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부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과 초기 또래관계의 관계 특성: 사회망분석을 활용하여

        이애진,양민화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3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difficulties and peer relationship. Two hundred and eighty nine students in grades one and tw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administered with standardized spell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long with a peer nomination surve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tudents’ peer network was analyzed in various asp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in-degree centrality of the network and their reading and spelling scores. Besides, students’ out-degree centrality of the network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scores. Furthermore, when the peer network was compared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fficulties,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urned out to have lower scores on in-degree centrality, which showed that they had more isolated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ir peers. The sociogram also confirmed that most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ere placed far from the center of the group network. These results showed that even you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peer relationships The early intervention efforts such as social skill interventions and group activities may need to carefully placed in the early grades in order to foster positive relationships and to prevent further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와 기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 298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 설문과 읽기, 쓰기검사를 실시하고, 사회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해 또래관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기초학습능력과 또래관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아동의 읽기, 쓰기 능력은 내향 연결 중심성(다른 아동이 자신을 지목하는 정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외향 연결 중심성(다른 아동을 지목하는 정도)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학습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학습부진 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내향 연결 중심성은 낮았으나, 외향 연결 중심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부분 학급의 다른 학습부진 아동들과 작은 무리를 이루어 네트워크 도식의 주변부에 머무르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습부진 아동이 또래관계에서의 문제를 학령기 초기부터 경험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이들의 또래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조기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난독증 학생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이애진,이예다나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overnment’s local ordinance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yslexi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including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ordinance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yslexia in 17 autonomous districts, and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we sought ways to improve the local ordinance of the municipalities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yslexia. Based on this study, we expect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ore substantive policies and researches supporting students with dyslexia in the local government. 교육 현장은 다양한 요구를 가진 학습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들의 학습권을 보장하며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난독증은 교육을 통해 그 증상을 약화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고 적합한 교육적 지원을 제공받지 못하여 방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도 지자체에서 제정한 난독증 관련 조례 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난독증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8개의 교육청과 9개의 시․도 단위, 총 전국 17개 자치구의 난독증 학생 지원조례를 대상으로 제정현황을 비롯하여 구성내용 등을 기본사항, 규범적 체계, 실효성 체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제도적 측면, 연구적 측면, 지원체계의 측면으로 향후 나아가야 할 방법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난독증 지원 조례의 확산 및 제․개정을 위한 실증적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글 파닉스 교수가 난독증 아동의 철자와 자모지식, 음운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애진,양민화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1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심한 난독증을 경험하고 있는 초등학생 6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과 파닉스 원리를 교수하는 한글 파닉스 교육 프로그램을 10주간 실시하고, 이들의 철자능력 및 관련 능력의 성취변화를 보고하였다. 단일대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교수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공된 한글 파닉스 교수는 난독증 아동의 철자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모수 t 검증을 통해 참여한 난독증 아동의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과, 표준화 검사로 측정된 철자능력은 물론, 난독증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음운처리능력 전반과 자모지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작문유창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최근 몇 년간 한글 파닉스 교수법의 효과가 발표되었으나, 난독증 아동의 원인이 되는 음운인식, 음운처리속도, 음운기억 전반에서 동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보고된 것은 처음이다. 단일대상연구 설계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한 회기가 많았던 점과 사전 사후 검사결과의 비교에서 통제집단이 부재했던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학교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한글 파닉스 교수법의 필요성과 적용에서의 유의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a group of students with dyslexia were provided with an author-developed Hangul phonics program for 10 weeks. Each lesson was composed of five phonemic awareness activities and five phonics activities Well-trained teachers delivered lessons to students, individually, twice a week. A single-subject design was employed with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students’ ability to spell. The PND results clearly revealed that the Hangul phonics intervention successfully improved spell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dyslexia. The authors also administered a series of standardized tes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at covered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phonological memory, in addition to spelling. The non-parametric t-test results for these measures showed that the Hangul phonics intervention not only improved students’ spelling skills but also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processing, phonological memory, and letter knowledge. Notably, this is the first Korean study bringing objective evidence of the effects of phonics intervention on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Since these skills are core deficits for dyslexic student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at Hangul phonics intervention can improve them for Koreans with dyslexia. Phonics intervention did not, however, improve composition skills.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phonics intervention on composition skills become more palpable as intervention continues; the insignificant effect of phonics intervention on composition fluency in the current study may perhaps be due to the relatively short period of the intervention. Hangul phonics instruction generally does not appear in elementary curricula, and to prevent learning problems among many students, teachers must systematically and intensively implement phonics instruc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concerns and solutions that arose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honics intervention as a regular school practice.

