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캠과 공간정보를 이용한 체감형 기능성게임

        이영재,이대호,이상봉,Lee, Young-Jae,Lee, Dae-Ho,Yi, Sang-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9

        Motion based serious game is a new style of game and exercise using hands, arms, head and whole body. At that time gamer's reachable movement space is an important game space and interaction happening place. We propose efficient game spatial division and analysis algorithm that gives special information for collision avoidance of game objects. We devide into 9 parts of game space and check the enemy position and upper, down, left and right side movement information of gamer and calculate optimal path for collide avoidance of the enemy. To evaluate the method, we implemented a motion base serious game that consists of a web cam, a player, an enemy, and we obtained some valid results of our method for the collision avoidance. The resole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robust. If movement information is in front of enemy, then the enemy waits and finds the place and runs to avoid collision. This algorithm can be used basic development of level control and effective interaction method for motion based serious game. 웹캠을 사용한 체감형 기능성게임은 손과 팔 머리 등 온몸을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게임과 운동을 병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다. 이때 게이머의 움직임이 미치는 공간이 게임 정보공간으로 이 공간상에 가상객체와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곳이다. 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분할, 분석하여 게이머의 공격으로부터 적 캐릭터가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공간을 9등분하여 적 캐릭터의 위치와 상, 하, 좌, 우의 게이머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회피를 구현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웹캠, 게임플레이어, 적 캐릭터로 구성된 체감형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고, 제안한 기법을 사용하여 충돌 회피를 실험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적 캐릭터 앞 공간 영역에 움직임 정보가 있는 경우 제자리 뛰기를 하면서 기다리며 충돌회피 공간을 찾음으로써 보다 재미있고, 효과적인 충돌회피가 가능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웹캠을 이용한 체감형 기능성게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과 레벨조정 등 개발 알고리즘으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 개념의 미분화 비판

        이영재(Yi, Young Jae) 한국정치사상학회 2018 정치사상연구 Vol.24 No.2

        최근 사회적 자본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등의 제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 개념에 내재한 개념적 차이가 양립불가능할 정도로 크지만 그 차이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사회적 자본개념에 내재한 차이는 이익과 효율성에 기초한 사회적 자본 개념과 사회적 규범이나 공공선에 기초한 사회적 자본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익과 효용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 개념은 ‘자본’에 강세를 두고, 사회적 자본을 희소한 자원에의 접근 또는 활용을 용이하게 만드는 것으로 활용한다. 반면, 사회적 규범이나 공공선을 강조하는 사회적 자본 개념은 ‘사회성’에 강세가 있다. 이 경우 정치문화나 시민적 덕성, 사회규범의 차원에서 사회적 자본 개념을 정초한다. 본 연구는 특히 퍼트넘의 사회적 자본 개념을 주요논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익과 효용에 정향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호혜성, 신뢰 등과 같이 이익과 효용으로 포용할 수 없는 이종적 접합이 뚜렷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향후 사회적 자본 연구는 신뢰의 축적과 작동원리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자본의 영역에서 보자면, 신뢰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사회적 연대성은 상호이익이나 효용의 원리를 초월해 있는 것이다. 사랑, 우정, 박애, 연민, 돌봄의 가치가 분명 사회적 자본의 주춧돌이라면, 퍼트넘과 같이 이를 상호이익과 공리주의로 해석하는 것은 명확히 구분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has attracted atten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ology, politics, and economics, both at home and abroad.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ual difference inherent in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t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The difference inherent in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can be divided into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based on profit and efficiency an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based on social norms or common goo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based on profit and utility is based on "capital" and social capital is used to facilitate access to or use of rare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which emphasizes social norms or common good is strong in "sociality". In this case,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sought in terms of political culture, civic virtue, and social norm.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of Putnam because it is focused on profit and utility as well as reveals the heterogeneous union which can not be embraced by benefits and benefits such as reciprocity and trust. In the future, social capital research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accumulation and formation of trust. In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social solidarit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rust, transcends the principle of profit or utility. If the value of love, friendship, fraternity, compassion, and care is clearly the cornerstone of social capital, it is wrong to interpret it as mutual benefit and utilitarianism as Putnam.

