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rogen 과 Progesterone이 대장균의 백서질 및 방광점막 상피세포 점착에 미치는 영향

        이영기(YK Lee),박정옥(JO Park),김정욱(JW Kim),박완석(WS Park),이승호(S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난소적출술을 시행한 암컷 흰주에 난소호르몬을 투여했을 때와 수컷 흰쥐에 estrogen을 투 여했을 때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해서 어느정도의 대장균 점착이 방광 및 질상피세포에 일어 나는가 하는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양측난소적출술을 시행한 암컷 흰쥐에 난소호르몬을 투여했을 때 대조군보다 유의한 대 장균 점착의 증가가 있었다. 2. 암컷과 수컷사이의 대장균 점착은 암컷의 경우 유의하게 많이 점착되었으며 암컷 방광상 피의 경우 약제를 투여한 주수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질상피의 경우 주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컷 흰쥐에 있어서 estrogen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 가가 있었으나 투여 주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임신중 증가된 비뇨기계 감염의 원인으로서 난소호르몬이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으며 progestereone을 단독 투여한 경우에서 보다 많은 대장균 점착을 보인것과 질상피세 포보다 방광상피세포에서 더 많은 대장균 점착을 보인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가 되 어야 할 과제라 사료된다. The effect of exogenous ovarian hormones administered to male and oophorectomized female rats was investigated with regard to in vitro adherence of escherichia coli to exfoliated bladder and vaginal epithelial cel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female rats tendency of E. coli adhencrence to vaginal and bladder epithelial cell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ovarian hormone administered rats than in control group . 2. In ovarian hormone administered female rats, E.coli attached in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to the bladder epithelial cells, E.coli adherence was oberved in greatest number in progesterone administered rats followed by estrogen administered group , and combined progesteren and estrogen administered group in descending order. 4. Duration of hormone administration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E.coli adherence in female bladder epithelial cells however on influence was noted in female vaginal epithelial cells, neither in other hormone administraion. 5. In male rats, E.coli adherence was observed in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in Estrogen administered rats, but the duration of administrtion gave no significantly effects. 6. Enhanced E.coli adherenc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female rats than in male rats.

      • KCI등재

        임신과 동반한 Krukenberg종양 1 예

        나용연(YY Nah),이영기(YK Lee),김성림(SR Kim),이태형(TH Lee),이승호(S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2

        임신과 동반한 Krukenberg 종양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 ovarian malignancy associated with pregnancy has been reported to be very infrequent. we report a caes of Krukenberg tumor, dianogsed at 29 weeks of pregnanc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이형성 생식선에서 방생한 혼합생식세포종 1 예

        이승호,이두진,이태형,이영기,배철준,곽양수,이용훈,김미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7

        Gonadal tumors occur in a small percentage of patients who are diagnosed as having gonadal dysgenesis. Most of the tumors were gonadoblastomas and dysgerminomas. We present her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one case of mixed germ cell tumor of phenotycally typical female without sexual ambiguity who presented with primary amenorrhea, short stature and minimal abnormal somatic features, whose chromosome analysis showed 45,X/ 46,X, +mar karyotype.

      • KCI등재

        동시에 발생한 자궁의 악성 혼합 뮬러씨 종양 및 자궁내막선암의 1 예

        이승호,이두진,박윤기,이영기,김성웅,이용훈,최혜정,최준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본원에서 자궁에 악성 혼합 뮬러씨 종양과 자궁내막선암이 동시에 발생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 of the uterus, which is classified as homologous or heterologous, is uncommon neoplasm composed of malignant epithelial and stromal elements. Adenocarcinoma of the endometrium is presently the most common gynecologic malignancy in the U.S.A. Recently,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carcinoma tends to increase gradually in Korea. Concurrence of uterine 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 is very uncommon.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concurrent uterine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자궁내막 평가를 위한 질 초음파의 유용성

