45 alcoholic beverages was found from whisk (2 species) while minimum content of formaldehyde (average of 0.009 ppm) and acetaldehyde (average of 0.805 ppm) was found from diluted soju (4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