      • 비도시지역 주거-공장 혼재형 난개발 평가기준 개발 및 활용방안 마련

        이영재 ( Young-jae Yi ),성찬용 ( Chan Young Sung ) 한국환경연구원 2016 수시연구보고서 Vol.2016 No.-

        비도시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입지규제 완화와 무분별한 공장설립 허가 등에 의하여 주거지에 공장이 난입하는 형태의 난개발이 발생하며 주민의 생활환경이 악화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비도시지역 내 무분별한 개별개발행위를 조정하기 위해 마련된 현 국토이용 및 환경 관련 제도·정책들의 실효적 한계를 반영하며, 관련 관리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 내 공장-주거 혼재형 난개발이 발생할 우려가 큰 구역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과 동 구역 내 공장-주거의 혼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비도시지역 개별입지 공장에 의한 난개발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공장-주거 혼재형 난개발 우려지역의 선정을 위한 여러 후보 지표를 분석한 결과, 인구 변화율 및 개발행위허가 건수와 계획관리지역 면적 등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고, 개별공장 등록건수만이 난개발 우려지역 선정 기준으로 채택되었다. 이를 토대로 상위 40개 난개발 우려지역(읍면동 단위)을 선별하였으며, 경기도에 가장 많은 우려지역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주거 혼재지수의 적용을 위하여 공장-주거 혼재형 난개발 우려지역 중 10개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혼재지수 산정에 앞서 각 대상지에 대하여 2008년 전후의 토지이용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공장관련용지 대 주거관련용지 비율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경관지수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입지분포로서의 공장-주거 혼재지수를 측정하였다. 공장용지와 주거용지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공장-주거 혼재지수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계획관리지역 내에서 공장용지와 주거용지가 상호 격리되는 형태가 아닌 혼재되는 형태로 개발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는 공장-주거 혼재도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혼재 유형을 3가지(택지개발형, 주거-공업 혼재 개발형, 주거-공업 혼재 심화형)로 분류하였다. 수도권 및 부산권 내 공장 난개발이 이미 발생한 지역은 혼재 정도가 심화되었고, 충남권을 비롯한 일부 지방 도시들은 과거 혼재도가 높지 않다가 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은 공장보다는 택지를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며 공장-주거 혼재 정도가 상대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위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장-주거 혼재형 난개발 우려지역 선정 및 공장-주거 혼재지수 산정 방법론이 비도시지역의 난개발 관리 정책 마련에 유용함을 보여주었으며, 관리 중점지역 선정, 환경영향평가 시 활용 등 본 연구결과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Continued deregulation of suburban area and indiscreet factory permission lead to disordered development in the form that factories break into residential areas. This type of development worse living environment in many cases. It reflects limits of current land us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and policies designed to coordinate indiscriminate development activities in suburban areas.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relevant management measures.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areas of concern about disordered development that factories and residence are mixed and an index for measuring their degree of mixture.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ous candidate indicators for the selection of areas of concern about disordered development, only the number of individual factory registrations has been adopted as a criterion for selection of areas of concern. Other indicators(e.g., the population change rate, the number of development activity permits, and the area of planned management area) were found to be inadequate. Based on this, we selected the top 40 areas of concern(in the unit of eup, myeon or dong) and found that the most areas of concern were concentrated in Gyeonggi-do. For the application of the factory-housing mixture index, ten sites were selected from the areas of concern. Prior to the estimation of the mixture index, the land use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2008 was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site. As a result, the ratio of factory-related site to housing-related site varied according to the region. The factory-housing mixture index was measured using the method of landscape index. The more factories and residential land areas, the higher the factory-housing mixture index. This indicated that the factory area and the residential area tend to be developed in a mixed form, rather than being isolated from each other. This study classified the mixed type into three (residential development type, residential - industrial mixed development type, residential - industrial mixed intensive type)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of factory-housing mixture degree. In Seoul and Pusan metropolitan area, the degree of mixture has been intensified in suburban areas where the disordered development has already occurred. Whereas some provincial cities, including Chungnam province, showed a low level of mixedness in the past and increased after 2008. This serie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method of selecting areas of concern about disordered development that factories and residence are mixed and the index for measuring their degree of mixture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ful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in suburban areas. And this study proposes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the selection of management focus areas, the application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KCI우수등재