        이승호,이두진,이영기,우병욱,이호열,전경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5

        폐경 후 여성에서 자궁내막암 및 전암 병변인 자궁내막증식증과 용종의 진단에 질식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무작위로 선택한 100명의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질식 초음파와 조직학적 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 자궁내막의 평균 두께는 3.5±1.1 mm이었으 며 자궁내막 용종,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의 두께는 각각 5.3±0.7 mm, 7.6±3.7 mm, 21.0±3.1 mm로서 자궁내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병변의 빈도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 구한 가장 적절한 유 소견 기준은 4 mm이었으며 자궁내막 두께가 4 mm 미만인 경우 1 예의 자궁내막증식증을 제외한 59예가 정상 자궁내 막이었다. 4 mm 이상인 경우 20예에서는 자궁내막 에 병변이 있었으나 20예에서는 정상이었으며 위양 성군 중 4예는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고 있었다. 자 궁내막암의 자궁내막 두께는 각각 18.8 mm, 23.2 mm로 모두 유 소견 기준 이상이었다. 다른 연구에서 많이 사용하는 5 mm의 유 소견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자궁내막 두께가 5 mm 미만 인 경우 70예에서 정상 내막이었다. 위음성은 5예이 었으며 자궁내막 용종 1예와 자궁내막증식증 2예는 다른 부인과적 적응증으로 수술 후 우연히 발견된 것이었고 나머지 2예는 질 출혈을 주소로 조직 검사 상 자궁내막증식증으로 진단되었다. 5 mm 이상인 경우 16예에서 자궁내막에 병변이 있었고 9예에서 정상 자궁내막을 나타내었다. 이 위양성군 중 3예는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고 있었다. 유 소견 기준 4 mm에서 질식 초음파는 민감도 95.2%, 특이도 74.7%, 양성 예측도 50.0%, 음성 예측 도 98.3%를 나타냈으며 60%의 소파수술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유 소견 기준 5 mm에서는 민감도 76.2%, 특이도 88.6%, 양성 예측도 64.0%, 음성 예측도 93.3 %로 나타났으며 75%의 소파수술을 감소시킬 수 있 었다. 이상의 결과로 질식 초음파는 환자에게 불편함과 위험을 주지 않고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으 므로 폐경 후 질 출혈 여성에 대한 보존적 치료를 위한 진단 방법으로, 그리고 자궁내막암 및 전암 병 변의 비침습적 선별검사로 많이 이용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endometrial pathology. Transvaginal ultrasound scanning was performed on 100 postmenopausal women. Of these women, 26 had postmenopausal bleeding and all the malignancies were found in the group of women with vaginal bleeding. The endometrial thickness and texture were used as indicators of endometrial abnormalities. The ultrasound findings were related to the endometrial histopathologies obtained from the hysterectomy or curettage specimens. In 59 of these the endometrium was normal and the endometrial thickness by ultrasound was less than 4mm. In 20 patients the endometrial histology was abnormal and ultrasound endometrial thickness was 4mm or greater. In 20 patients the endometrium was atrophic, but the ultrasonic endometrial thickness was apparently greater than 4mm. Of these women 4 were in the group on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Histologically, endometrial hyperplasia was found in 15% of the women and endometrial polyp and cancer in 4% and 2%. If the endometrium was less than 4mm, no endometrial cancer was found at histopathological investigation. By using a cut off point of 4mm of ultrasonographically measured endometrial thickness for identification of endometrial pathology in this study, at least 60% of the curettages could be spared. So we suggest that an endometrial thickness of 4mm is an appropriate cut off level and vaginal ultrasonography is useful method for conservativ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ostmenopausal bleeding, or in screening for endometrial pathology.

      • KCI등재

        유두자극과 양막박리가 지연임신에 미치는영향

        이승호,이태형,이영기,김종호,황보호준,이미나,이상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7

