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주 주박의 항혈전 활성 평가

        김미선(Mi-Sun Kim),이예슬(Ye-Seul Lee),김종식(Jong Sik Kim),신우창(Woo-Chang Shin),손호용(Ho-Yong Soh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8

        전통주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상업적 시설에서 생산된 3종 약주(J-B, J-S, J-Y) 및 2종 탁주(J-H, J-W) 주박의 ethanol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5종 주박의 pH는 3.90~4.29로 유사하였으나, brix는 5.0~27.0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분 및 알코올 함량에서도 시료에 따라 1.8배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박의 색차와 성분은 첨가된 부재료 및 사용누룩에 좌우되었으며, J-W 주박의 경우 수분함량이 80.3%, brix 13, 알코올 함량 1.8%를 함유하여 다른 주박에 비해 다양한 식품제조에 용이하게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Ethanol 추출효율은 J-H, J-W, J-B, J-S, J-Y의 순, 열수 추출효율은 J-S, J-B, J-W, J-H, J-Y의 순으로 높았으며,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함량은 ethanol 추출물 중에서는 J-H, 열수 추출물 중에서는 J-Y 주박에서 가장 높았다. 5종 주박의 10종 추출물은 모두 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J-B, J-S, J-Y의 약주 주박의 ethanol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혈액응고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며, J-W 탁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에서 thrombin 저해 활성과 J-B, J-S 및 J-H 주박 열수 추출물에서 혈액 응고인자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J-W 탁주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에서만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약주 및 탁주 주박이 항혈전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박으로부터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study,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lees from Korean traditional wine (J-B, J-S, J-Y, J-H, and J-W) were prepared, and their effects on blood coagulation, platelet aggregation, and hemolysis of human red blood cells (hRBC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functional food ingredients from lees. The pH and brix of the lees ranged from 3.90 to 4.29 and 5.0 to 27.0o, respectively, and there was a huge difference in the water and ethanol content among the lees. The nuruk and additives used affected the color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es. The J-W takju made from only rice and traditional nuruk, which has 13o brix and 1.8% of alcohol, has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 With regard to the extraction yields of lees, higher yields were obtained from J-H, which contains different medicinal plants, in ethanol, followed by J-W, J-B, J-S, and J-Y. Higher extraction yields of lees were obtained from J-S in hot water, followed by J-B, J-W, J-H, and J-Y,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 of J-H and the hot water extract of J-Y ha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among the lees extracts. The 10 lees extracts did not show hemolysis activity against hRBCs up to 5 mg/ml. In an anticoagulation activity assay, the ethanol extracts of three yakju lees (J-B, J-S, and J-Y) and the hot water extract of J-W inhibited thrombin activity, whereas the hot water extract of J-B, J-S, and J-H inhibited blood coagulation factors. In an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y assay, only the J-W takju lee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activity. Our results suggest that lees from traditional wine had high potential as a novel antithrombosis agent.

      • KCI등재

        국가습지 DB를 활용한 남한 내륙습지의 토지피복 유형 특성 분석

        이예슬 ( Lee Ye-seul ),윤혜연 ( Yoon Hye-yeon ),이성호 ( Lee Seong-ho ),장동호 ( Jang Dong-ho ),윤광성 ( Yun Kwang-sung ),이창수 ( Lee Chang-su ) 한국지형학회 2020 한국지형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modified the properties and boundaries of the inland wetland types through the structural edit of the National Wetland DB,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land cover by area and the entire inland wetlands of South Korea. The inland wetlands of the Gangwon Basin had a small area of waters. In addition, the ratio of natural barren was high,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reaches of the large river in the east and west part of Gangwon Province. The Geum River Basin had a high percentage of aggregate l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large alluvial land, and the ratio of artistic barren was low, so various ecosystem service of wetland elements were distributed evenly. The Nakdong River Basin had a high proportion of waters as water level in the channel rose due to the installation of 4 Major Rivers Beam, and the ratio of Natural barren was low. Moreover, the water level of the main attributes flowing into the Nakdong River drainage system was not high, so the ratio of vegetation concentration was high. The Yeongsan River Basin showed that Waters had the high proportion.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 barrens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Seomjin River Basin. Finally, Sand and Gravels supplied to rivers during precipitation were deposited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ide and high side was large in the are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th of a river, so the Natural barren of Clay was distributed.

