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연변 거주 조선족 결손가정 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 주제 및 상징연구

        이여름,손춘옥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17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themes and symbols expressed in sandplay therapy by Korean-Chinese adolescents from broken families in China.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Korean-Chinese residents of Yanbian Prefecture in northeastern Chin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olescents in broken families who did not live with their mother, father, or both parents for various reasons. Sandplay therapy consisted of eight sessions over one month. The subjects underwent 45 minutes of therapy in each session. With the agreement of the subjects and their guardians,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was photographed. Meaningful contents were noted in the sand scenes and abstract research themes were narrowed down. As a result, the observed contents were materialized and the common themes found in adolescents were categoriz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is study, triangulation and peer debriefing were applied. A case-by-case analysis procedure was adopt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common themes expressed, namely a ‘sense of distance’, ‘wounded’, ‘hope’, and ‘newness’. This study afforded insights into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from broken families as well as providing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and healing themselves.

      • KCI등재

        자기인식과 개성화 과정의 첫 단계로서의 거울의 상징성

        이여름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18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9 No.1

        This study analyzed the symbolic meanings of mirrors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This paper describes various symbolisms of mirrors that appear in eastern and western myths, fairy tales and other literature, and hence analyzes their symbolic meanings in sandplay therapy. Mirrors are significant objects that have exis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mankind. In ancient East, mirrors were regarded as sacred objects having magical powers. They also symbolize water, in that they reflect the world and self, or the enlightened psych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sometimes symbolize arrogance and vanity. Mirrors trigger self-awareness. Looking into our own unconscious enables us to become aware of the shadow and the persona, bring them to consciousness, and advance toward individuation. In other words, mirror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self-awareness an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lements, the concept of which is related to concept of individuation in analytical psychology.

      • KCI등재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중국 거주 조선족 아동의 또래관계 질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

        이여름,장미경,심종희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18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9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sandplay therapy o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behavioral problems of Korean-Chinese children in China and to interpret meaning of sandpictures made by them. Utilizing a mixed-method design, twelve participants (mean age=11.50 years, 50% females) were assigned to three experiment groups with four participants in each group and another 12 children (mean age=13.50 years, 50% female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8 sessions of group sandplay therapy were provided 2~3 times per week for 80 minutes per session. The quantitativ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p sandplay therapy improve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decreased behavioral problems. The qualitative results revealed several common themes such as emptiness, disconnection/separation, concealment, hinderance/obstruction, connection, upbringing, integration/adaptation. Limitation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 Group Sandplay Therapy, Korean-Chinese adolescents,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놀이치료 과정에서 치료자의 치유정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여름,장미경 대한아동복지학회 2022 아동복지연구 Vol.20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play therapy could heal clients through play therapists’ experiences of a still-point. Seven play therapists took part in the study, all of whom have performed play therapy for five years or more, the average years of experience totaling 12.1 years. We collected data on still-point experiences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and then transcribed the collected data before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of analysis. Our analysis found 500 meaning units and, ultimately, 66 central meanings, based on which we identified 17 sub-themes and 4 major themes. The research findings describe the contextual structure and intrinsic meanings accordingly. We described the contextual structure by focusing on the central meanings of the major themes and the sub-themes. At a “still-point,” the therapist feels what the child feels and experiences the child at the still-point. At that moment, the ego-consciousness of the therapist becomes diminished, and the therapist go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t is a moment of a spiritual encounter between the child and the play therapist and the genesis of a new birth.

      • KCI등재

        중재자를 활용한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에서의 AI 에이전트의 사회적 상호작용 디자인

        이여름 한국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학연구 Vol.35 No.3

        연구배경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들의 신체 활동 시간과 질이 감소함에 따라 모바일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 사용에 대한 사회적인 풍토가 마련되었다. 특히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는 정확한 분석 등의 다양한 AI 관련 기능으로 사용자들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다.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사용자들의 건강 행동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재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의 사용자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사용자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전체 사용자 여정에서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 및 AI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 경험 기대를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중재자 역할을 하는 AI 에이전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디자인 제언을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인공지능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사례와 그 기술적 활용을 분석하여 현재 AI 기반 피트니스의 한계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서비스 여정 전반에 걸친 AI 에이전트의 역량을 탐색하였다. 인터뷰 결과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는 정량적 디자인 연구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인공지능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인공지능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현황 파악 및 향후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제언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사례 분석과 사용자 및 전문가 인터뷰를 분석하여 사용자 여정에 따른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AI 에이전트의 사회적 상호작용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디자인 설계 사례를 제안하였다. 사용자가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는 맞춤형 제안과 정확한 분석이 AI 에이전트의 중요한 자질로 여겨졌다. 운동 중 단계에서는 액셔너블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데이터 기반 실시간 코칭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했으며, 운동 후 단계에서는 다음 운동 계획에 도움이 되는 보고 결과와 정서적 지지가 중요하게 여겨졌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서비스 사이의 관계에 따라 단기적 및 장기적 전략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 결론 본 논문은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전체 사용자 여정에서 AI 에이전트의 기능과 사용자 경험에 대한 그들의 기대를 탐색하여 향후 다양한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를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식 체계로서의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관련 행동 변화를 위한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의 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 여정 전체를 고려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진화적 관점을 고려하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오운완 게시물의 순기능을 돕는 서비스 디자인 연구: 게시물의 작성과 소비에서 중재자 역할을 중심으로