        지연임신으로 인한 태아와 산모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두자국과 양막박리를 시행한 후 자연진통이 유발되어 지연임신의 율이 감소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991년 10월부터 1992년 7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임신 만38주 이상된 산모중 대조군, 유두자극군 그리고 양막박리군을 각각 100명씩을 선정한 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지연임신의 빈도는 대조군에서 17%, 유두자극군에서 4% 그리고 양막박리군에서 8%로 유두자극 군과 양막박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lt;0.05). 2. 분만시 평균 임신주수는 대조군에서 41.2+_0.9주, 유두자극군에서 40.2+_0.9 그리고 양막박리군에서 40.5+_0.9로 유두자극군과 양막발리군에서 약1주 정도 임신기간이 단축되었다. 3. 실험 시작일로부터 분만까지의 기간은 대조군에서 17.1+_6.1일, 유두자극군에서 10.8+_5.2일 그리고 양막박리군에서 12.2+_5.8이로써 유두자극군과 양막박리군에서 분만기간이 단축되었다. 4. 실험 시작일로부터 1주일이내 분만한 경우는 대조군에서 10%, 유두자극군에서 41% 그리고 양막 박리군에서 30%이었고, 1주이내 부만치 못한 경유 평균 Bishop score의 변화는 대조군에서 0.40+_0.59점, 유두자극군에서 1.35+_0.66점으로 유두자극군과 양막박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lt;0.05). 5.양수의 태변착색의 빈도는 만기임신의 경우 7.7%, 지연임신의 경우에서 62.1%로 지연임신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lt;0.05) 6. 흡인분만과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지연임신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lt;0.05) 7. 조기양막파수의 빈도는 만기임신과 지연임신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만기임신 및 지연임신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두자극군든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양막박리군과 비교했을 때는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lt;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두자극과 양막박리를 임신만 38주이상된 산모에서 시행하였을 때 지연임신의 발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A postterm pregnancy is one sthat persists for 42 weeks or more from the onset of a menstrual peripd. The risks of postterm pregnancy on mother and fetus are greater than those of similar gestations completed at or mear term. An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at nipple stimulation and membrane stripping could safely reduce the postterm pregnancy. Delivery outcomes of spontaneous labor induced by nippled stimulation and membrane stripping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f pregnant women above completely 38 weeks gestational age. The frequency of postterm pregnanc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of nipple stimulation (4%) and membrane strippimg (8%) with control (17%) (p$lt;0.05). Th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control group(41.2 weeks) with the nipple stimulation(40.2 weeks) and the membrane stripping(40.3 weeks). The meconium in the amniotic fluid was increased in the postterm pregnancy compared with term pregnancy from 7.7% to 62.1%. The ratio of the vacuum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was increased in the postterm pregnancy with term pregnancy(p$lt;0.05). The nipple stimulation and membrane stripping were found to be an inexpensive, simple,noninvasive and effective methods for induction of labor and ripening of cervix.

      • KCI등재

        신증후군과 동반된 태반부 영양아세포종 1 례

        이승호,이두진,이태형,박윤기,이영기,서정호,김종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본 저자들은 신증후군을 동반된 PSTT 환자에서 전자궁적출술과 우측 난관나소 절제술을 시행후 환자의 증상이 완화되고 혈청 b-hCG 수치가 5 mIU/ml이하로 낮아진 PSTT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PST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rare variant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It occurs in young woman, and it is very resistant to standard chemotherapy. So it is generally treated by hysterectomy. The study suggests that a preceding term pregnancy, a high mitotic ratio, and an old age may be associated with a high motality rate. The tumor cells contain human placental lactogen(h:L) as the predominant marker, While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is present only locally, PSTT has a malignant potential. We present a case of PSTT associated with nephrotic syndrome.