      • KCI우수등재

        유소년 스포츠클럽의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충성도 및 교육성과의 관계

        이예슬 ( Lee Ye-seul ),조송현 ( Cho Song-hyun ),추나영 ( Choo Na-young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6

        본 연구는 유소년 스포츠클럽의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충성도, 교육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유소년 스포츠클럽에 다니는 초등학교 3-6학년, 중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450명을 표집하였다. 그 중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72부를 제외한 378명의 유효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입증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유형성, 확신성과 공감성은 학생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유형성과 반응성은 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유형성과 확신성은 교육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만족은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youth sports clubs, student satisfaction, loyal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third to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youth sports club located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The sampling method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collect a total of 450 people, of which 378 data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except for 72 parts that were judged to be insincere answer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alculati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s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youth sports clubs, it has been shown that tangible, assurance and empathy shown to had effect on student satisfaction. Second, tangibles and responsiveness shown to had effect on loyalty. Third, tangibles and assurance shown to had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Fourth, student satisfaction shown to had effect on loyalty. Fifth, students satisfaction shown to had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 벽의 역할에 대한 근대건축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근대건축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발생과 상호결속을 중심으로 -

        이예슬(Lee, Ye-Seul),민식(Min, sik),구영민(Koo, Young-Min)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2

        The new concept of Space that was created by the science-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deological changes since the 20th century, caused the cognition change about the wall. It means that, as the wall possessed autonomy and independence, the wall has turned from a mere function confining the space to be a device generating meanings. Having not only the various functions but also the expressive traitm the space is to be composed instead of being distributed.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the role of space composition by the wall with regard to mutual binding of the space and generation of meaning, analyzes the works of prominent modern architects, and verifies the fact that the wall became the subject to generate complex meaning through binding the spaces.