        대원군 사주에 의한 동학농민전쟁설 비판

        이영재(Yi Young Jae)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2

        동학농민전쟁 연구 중 ‘대원군 밀약설’을 다루고 있는 연구들은 논점에 따라 세 가지 입장으로 나뉜다. 첫째, 대원군이 동학농민군과 관계를 맺고, 농민군 동원을 ‘사주(使嗾)’하였다고 주장하는 소위 ‘대원군 사주설’이 그것이다. 둘째, 전봉준과 대원군 사이에 모종의 연관이 있었다는 소위 ‘대원군 연관설(이용설)’이 있다. 셋째, 전봉준이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맞추어 ‘대원군’의 정치적 명성을 활용한 것으로 보는 ‘대원군 원격 활용설’이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유영익의 소위 ‘대원군 사주설’에 대한 비판적 사료검토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농민군의 제1차 봉기 이전 대원군과 전봉준의 밀약설 주장은 강한 추정에 불과하다. 둘째, 대원군 사주에 의한 동학농민군의 제1차 봉기설에 동원된 기존 사료를 검토한 결과 ‘국태공 추대’는 동학농민군이 정부 관속에게 보내는 ‘호소문’, ‘회유문’에만 나타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동학농민군이 필요에 따라 대원군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원군 측의 ‘사주’ 내용이 실체적으로 확인되는 동학농민군의 재기포의 경우 대원군의 ‘사주’는 결과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향한 일방적 ‘사주’였고, 동학농민군은 이 실패한 ‘사주’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학농민군 재기포의 목적은 ‘아국국토에 대한 침략’(경복궁 무력 점령)을 감행한 일본군에 대한 항거에서 비롯되었음을 재차 확인했다. Studies of the uprising instigated by Taewon’gun among studies of the Donghak Peasant War are divided into three viewpoints depending on the point in question. The first group are the so-called Taewon’gun instigation studies emphasizing that Taewon’gun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incited its mobilization. The second group are the so-called Taewon’gun connection studies claiming some kind of connection between Jeon Bong-jun and Taewon’gun. The third group are the remote use of Taewon’gun, which consider that Jeon Bong-jun used Taewon’gun’s political reputation to sui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This study focused on a critical review of examples of the Taewon’gun instigation theory by Young Ick L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ssible to strongly contend that there was a secret agreement between Taewon’gun and Jeon Bong-jun before the Donghak Peasant Army’s First Revolt. Secondly, results of reviewing previous exampl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s First Revolt incited by Taewon’gun show that a more faithful interpretation is the view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used Taewon’gun as needed; these include the Letter of Plea and Letter of Conciliation where headed by ‘Guktaegong’ appears. Thirdly, information about Taewon’gun’s incitement, confirmed substantively in the Donghak Peasant Army’s Second Revolt, suggests that it was ultimately incitement for his own political purposes and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not affected by this failed incitement. The purpose of the Donghak Peasant Army’s Second Revolt began with resistance to the Japanese Army which was executing invasion of our country (military occupation of Gyeongbokgung).