      • KCI등재

        성숙 난소기형종의 임상 고찰

        이승호,이두진,박윤기,이영기,이상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1983년 1월부터 1994년 1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성숙 난소기형종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은 291명 환자의 병력과 해부 병리학적 고찰을 통해 환자의 나이분포, 발생빈도, 증상, 진단 방법, 종양크기, 양측성 빈도, 종양 표지물과의 관계, 수술방법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91명의 성숙난소 기형종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평균 나이는 31.8+-10.6세 이었으며 매년 24.3+-12.2례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2. 증상별로는 복통 (37.8%) 골반 압박감(33.4%), 무증상 (30.6%), 복부 종괴 촉진 (20.6%) 비정상 자궁출혈(8.9%) 요통(3.1%) 월경곤란증 (2.1%)의 순이었다. 3. 진단은 초음파(73.1%) 내진(21%) 컴퓨터 단층찰영(15%), 자기공명 영상술(1%)을 이용하였다. 4. 평균 종양크기는 8.4+-3.8cm좌측 종양크기는 8.7+-4.1cm 우측 종양의 크기는 7.8+-3.0cm로 위치별에 따른 종양의 크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양측성의 빈도는 16.5%이었다. 5. 난소기형종의 합병증은 염전 7.0%, 파열 4.0%이었고 골반내 유착을 동반한 경우가 15.5% 이었으며 염전 및 파열과 종양의 크기에는 서로 유의성이 없었다. 6. 동반된 종양으로는 자궁근종(5.2%), 반대편 난소에 단순낭종(4.8%)이었다. 7. 종양크기가 클수록 낭종제거술보다 난소제거술을 더 많이 시행하였다. 8.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궁절제술을 같이 시행했으며 30세미만의 연령층에서는 98.7%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1989년 이후로는 낭종제거술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35세이 하로서 종양의 크기가 4.0cm에서 8.0cm 사이인 경우 생식력을 고려하여 난소절제술보다 낭 종 절제술을 더 많이 시행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pathologic presentation of mature cystic treatment and trens in management, 291 case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patient age , annual incidence, symptoms, methods of diagnosis, tumor size, bilaterality and methods of managemen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was found to be 31.86+-10.6year old there were an average of 24.3+12.2 cases per year. 2. The symptoms were abdominal pain pelvic haeviness, palpable abdominal mass, abnormal uterine bleeding backache, dysmenorrhea and the 89cases(30.6%) were asymptomatic. 3. Diagnosis was made by pelvic examination, ultrasonogram. CT and MRI. 4. The mean tumor size was 8.4+-3.8cm and bilaterality rate was 16.5%. The mean cyst diameter for patients undergoing cystectomy was 7.6+-2.8cm ; for oophorectomy, 8.4+-3.8cm ; and for hyserectomy, 8.9+-4.2cm 5.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tumor were torsion(7.0%) and rupture(4.0%) and these complications were correlated with tumor size. 6. Mature cystic teratomas were found in association with uterine myoma (5.2%) and functional cyst(4.8%) on the contralateral ovary. 7. When compared to cystetomies ; oophorectomies were performed more frequency for tumors of large than 6cm in diameter(p=0.01). 8. The number of hysterctomies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ge. The number of oophorectomies decreased markedly but the number of cystectomies increased since the year of 1989 in the group of mature cystic teratoma under 35 years of age, of which size is between 4.0cm and 8.0cm.

      • KCI등재

        신생아 상태판정을 위한 Meconiumcrit의 의의

        이승호,이두진,박윤기,이영기,권기진,우병욱,안수홍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본 연구는 육안적으로 양수내에 태변착색을 보인 124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meconiumcrit로 측정한 양수내 태변의 용적과 그에 따른 태아의 산혈증 및 태아질식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진통중 태변의 출현이 신생아의 예후에 대한 임상적 예측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태아의 상태는 1분 및 5분 Apgar score와 제대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로 판정하였다. 1분 및 5분 Apgar score는 중증 태변착색군에서 낮았으나(p$lt;0.05), 경도착색군과 중등도 착색군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meconiumcrit에 따른 태변 흡인 증후군의 발생도 차이가 없었고 태아 심박수의 현저한 변화도 없었다. 제대동맥혈 가스분석은 중증 태변착색군에서 경중 및 중등도 착색군이 비해 분만시 산혈증 빈도가 높았고(p$lt;0.05), pCO2 는 증가되어 있었으며 염기부족의 정도사 심하였으며 HCO3는 감소되어 있었다.(p$lt;0.01). 단 태변의 착색이 있오도 심한 심박동의 변화가 없는 경우 대부분의 태아의 건강은 양호하였다. 신생아의 합병증은 제대동맥의 pH가 감소될 때 특히 pH가 7.20미만인 경우 이환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양수량이 정상범위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양수량이 적을수록 태변의 착색적도가 심하였다. 파수시 양수내에서 태변이 확인될 때 meconiumcrit가 신생아 예후의 예측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signs of fetal distress are alterations in the fetal heart rate, fetal acidosis and the passage of meconium and it is also agreed that a fetus in serious danger from asphyxia will show these signs. The study subjects were 124 pregnant women, who admitted to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or delivery from July to December 1992 and shown grossly meconium-stained amniotic fluid at the time fo amniotom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he meconium contained in amniotic fluid as measured by the meconiumcrit and currently accepted markers of birth asphyxia, as the 1- and 5-minute Apgar score, umbilical cord arterial blood pH and fetal heart rates and examin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meconiumcrit in labor as predictor of subsequent fetal distress. To measure the amount of meconium or solid component of amniotic fluid quantitatively, the amniotic fluid was centrifused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he meconiumcrit; thin(less than 10%), moderate(10 to 30%) and thick(over 30%) groups. Of the 124 patients, 63(50.8%) had thin meconium, 34(27.4%) had moderate meconium and 27(21.9%) had thick meconium. Althought he amniotic fluid index was within normal limit in all cases, the lower amniotic fluid index, the higher meconiumcrit i.e. thick amniotic fluid. The 1- and 5-minute Apgar scores in the thick group were lower than the thin and moderate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in and moderat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and no significant change in fetal heart rate in three groups. In the umbilical cord arterial blood gas analysis, the mean value of pH was lower and the frequency of acidemia was higher in the thick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mean value of pCO2 was higher and the degree of base deficit was more severe but the mean value of the HCO3 was lower in the thick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of neona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umbilical arterial blood pH decreases below 7.20. If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etal heart rate, almost all the neonates were healthy and did not show any other evidence of serious sequel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termination of the meconiumcrit provide a more objective method of characterizing the type of meconium-staining amniotic fluid and a simple and economic technique to evaluate fetal well-being, and it may be expected a clinically useful indicator of fetal distress in the labor period.