      • KCI등재

        섬진강침실습지의 2020년 홍수 전·후 토지피복 및 퇴적환경 변화 연구

        이예슬 ( Ye-seul Lee ),임정철 ( Jeong-cheol Lim ),장동호 ( Dong-ho Jang ) 한국지형학회 2021 한국지형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and-cover and sedimentary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flooding through drone images and sediment analysis for the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 of some land-covers such as sand bar, grass, and trees were continuously changed. The acidity level of the sediments in the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was weakened gradually by flooding and EC was also decreased. The levels of organic matter, effective phosphoric acid, and CEC, however, were fluctuating depending on branches, which seems to be the result of landization as new sedimentary environment was developed and vegetation was settled after the flood. Average mean size of river sediments was found to be fine sand, and it exhibited various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from granule to medium silt depending on the location. As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d due to the effects of floods and typhoons, the particles were granulated or grain refined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there were factors that could interfere with geomorphic developm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contamination sources in and around the wetland, and natural threat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was proposed to remove these threat factors and to preserve the scarcity, naturalness, and dynamics of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 무 · 배추 수집기 개발을 위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이예슬 ( Ye-seul Lee ),김종문 ( Jong-mun Kim ),김용주 ( Yong-joo Kim ),정다운 ( Da-un Jeong ),강태경 ( Tae-kyung Kang ),이상희 ( Sang-hee Lee ),정선옥 ( Sun-ok Ch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밭작물 기계화를 위해서는 단일 기계뿐 아니라 생산 전과정기계화 작업체계가 완성되어야 한다. 특히 무· 배추는 김치의 주재료이며 수확작업의 대부분이 인력으로 수행되고 있어 기계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자주식 개발 연구가 일부 진행 중이지만, 기계화율을 향상시키고 농업기계 임대사업 등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트랙터 부착형 무·배추 수집기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랙터 부착형 무·배추 수집기 개발을 위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국외 제품 분석 결과, 주로 보행형, 트랙터 부착형 또는 트랙터-트레일러와 연계하여 후처리까지 수행하는 수확기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뿌리절단날로는 진동굴취날, 원판뿌리절단날, 원판뿌리유도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송부의 컨베이어벨트로는 연질고무돌기부착벨트와 평벨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 Yanmar사 26마력 엔진 무 수확기는 크게 주행부, 수확부, 수취부로 나눠져 있다. 변속방식은 HST 무단변속, 주행방식은 무한궤도식이다. 덴마크 ASA-Lift사 양배추 수확기는 1조식, 2조식 방식으로 접이식 적재함을 탑재하고 있는 트랙터 부착형 배추수확기이다.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결과, 1998~2001년에 농촌진흥청에서 수행된 “배추재배 일관기계화 시스템”연구의 세부과제로 개발된 “트랙터 부착형 배추 수확기”가 유일한 연구이며, 배추물성 측정, 주요 설계요인에 대한 기초시험, 시작품에 대한 현장실증시험 등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이예슬(Ye-Seul Lee),김미선(Mi-Sun Kim),권하영(Ha-Young Kwon),손호용(Ho-Yong Soh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6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 가능한 우슬은 국가마다 다른 기원식물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토우슬 및 회우슬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우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비교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우슬차 및 우슬식혜 제조를 목표로,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과 이들의 순차적 분획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유용성분 및 in-vitro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은 토우슬보다 수용성 당류 및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토우슬보다 높은 명도와 낮은 황색도를 나타내었다. 항세균 활성 평가에서는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과 회우슬의 n-hexane 분획에서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활성 음이온, 활성 양이온 및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측정의 항산화 활성 평가결과, 토우슬 추출물이 회우슬보다 우수하며, 특히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n-vitro 항당뇨 활성평가 결과, 토우슬 및 회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우수한 α-amylase 저해활성을, 각각의 butanol 분획에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들은 추출효율과 성분에서 많은 차이가 있으며, 특히 이들의 분획물의 경우 성분 및 활성이 더욱 차이가 나타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슬의 항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 개발시에는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우슬차 및 우슬식혜 제조시에는 토우슬의 열수 추출물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Woosul (Achyranthis radix), a widely used material in food and oriental medicinal industry, has different origins of plant species in Korea, Japan and China. In Korea, woosul is designated as the radix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N)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ABB) in the regulation of The Korean Pharmacopoeia. However, the comparative study of hot water (HW) extracts between AJN and ABB is still rudimentary. In this study, HW extracts and its subsequent organic solvent fractions of AJB and ABB were prepared, and their in-vitro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activities were evaluated. The HW extract of ABB has higher sugars and polyphenol compounds, and higher lightness and lower yellowness compared than those of AJN. Analysis of biological activities showed that the ethylacetate (EA) fraction of AJN and n-hexane fraction of ABB have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the EA fractions of AJN and ABB has strong antioxidation activities determin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In anti-diabetes activity assay, the EA fractions of AJN and ABB showe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while the butanol fractions of AJN and ABB showe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W extracts of AJB and ABB have different components and extraction yields, and their subsequent fractions have different biological activity.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EA fraction of AJN is appropriate to develop as natural medicine, and the HW extract of AJN is suitable to woosul-tea or woosul-sikhye production.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이예슬(Lee, Ye Seul),신범철(Shin, Beom Chul),정양순(Jung, Yang So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코로나19로 팬데믹이 초래되자, 사회 전반이 변화하고 있으며 ‘학교’ 또한 변화하고 있다. 다른 무엇보다 학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에 등교를 미루어야 한다는 입장과 더불어 학교 수업을 재개하여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상반된 요구 속에서 교육부는 학생의 ‘안전’을 보호하면서도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실시하였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해 학교는 ‘안전(방역)’, ‘학습’, ‘사회성 함양’, ‘돌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변화를 일상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교육의 변화 속에서 교원들이 경험하는 패러독스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교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 학교 현장에서는 하나의 현실에 대해 ‘상호 배타적인 해석들이 공존하고, 그 어느 것도 진실이 아니라 말하기 힘든’ 패러독스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은 코로나19가 학교 교육의 ‘위기’임과 동시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면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pandemic caused by Covid 19, the whole society was changing, and schools were no exception. There w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argument that school should be postponed the new school year by putting students safety first and the argument that students right to study should be guaranteed by reopening the school. Accordingl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decided to resume classes online, marking the first time all schools across the country were taking part in remote learning in order to protect the “safety” of students while ensuring their “right to learn”. As such, due to Covid 19, schools are making changes in everyday life while playing various roles such as “safety(prevention)”, “learning”, “cultivating sociality”, and “caring”.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such as conducting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o analyze paradoxes experienced by teachers amid the change in school education caused by Covid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vid 19, paradoxes have occurred in schools. In the school, there were phenomena in which mutually exclusive interpretations coexisted, which was hard to say that none of them were true. Second, the paradoxes in school education caused by Covid 19 showed that Covid 19 can act as both a “crisis” and an “opportunity” in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n response to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s, the direction for school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polici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