      • KCI등재

        `동정심`에 관한 통섭적 고찰 : 프란스 드 발(Frans de waal)의 공감 논의를 중심으로

        이영재 ( Yi Young Jae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7 시민사회와 NGO Vol.15 No.1

        본 연구는 인간의 사회성과 관련하여, 동서양을 넘나들며 오랫동안 논구되어 온 `동정심`을 다루고 있다. 동정심과 관련한 쟁점은 `주체`, `형성`, `작용원리`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이 쟁점들을 다루기 위해 프란스드 발의 공감이론을 활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드 발이 동정심에 관한 동서양의 쟁점들을 통섭적 관점에서 폭넓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드 발과 프레스톤의 PAM 원리가 동정심에 관한 현대공감이론 분야의 중요한 이론적 성과이기 때문이다. 논의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의 측면에서 동정심은 고통 받는 타자의 감정이 아니라 공감작용을 통해 형성된 나의 감정임을 확인했다. 둘째, 그동안 홉스, 루소, 흄, 스미스를 비롯해 많은 논자들이 동정심의 형성을 `상상력`으로 설명해 왔다. 그런데 동정심은 사유작용의 일종인 상상력과 구분되는 본성적·본능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셋째, 동정심은 `근접성`, `유사성`, `친숙성`의 원리에 기초해 강도를 달리하며 작동한다. This study deals with `compassion` that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crossing the East and the West, with regard to human sociality. The issue of compass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ubject`, `formation`, and `mechanism`. In this paper, the reason for using Frans de Waal`s empathy theory to deal with these issues is as follows. This is because de Waal is dealing extensively with the issues on compassion beyond the East and the West. It is also because the PAM principle of de Waal and Preston is an important theoretical achievement of modern empathetic theory on compassion. The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ubjects, compassion is not emotions of suffering others, but emotions formed through empathy. Second, many writers including Hobbes, Rousseau, Hume, and Smith have described the formation of compassion as `imagination`. However, I have confirmed that compassion has its own intrinsic and in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ct from imagination, which is a kind of thinking. Third, compassion works by varying strength based on the principles of `proximity`, `similarity`, and `familiarity`.

      • KCI등재

        특집2: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의 교류와 변전 : 양강(陽剛)의 신체, 1960년대 말 동아시아 무협영화의 흥기 - 장철(張徹)을 중심으로

        이영재 ( Young Jae Yi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39

        1960년대 중반 시작된 쇼브라더스의 신파무협편은 이 스튜디오가 1960년대 내내 골몰했던 근대화와 지구화라는 목표에 가장 근접한 첫 번째 성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호금전의 <대취협>(한국제목 : 방랑의 결투)과 장철의 <독비도>(한국제목 : 의리의 사나이 외팔이)는 화교문화권을 넘어서는 놀라운 성공을 거둬들였다. 1960년대 말 한국에서 이 영화들은 합작이 아닌 홍콩영화로는 최초로 흥행에서 성공했으며, 이 성공의 여파는 곧 일련의 한국산 검객영화를 낳았다. 여기에서는 이 영화들의 성공이 1960년대 초중반의 한국-홍콩 합작의 대규모 스펙터클 시대극이 실패로 끝난 지점에서 등장했다는 점에 주목하며 한국과 홍콩, 여타의 아시아 지역에서 무협영화의 성공을 낳은 당대적 공통성이란 무엇인가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장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성공을 거둔 장철의 영화를 중심으로, 강력한 남성성을 의미하는 ‘양강’의 신체와 이 신체의 이념이라고 할 수 있을 ‘협’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다. 오래된 ‘협’의 개념은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장이 된 중국에서 (일본을 경유하여) 무협의 개념으로 옮겨갔다. 그리고 그것은 드디어 산업화 시대에 ‘양강’의 상상력을 얻었다. 무협이 전전 동아시아의 힘에 대한 열망과 저항의 거점을 동시에 의미했다면, ‘양강’의 신체는 힘과 관련된 냉전의 질서와 전혀 무관다고 할 수는 없지만 무엇보다 동아시아 전체의 급격한 산업화와 그 과정에서 열망된 강건한 남성 신체와 관련 있으며 동시에 공장의 규율 속에 놓인 이 신체들의 상상적 전복과 관계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middle of 1960``s, Show Brothers started their new film genre, new wave martial chivalry films. Ho Kumchon``s Come Drink With Me(1966) and Chang Cheh``s One-Armed Swordsman(1967)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New Wave martial arts films, which were the products of an immense globalization strategy that was forming a distribution channel across Southeast Asia through huge Chinese diaspora entertainment companies like the Shaw Brothers. South Korean film industry was influenced deeply by Hong Kong martial arts films at that time. We can observe a lot of Korean martial chivalry films in result of Hong Kong Martial chivalry films`` success. Why martial chivalry films had a huge success in Hong Kong, Korea and other asian region? I want to argue what is the commonness that breed the succes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body of strong masculinity(陽剛) and the spirit of chivalry(俠) in the relation of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공자의 ‘서(恕)’ 개념에 관한 공감도덕론적 해석

