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제비꽃속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이윤순,고아름,유기억,정영재 한국식물분류학회 2024 식물 분류학회지 Vol.54 No.1

        한국산 제비꽃속(Viola) 식물 43분류군에 대한 종간 유연관계 분석을 위해 화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산 제비꽃속의 화분은 모두 단립으로 크기는 소립 또는 중립이었다. 화분의 극축 모양은 각상 또는 원형이었으며 적도면 모양은 장구형, 아장구형, 약장구형으로 구분되었다. 화분의 극성은 모두 등극성이었으며 발아구는 3–5공구형으로 나타났다. 적도면에서 관찰한 표면무늬는 미세유공-미립상, 미세유공-난선상, 그리고 미세유공-난선-추문-미립상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산 제비꽃속 식물의 화분형태는 매우유사하여 종간 형질을 기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야생팬지, 삼색제비꽃, 금강제비꽃, 흰제비꽃, 넓은잎제비꽃, 털낚시제비꽃, 선제비꽃 등 7종류는 발아구 수와 표면무늬, 화분 크기 등에서 형태적으로 유사한 분류군과 뚜렷하게 구분되어 식별형질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Palynolog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43 Korean Viola taxa. Pollen of the genus Viola in Korea was monad in terms of the cell unit, and small or medium in size. The shape of the polar view was angular or circular, and the equatorial view was divided into prolate, subprolate, and prolate-spheroidal categories. The pollen polarity was isopolar, and the aperture type was 3–5 colporate. The surface sculptures of the equatorial view were found to be punctate-scabrate, punctate-rugulate, and punctate-rugulate-fossulate-scabrate. Consequently, as the pollen of most Viola taxa have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it was difficult to construct a palynological description of each species. However, the seven taxa of V. arvensis, V. tricolor, V. diamantiaca, V. patrinii, V. mirabilis, V. grypoceras var. pubescens, and V. raddeana were clearly distinguished with 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according to the aperture number, surface patterns and pollen sizes, all of which can be used as useful pollen characters.

      • Film Session Q&A 3 : Single-port laparoscopic nerve-sparing radical hysterectomy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이윤순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9 No.-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is now being used in gynecologic oncologic procedures. We used our expertise with single-port surgery to perform nerve-sparing radical hysterectomy. We used specialized multichannel port (OCTOPORTTM) with 30-degree, 10mm laparoscope and conventional rigid laparoscopic instruments. We duplicated the steps of our laparoscopic nerve-sparing radical hysterectomy technique using single- port. Total operative time was 355 minutes and blood loss was 50 mL. Bladder function recovered completely after removal of the Foley catheter at postoperative 8 days. No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however, postoperative febrile morbidity was developed. Single-port assisted nerve-sparing radical hysterectomy was technically feasible. Moreover, radicality of surgery was comparable to that in multi-port conventional laparoscopic radical hysterectomy.