        이여름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23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8 No.2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terest in home fitness, where one can safely exercise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plac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line with the health-related trends of the MZ generation, such as body profile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cases where people record and share their exercise through posts on social media such as 'I finished today's exercise' (#오운완 in Korean, #gymrat in English). To maintain changes in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exercise, 'social reinforcement' through praise and interest from others is effective. This is also evident in digital social media channels. Social media services that allow for rich social interactions with various mediators have diverse stakeholders and they affect social reinforcement, but the user experience and actual impact on the user's health-related behavior can vary depending on the mediators' different rol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providing mediators’ roles-tailored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how the posts of #gymrat on social media platforms provide user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post creators and post consumers, who are service stakeholders, and mediators with different roles.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proposed what the ideal service design directions would be based on users' expectations, depending on the different roles of media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esign features that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ercise content are needed in creating #gymrat posts. Also, design features that as a trigger that can lead to the user's health behavior is needed in consuming #gymrat posts. Espec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women in the MZ generation, who are the major user segment of home fitness.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홈 피트니스에 대한 관심이 날로증가하였으며 바디 프로필 등의 MZ세대의 건강 관련 트렌드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 오늘 운동 완료 (이하 #오운완) 게시물을 통하여 운동 기록 및 공유를 하는 사례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운동 등의 건강 행동 변화가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칭찬이나 관심 등을 활용한 사회적인 강화가 매우 효과적이며 이는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도 그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다양한 중재자와 효율적으로 사회적 인터랙션을 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내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들은 소셜 미디어 채널을 활용하여 사회적 강화를 주고받지만, 특히 건강 행동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중재자의 역할에 따라서 사용자 경험 및 영향이 다르다. 그러나, 이를 고려하여 중재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근간이 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운완 게시물의 작성자 및 소비자라는 서비스 이해관계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건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자의 역할에따라서 해당 게시물은 현재 어떠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향후 서비스가 진화한다면 중재자의역할에 따라서 이상적인 건강 행동 증진 서비스의 디자인적 기능은 무엇일지 사용자들의 기대에 기반을 두어 제언하였다. 결과적으로 #오운완 게시물 작성에 있어서는 소셜 미디어의 공간적 특성과 운동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한 기능이 필요하여, 게시물 소비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건강 행위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촉발요소로 활용 가능한 기능이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홈 피트니스의 주요 소비층인 MZ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KCI등재

        무용수업에서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척도 개발

        이여름,최은용 한국무용학회 2019 한국무용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무용수업에서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지도자 824명이 참여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척도를 타당화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 석, 신뢰도 분석, 판별타당도 및 집중타당도 그리고 준거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된 커뮤니케이션 척도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의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긍정적 수업방식, 상호존중, 행동방식의 3요인 11문 항과 둘째, 무용지도자의 비효율적 커뮤니케이션 위계적 관계, 상호이해, 부정적 환경, 수업활용의 4요인 21문 항에 대한 구조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측정도구의 개발은 물론, 향후 무용 교육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ors’ communication scale in dance clas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824 dance educators participated. In order to validate the communication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onducted. The configured communication scale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in dance educators was the 3 factors with 11 items structure: positive teaching style, mutual respect, and behavior styl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effective communication in dance educators was the 4 factors with 21 items structure: hierarchical relationships, mutual understanding, negative environment, and class utilization.

      • KCI등재

        무용교육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척도 개발: 무용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여름,최은용 한국무용교육학회 2019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0 No.1

        In the dance education curriculum,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dance instructors and dance-major college students is very important for achieving positive emotions as well as achieving their goal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communication scale of dance instructors and dance-major college students in the d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communication scale development, 897 dance-maj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validate the communication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onducted. The constructs of the communication scal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in dance-major college students was the five-factor structure: trust formation, practice behavior, interaction, positive teaching style, and respect for oth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effective communication in dance-major college students was the five-factor structure: negative attitude of instructors, mutual conflict, mutual distrust,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uncertainty about classes. Thir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was confirmed in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was composed of 5 factors with 21 items (i.e., 7 items for trust formation, 4 items for practice behavior, 3 items for interaction, 4 items for positive teaching style, and 4 items for respect for others)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was composed of 5 factors with 27 items (i.e., 9 items for negative attitude of instructors, 4 items for mutual conflict, 6 items for mutual distrust,4 items for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4 items for uncertainty about classes).

      • KCI등재

        말레이시아 거주 미얀마 난민아동의 집단모래놀이치료 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연구

        이여름,이세화,장미경,최예린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22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13 No.1

        This study is based on the group sandplay therapy that we provided to Burmese Chin children living in Malaysia as ethnic and religious refugees and our analysis of the themes in the children’s sandboxes using an art-based research method. All the participants were Burmese Chin refugee children aged 10 to 13 years old, attending an international refugee school in Kuala Lumpur, the capital of Malaysia. Participation was voluntary, with written consent from legal guardians. The sample chosen for the study comprised 12 children, with six males in one group and six females in the other group. Altogether, the children took part in five sandplay sessions, which lasted 120 minutes each. During these sessions, all the participants expressed individual the sandtray and then gathered to share and talk about the scenes they had made in the sand. After each session, it construed the children’s sand scenes, imaginative stories and symbolic image from an analytical psychology perspective and categorized the contents by common themes. As a result, six themes emerged: homes taken away, abandoned children, bystanders, safety bases, and liberation/resettlement. Through the sandplay therapy, the refugee children could express their trauma in a safe, supportive environment. Sandplay provided these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identify their trauma, independently overcome that trauma, and gr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