        이영재(Young Jae Yi)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1

        최근 경험과학분야, 인문·사회과학 분야 등에서 공자철학의 가치가 다양하게 조명되고 있다. 쥴리앙(Jullien)의 비교철학적 연구나 드 발(de waal)의 통섭적 공감 연구는 동아시아 연구자들이 소홀히 하고 있던 공자철학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이 글은 공자철학 중 최근 현대공 감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충·서(忠·恕)’개념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 동안 공자철학의 정수(精髓)인‘忠·恕’개념을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그 해석은 일원론과 이원론으로 갈려 왔으며, 특히‘서’개념의 해석을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이 글은 공자철학을‘하나로 꿰는(一以貫之)’‘충서’의 원리를 일원론적으로 논구하고, ‘恕’를 공감도덕론의 입장에서 감정적 작용원리로 해석하고 있다. ‘충서’란 ‘서’ 에 충실한 것을 의미한다. 이 ‘충서’ 는 마음의 중심을 다하여 ‘교감’,‘ 공감’ 하는 것으로 공자의 ‘사람사랑’의 사상, 즉 ‘인(仁)’의사상을‘일이관지’하는 근본원리가 된다. 또한 ‘서’는 ‘공감작용’을 통해 일으켜지는 ‘참달지심’과 같은 공감감정과 구분되는 교감, 공감의‘작용원리’를 말한다. 비교철학적, 통섭적 공감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바는 공자철학의‘서’개념을 동양철학의 전통적 해석과 달리‘공감’의 의미로 해석할 때에 공자철학의 도덕철학적 가치가 보다 풍요롭게 전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scholars have explored values of the Confucian philosophy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empirical science, normative science, and the humanities. Some of the widely known studies are the Francois Jullien’s comparative study and Frans de waal"s theory of the consilience on empathy. Building on these prior studi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one of the understudied issues among East Asian scholars: the concept of ‘Chung-Shu(忠·恕)’. The modern theory of empathy places a large amount of scholarly attention to the ‘Chung-Shu(忠·恕)’.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Chung-Shu’ is still under debate between monism and dualism. In this article, I provide the monistic interpretation of ‘Chung-Shu’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empathetic moral sentiments. Specifically, I argue that The meaning of ‘Chung-Shu’ lies in faith to the ‘Shu(恕, empathy)’.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 presented the major trends and issues in the interpretation of ‘Chung-Shu’ and evaluated the newly envisioned value of the Confucian moral philosophy.