      • KCI등재

        악성 난소 배세포종양의 임상적 고찰

        이승호,이두진,이재열,이영기,이미나,이상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1983년 5월부터 1992년 4월까지 만 9년동안 21예의 악성 배세포종양을 경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악성 난소 배세포 종양의 빈도는 21예로 배세포 종양의 10.6%를 차지하였고, 악성 난소종양의 21.9%를 차지하였다. 2. 악성 난소 배세포 종양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종양의 분포를 보면 내배엽동종양이 7예(33.3%)로 제일 많았으며, 미분화 배세포종과 미성숙 기형종이 각각 6예(28.6%)로 그 다음순이었고 그외 태생암과 양성 성숙기형종에서 유래한 선암이 각 1례(4.8%)씩 있었다. 3. 환자의 연령은 10세에서 73세까지 분포하였고 10대가 가장 많았으며 (57.1%) 평균 연령은 22.7세였다. 4. 임상적 병기의 분포는 I기가 13예(61.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II 기가 1례(4.8%), III기가 5례 (23.8%), IV기가 2례(9.5%) 였다. 5. 발생부위는 좌측 및 우측이 각각 9례식으로 같았고 양측성이 3례 있었다. 6. 2년 생존률은 60%였으며 암기별로는 I기가 75%, II기 이상이 50%였고 조직학적 형태별로는 미분화 배세포종이 66.7%, 내배엽동종양이 33%, 태생암이 100%였다. 7. 난소의 악성 배세포 종양의 예후인자로는 조직학적 형태와 잔류종양의 크기 및 임상적 병기등이 있었다. 8. Disease-free interval 은 내배엽동 종양에서는 10개월에서 50개월이었고 미분화 배세포종에서는 37개월에서 87개월이었다. A clinical study was made on 21 cases of malignant germ cell tumor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83 and April 1992.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malignant germ cell tumor among 96 cases of ovarian cancer in this period was 21.9%, By the histologic type, the endodermal sinus tumor was 7 cases (33.3%), dysgerminoma was 6 cases (28.6%), immature teratoma was 6 cases (28.6%), embryonal carcinoma was 1 case (4.8%) and adenocarcinoma arising in the benign cystic teratoma was 1 case(4.8%). 2.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presentation was 22.7 years (10-73 years). 3. The mean tumor diameter was 14.1cm (10-30cm). 4. No site predilection of development of malignant germ cell tumor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 raght side in 9 cases (42.9%) left side in 9 cases(42.9%), and bilateral tumor in 3 cases (14.3%). 5. Main clinical symptoms were abdominal pain/discomfort(47.6%), abdominal mass (38.1%) and abdominal distention (14.3%) in order 6. Sixty-two percent (13/21) of malignant germ cell tumors was FIGO stage I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7. Eight of twenty-one patients were treated by surgery alone, 10 of 21 patients by surgery and multiple agent combination chemotherapy, 1 of 21 patients by surgery and radiotherapy and 1 of 21 patients by surgery, radiothery and chemotherapy 8. Two of twenty-one patients underwent second look operation after 9 courses of chemother : All patients had shown surgical complete remission and no patients recurred following negative second look operation. 9. Diseae-free interval was from 10 months to 50 months in EST and from 39 months to 87 months in dysgerminoma. And overall 2-year survival rate of malignant germ cell tumor was 60%. 10. Prognostic factors of malignant germ cell tumor in this study were the clinical stage, the histologic type and the size of residual tumor m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