      • KCI등재

        질식자궁적출술의 임상적 시도

        이윤순,유봉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0

        1993년 3월부터 1994년 7월까지 만 17개월간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골반암을 제외한 환자중 107예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였으며 그중 100예(93.5%)에서 질식자궁적출술을 시 행하여 비록 17개월의 단기간이지만 질식수술율에 있어서 현재 시행보고된 보고중 가장 높 은율이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연령은 45.69+-7.80(31-71)세였다. 2. 평균분만경험은 3회였고 질식분만 경험이 없는 경우가 2예, 한 번 질식분만경험이 있는 경우가 8예였다. 3. 자궁이 적출되기까지의 시간은 평균 34.52+-12.80분(11-95), 수술이 마칠때까지의 시간은 74.58+-24.68(35-210)이 걸렸다. 4. 수술전 후 헤모글로빈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가장 많은 자궁내막조직은 위축기였고 내막조직과 출혈량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수술전 가장 많은 적응증은 자궁근종 (49%), 그다음 CIN II-III(27%, 자궁탈출증(10%), 자궁 선근종(7%), 기능성자궁출혈(5%)순이었다. 7. 평균수술후 입원 일수는 4일이었다. 8. 기왕 수술경력이 46예 환자에 있었다. 9. 자궁적출술에 걸린 평균 시간과 총 수술에 걸린 시간은 자궁분만 방식에 따른 group I인 경우 26.03+-8.39분과 66.86+-19.15분, group II인경우에 36.83+-10.28과 76.49+-29.33분, group III인 경우 42.96+-14.96분과 82.58+-20.49분이였고 자궁적출에 걸린 시간중 III과 I군 사이와 II군과 I 군 사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총수술시간에 대한 수술방식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 평균 출혈량은 182.16+-191.89ml (20-1200ml)였고 수술방법과 출혈량에 대해서는 group I 에서 119.94+-84.80ml, group II에서 188.80+-207.15ml, group III에서 261.54+-246.35ml였고 group I과 group III에서만 유의한 출혈량의 차이가 있었다. (p=0.0183) 11. 평균 자궁무게는 195.04+-134.83gm(34-800gm)이였고 수술방법과 자궁무게와의 대해서는 group I에서 87.74+-35.37gm, group II에서는 208.49+-114.78gm, group III에서 328.54+-147.53 gm이였고 수술방법에 따른 자궁무게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12. 가장 많은 동반된 수술은 부속기 절제술 (34%)이었으며, 그 다음 질벽협축술(15%), 대망 절제술(1%), 방광 열상의 일차적 봉합술(1%)이었다. 이상 결론적으로 저침습성 수술인 질식자궁적출술은 술자의 경험에 따라서는 자궁적출술에 서는 93.5%에서 개복수술을 피할 수 있고, 적응증도 더욱확대하여 coring이나 morcellation을 이용하면 총수술시간에 지연이 없고 출혈량에 있어서 70-140ml정도 더 출혈이 있으나 임신 12주이상 크기의 자궁근종도 자궁부피를 줄일수 있는 술기로 쉽게 질식으로 수술이 가능함 에 상대적으로 질식수술이 힘든 경우에도 시행함으로서 환자에게 개복수술에 따르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 고가 장비인 복강경 기구의 금전적 부담도 줄어 들 수 있는 저침습성 수술이므로 질식수술의 적절한 수련만이 개복수술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feasibility, safety, complication and outcomes by the method of operation (group I, II,III) in 100 women undergoing total vaginal hysterectom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3 to July 1994.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We performed 100 cases of total vaginal hysterectomy (93.5%) and 7 cases of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6.5%) 2.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45.69+-7.8(31-71) years old and 1 nullipara and 7 primiparas and 92 multiparas. The mean parity was 3. 3. THe average time of hysterectomy and operation was 34.52+-12.80 min(11-95min) and 74.58+-24.68min(35-210 min), respectively. 4. The average time of hysterectomy and operation by the method of removing uterus was 26.03+-8.39 min and 66.86+-19.15 min in group I, 36.83+-10.28 min and 76.49+-29.33 min in group II, 42.96+-14.96 min and 82.58+-20.49 min in group III.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peration time but significant between group I and II, group I and III in hysterectomy time (p=0.0001). 5. The mean value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b was 12.0g/dl and 11.1g/dl.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moglobin(p=0.0001). 6. The mean blood loss was 182.16+-191.89ml(20-1200ml) and 119.94+-84.80ml in group I, 188.80+-207.15 ml in group II, 261.54+-246.35 ml in group III. There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p=0.0183). 7. The average weight of uterus was 195.04+-138.83gm(34-800gm), and 87.74+-35.37gm in group I, 208.49+-114.79 gm in group II, 328.54+-147.53 gm in group III.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3 groups (p=0.0001). 8. THe most common endometrial histology was atrophy (39%).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ndometrial histology and blood loss(p=0.0680). 9. The most common andication was myoma(49%), and CIN(27%), prolapse(15%), adenomyosis(7%), DUB(5%), others(2%). 10. The most common associated procedure was adnexectomy(34%) and AP repair(15%), omentectomy (1%) , bladder repair(1%) 11. The minor complication rate was 16% e.g. Hemorrhage required ransfusion(5%) Cuff infection (4%), Bladder distension(3%), URI(2%), Bladder laceration(1%), Explo-laparotomy(1%). 12. The mean hospital days were 4 days(2-29). 13. 46% of operated women had previous abdominal operation. We concluded that 93.5% of hysterectomy can be done via vagina by coring and morcellation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 and without the need of expensive laparoscopic equipments. The rate of vaginal route (93.5%) was the highest among the previous other re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