      • KCI등재

        조선시대 ‘시민사회’ 논쟁의 비판적 재해석

        이영재(Yi, Young-jae)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한국학 Vol.37 No.2

        이 글은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전개되고 있는 조선시대 ‘시민사회’ 논쟁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붕당정체?민국정체?반동(세도)정체’로 이어져온 조선의 정체 변화를 새롭게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선시대 ‘시민사회’ 논쟁의 재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는 ‘국가로부터 자율적(영역)’이자 ‘결속력을 갖고 사회적·공적 역할을 하는 (사적)결사체’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의에 따르면, 기존 ‘공민사회’ 논의는 16?17세기 붕당정체기 분석에는 적절하지만 조선 후기 이후 민(民)의 자발적 결사체의 구조 변화와 확장적 측면까지 그 설명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둘째, 성리학적 지배이념의 강한 통제 때문에 국가로부터 자율적 영역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견해는 ‘동양적 전제주의’의 편견이라는 점이다. 조선의 정치사회는 통치이념으로서의 성리학과 그 지배질서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갈망하는 대동?개벽 사상이 대립해왔다. 18세기 이후 신분제의 변동과 향촌사회의 구조 변화가 진행되면서 성리학적 지배이념의 관철은 한층 더 약화되고, 다양한 결사체의 영역은 탈성리학적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조선시대의 ‘시민사회’ 또는 ‘결사체’ 영역은 그 동안 다양한 개념과 방법을 동원하여 충분히 조명되지 못했다. 이 글은 기존 조선시대 ‘시민사회’를 시기적·주체적·범주적 차원에서 분석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Continual reinterpretation of Korean history is necessary because societal needs constantly evolve and earlier prejudices, for example ‘Oriental despotism’, need to be overcome in order to meet these needs.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 and formation of ‘civil society’ or ‘associations’. In the debate on civil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the most fundamental issue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is the presence of a sphere in the Joseon society, which is in part autonomous from the power of the state. Since the 16th century to 17th century, the backwoods literati(士林) came up with various organizations or associations, such as ‘Hyungchong’ and ‘Hyangyak’, which were rooted in the local communities. After that time, the subject of the civil society gradually expanded in the political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the Min(民)’s political and social role was changed by various associations, non?confucianism tendency, rise of social standing etc. The Min’s associations were a gradually gaining the political and social role in the from the end of ‘Bungdang(朋黨)’ regime(17C) to the ‘Minguk(民國)’ regime(18C). The associations were a important agent to form a political publicity in the Sedo?Politics(勢道政治 19C) regime that had lost a political publicity. In the research of the Joseon Dynasty, associations areas did not been adequately illuminated.

      • KCI등재

        일반 : 아시아영화제와 한홍합작 시대극 - "아시아영화"라는 범주의 생성과 냉전

        이영재 ( Young Jae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전후 냉전 질서 속의 ‘자유아시아’ 진영이라는 권역 내에서 이루어진 아시아영화제는 새롭게 아시아 시장에 진입하고자 한 전후 일본의 영화 자본과 홍콩의 화교자본을 매개로 한 동남아시아의 영화 자본가들, 필리핀, 인도네시아, 한국, 대만 등의 국가 주도의 영화 자본의 산업적 연대에 대한 지향 속에서 만들어졌다. 이 영화제는 회원국 사이의 인적-물적 교류를 통한 각국의 영화 산업의 기술적 발전과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자 하는 협력의 장이었으며, 개별 내셔널 시네마의 전시와 승인이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했다. 아시아영화제는 ‘아시아’라는 말을 둘러싼 가치와 미학, 정치와 자본의 응축판이었다. 이 영화제는 對서구적 아시아의 가치, 미학, 냉전 질서, 내셔널 시네마와 세계와의 연계, 국경을 넘는 영화 자본의 운동에 이르기까지 영화, 내셔널, 아시아, 세계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가는 데에 있어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대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영화제와 이곳에서 이루어진 영화적 실천으로서의 한국-홍콩 합작의 스펙터클 시대극을 통해 내셔널 시네마와 세계 보편으로서의 헐리우드의 매개항으로서 구상된 ‘아시아영화’라는 범주의 성립을 파악하고자 한다. Asian Film Festival was begun as Southeast Asian Film Festival by Southeast Asian Motion Pictures Producers Association from 1954. AFPA was established by two important film producers, Nagata Masaichi(Japan) and Run Run Show(Hong Kong) and other post colonial states of Asia. Japan could reenter this place under the cold war through the Asia Film Festival and other countries tried to present their national identities in the Asia Film Festival. Asia film Festival shows a condensation of value, aesthetics, politics and capital around the word of Asia. What was asian value? How do (free) asia represented themselves? Where did capital of film industry flow? How did USA``s force work in this place? In the meantime, the Asian Film Festival was a place where transnational collaboration had occurred frequently. Many film producers met each other in Asian Film Festival and they collaborated to make films. For example, Shin Sang-ok and Run Run Show made two spectacle epics, The Last Woman of Shang(1964) and The Goddess Of Mercy(1966). This paper examines a formation of asian cinema as mediation of national cinema and hollywood cinema through Asian Film Festival and two co-production spectacle epics.

