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그린콘텐츠 개념을 적용한 정신장애 치료게임 연구

        이연숙(Lee, Yeon-Sook) 한국게임학회 200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7 No.1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기능성게임 개발은 정상인을 위한 게임과 교육용 게임 개발에 편중되어 왔다. 하지만 도움이 필요한 정신 장애인을 위한 치료용 기능성게임 개발은 전무한 상태다. 게임이 주는 긍정적 효과를 활용하여 자연과 인간 모두의 삶에 이로움을 주며, 특히 소외계층인 사회 소수인 및 약자를 위하고, 상업적 측면이 우선시 되지 않는 '정화(淨化)' 개념의 콘텐츠를 '그린콘텐츠'라 정의한다. 정신 장애인을 위한 치료용 게임은 이러한 그린콘텐츠 개념 안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게임의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 개발 차원에서 기능성게임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그 시장과 사회적 역할은 점점 커져갈 것이고, 그 필요성 또한 더욱 크게 요구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기 존중감 증진을 위한 보편적 치료방법 중 하나인 미술치료를 분석하였고, 정신분석학자들의 이론을 근거로 치료용 기능성 게임으로 정신 장애인의 치료가 가능함을 입증하고 개발 프로그램과 설계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이와 유사한 기능성 게임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린 콘텐츠 개념이 적용된 다양한 기능성게임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unctional Games, which have developed in Korea until now, is only for the healthy people's education. There are less functional games for neglected people, specially for the disturbed's healing. I define 'Green Contents' as contents which is helpful to both of nature and human, especially to the week, and also they are not developed only for the commercial aim. Functional Games for the disturbed's healing should be developed as' Green Contents.' If functional games for the disturbed's healing will be developed as aspects of technology and contents development, they will have more effects to people, and also people will need them more. For this study, I analyze art therapy, which is a normal treatment to give a social nature and self respect to the disturbed. Also I developed a functional game program for the disturbed's healing as based on psychoanalyst's theories and suggest it's Road-map.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er who want to develop this kinds of games afterwards, and various functional games for the disturbed's healing as Green Contents should be mor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

        이연숙(Lee Yeon Sook)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6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6 No.1

        가톨릭교회는 페미니즘에 대해 긍정적ㆍ부정적 측면 둘 다 언급한다. 교황청 신앙교리성은 「인공유산 반대 선언문」에서 "여성해방운동이 부당한 차별로부터의 해방 모색이라면, 건전한 근거위에 있다"며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긍정적 측면을 평가한다. 하지만 (페미니즘에서 말하는) "성 해방을 자녀 출산을 지향하는 부부생활의 근본 방향을 무시하며 성적 쾌락을 추구할 자유로 이해한다면, 이는 인간답지 못한 일"이라고 비판한다. 이 글은 페미니즘의 이론들과 한국에서의 페미니즘 흐름을 알아보고, 페미니즘이 생명문화에 끼친 긍정적ㆍ부정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며 이와 관련된 가톨릭교회 가르침을 살펴보고자 했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권익 신장과 사회 인식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여성 자신의 몸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낙태 선택권, 자유로운 성 선택을 주장하기도 한다. 시험관 수정과 인간배아연구 등의 문제에서는 지배당하는 여성의 몸에 주목하고 인간 생명인 배아가 파괴되는 문제에는 침묵한다. 생명문화라는 큰 틀에서 볼 때, 페미니스트들의 활동이 일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페미니스트들이 가장 약한 생명에도 관심을 갖도록 시각 확대와 '뉴 페미니즘'이 요구된다. 또한 교회 생명운동 단체들이 인간생명수호 활동에 미온적인 교회 여성운동 단체와 연대할 것을 제안한다. 자연출산조절법(배란법)이 페미니즘 요소를 담고 있다는 것을 부각시켜 보급할 것도 제안한다. 그렇게 할 때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Catholic Church mentioned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feminism. 'Declaration on Procured Abortion' has announced by Pontifical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said that "the 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insofar as it seeks essentially to free them from all unjust discrimination, is on perfectly sound ground." However, the Declaration condemned "if sexual freedom is to understand that men and women are 'free' to seek sexual pleasure to the point of satiety, without the essential orientation of sexual life to its fruits of fertility, then it is even unworthy of man." This paper deals with feminist movements in Korea last four decades, and examined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related to the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Feminist movements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women' rights and changed people's negative perception toward women. On the other hand, feminists have asserted the right to choose an abor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right to free sex. They have focused on abuse of women's body and exploitation of women due to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and human embryo research. However, they are silent on the destruction of human embryos during those procedures. These feminists' attitude is not consistent and coh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e of life which respect human life. 'New feminism' is required to respect human embryo which is the beginning of human life and needs the most protection in the weakest moment of life. In addition, pro-life movement organizations in the Catholic Church need to cooperate with catholic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They can promote Billings's ovulation method which has contained the elements of feminism.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해방 직후 좌·우익의 역사 만들기와 기념 투쟁

        이연숙(Lee, Yeon-Sook) 역사학연구소 2017 역사연구 Vol.- No.32

        본 글은 해방 직후 기념일을 둘러싼 좌·우익의 경쟁을 살펴봄으로써 민족의 항일운동에 대한 역사적 의미부여와 기념의례가 균열을 일으키는 과정에 주목한다. ‘해방 직후’라는 특정한 시·공간 속에서 일제에 저항한 민족사의 흐름은 3·1운동, 6·10만세운동, 11·3광주학생운동으로 대표되었다. 좌·우익은 모두 3·1운동, 6·10만세운동, 11·3광주학생운동을 기념하였지만, 각각의 기념일들을 현재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두고서는 끊임없는 경쟁을 벌였다. 특히 좌·우익은 누가 항일운동의 주체인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해방 직후 이 문제는 민족구성원은 누구인가, 누가 새로운 국가건설의 주체인가의 문제로 이어졌다. 민족구성원, 민족의 항일운동사에 대한 좌·우익의 이해는 상이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현재적 의미 또한 달랐다. 즉, 좌·우익은 기념일들을 각자의 시·공간 속으로 소환·전유하였으며, 이들의 실천적 모습인 기념식은 균열과 투쟁의 장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해방 직후 기념일은 민족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재현됨과 동시에 신국가건설을 둘러싼 좌·우익의 경쟁에 의해 기념투쟁의 장으로 변화해나갔던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by which the impartment of historical importance to anti-Japan resistance and commemorative ceremonies creates the crack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ompetition of the left and right wings surrounding memorial days after independence. The flow of national history which resisted against the Japanese was represented by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une 10th Mansae Movement, and the November 3rd Gwangju Student Movement with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after independence’. While both the left and right wings commemorate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une 10th Mansae Movement, and the November 3rd Gwangju Student Movement; they had endless competition on how to concretely interpret each memorial day at this time and place. Especially, the left and right had arguments on who was the principal agent of the anti-Japan movement. After independence this issue also led to issues such as who are the members of the nation, and who will be the principal ag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new nation. The understanding on the members of the nation and on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by the people differed from the left and right wings, and the present meaning that was gained from these also differed. That is, the left and right wings recalled and appropriated the memorial days into their own time and space, and commemorative ceremonies which were the practical forms of these appeared as the field of crack and conflict. In short, memorial days after independence reemerged as historical events that formed the identity of the people, while at the same time changing into a place of commemorative struggle due to the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s surrounding the making of a new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