      • 국토-환경계획 연동제에 대응한 전략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 도시·군관리계획(재정비) 및 개발제한구역 해제계획을 중심으로

        이영재 ( Young-jae Yi ),이현규,권진경,이상범,이상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본연구보고서 Vol.2017 No.-

        최근 규제 완화와 함께 비도시지역 내 계획관리지역의 비중이 증가하고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요구가 증가하는 등 국토 전반에 걸쳐 개발을 촉진하는 도시관리계획이 증가하고 있다.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생태계가 훼손되고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2014년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을 상호 연동하여 환경보전을 모색하고자 국토-환경계획 연동제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국토-환경계획 연동제의 실질적인 적용은 아직 초기 단계여서 실효성이 아직 확보되지 않은 현 상황을 고려할 때 기존 제도를 활용하여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이 실효적으로 상호 연동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무분별한 개발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기존 도시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연구들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대부분 광역도시계획이나 도시·군기본계획 등 정책계획적 성격의 상위계획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개별개발행위들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도시·군관리계획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환경영향평가 방법론을 분석·제시한 연구 사례는 부족하다. 일부 용도지역별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에서 도시·군관리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다루기는 하였으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분석하여 체계성 및 정책 반영 가능성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응한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전략환경영향평가 방법론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토-환경계획 연동제 실시와 함께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도시·군관리계획(재정비) 및 개발제한구역 해제계획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군관리계획(재정비)과 개발제한구역 해제계획의 실태를 조사하고 상기 계획들을 통한 이후 개별 사업들의 추진 절차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계획에 대한 현행 전략환경영향평가 방법론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향을 제안하며 향후 활용할 수 있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도시관리계획의 수립과 전략환경영향평가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지침과 기준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러한 기준의 차이로 인하여 계획 수립 단계의 일부인 전략환경영향평가가 규제로 인식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줄여 계획수립자와 협의권자가 합의할 수 있는 전략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추구한다. 국토환경계획의 연동을 위해서는 각 계획을 수립하는 실질적인 기준의 성격을 지닌 지침의 정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도시관리계획의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는 지자체단위의 환경계획이 없으므로 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이러한 역할을 하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전략환경영향평가 검토에서 도시관리계획 수립 지침과 전략환경영향평가 매뉴얼 등에서 기술하고 있는 내용을 도시관리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에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도시관리계획 수립 지침 및 용도지역 변경의 주요 근거로 활용되고 있는 토지적성평가 관련 지침에 대하여 환경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SEA) of the urban/rural management plans and greenbelt plans, which are importa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environmental plan linkage system.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process and problems in establishing the urban/rural management plan and the greenbelt plan as well as implementing the SEA for these plans. and propose general directions to improve the process and results. In the meantime,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 management plan and the SEA have tended to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own guidelines and standards, even though they have the common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se differences, the SEA has the side effect of being recognized as a regulation. This study seeks to reduce these difference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to improve the SEA that can be agreed between planners and environmental consul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