      • KCI등재

        교사의 학습부진, 학습장애, 일반아동 선별에 대한 근거자료 타당성 탐색: 기초학력진단평가와 표준화검사 정보를 중심으로

        이애진,양민화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eachers’ judgment on selec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tandardized achievement tests, as well as government recommended school-made tests. The authors of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teachers make more informed decisions. There were eigh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rated performance levels of 69 of their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judgment of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was bare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government recommended school-made tests. However, there were somewhat better, but still displayed a noticeable rate of inconsistency between teachers’ judgments and the standardized test results. Teachers had difficulty identifying learning disabilities from difficulties because the definition of both concepts was confusing in the current school system. It was also found that despite the poor information teachers are given, they nonetheless continued doing their best to identif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if teachers are given accurate information such as standardized result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processing, the accuracy of teacher’s judgments would improve significantly.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을 선별하는 교사의 판단 기준과 근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제공해야 할 정보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 진단평가 검사와 표준화 검사 결과에 의해 분류된 집단과 교사 판단 집단과의 일치도를 분석하고, 교사 판단에 의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집단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모형을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판단으로 분류된 집단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보다는 표준화 검사 결과와 일치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현재 교사의 판단에 따른 학습부진, 학습장애 선별은 정확도가 높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며, 보다 정확한 근거자료가 교사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현재 교육현장에서 학습부진 선별검사로써 사용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는 표준화 검사와의 일치도도 매우 낮아 교사가 학습장애는 물론 학습부진을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선별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교사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표준화 검사 중 학습장애를 예측할 수 있는 검사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교사가 정확하게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진단체계의 마련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 KCI등재

        국내 작문능력 연구의 동향분석: 일반 학생과 쓰기학습부진 학생 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애진,양민화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문능력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작문 연구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작문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분석대상은 1990년부터 2011년 2월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작문능력 관련 실험연구로 일반학생과 쓰기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총 30편의 작문연구를 연구대상, 연구방법, 중재방법, 작문평가 방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이 주를 이루었고, 쓰기학습부진 학생 선별을 위해서는 다양한 준거가 사용되고 있었다. 연구대상의 규모는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한 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31명 이상이었으나, 쓰기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2편 중 다섯 편이 10명 이하였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중재연구가 발달연구나 상관연구보다 많았으며, 쓰기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중재연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중재연구에서 탐구한 중재법은 대부분 쓰기전략교수법이었고 중재 효과 크기를 제시한 논문은 한 편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문평가 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고안하거나 이전 연구자의 준거를 수정하여 만든 정성평가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밝히지 않은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about writing skill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writing difficulties in Korea. Through a rigorous selection process of major journals that were published from 1990 to 2011 in Korea, 30 experimental studies had been selected for a review. The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intervention methods, and writing assess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of most writing research were elementary students and various criteria were used to identify students with writing difficulties. In most studies that included students with writing difficulties, the subject size was less than 10.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research for the writing research was the intervention study. Particularily, all but one study that included students with writing difficulties were intervention studies. When the authors analyzed intervention studies to find out the most investigated writing intervention method, teaching writing strategies was turned out to be the far most studied intervention method; 11 out of 19 intervention studies were about writing strategies. However, only one intervention study presented an effect size for the intervention method and it wa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ers follow suggestions of APA's research guidelines and design intervention studies more rigorously. Lastly, writing assessment method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some type(s) of direct writing assessments were included in most studies and these assessment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mselves. However, the author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ers need to explain the criteria of the assessments more articulately, and addr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assessments with concrete numbers.

      • KCI등재

        철자쓰기부진 아동을 위한 Tier 2 한글파닉스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이애진,양민화,김보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ier 2 phonics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After eight weeks of tier 1 intervention, six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were identified as students in need of tier 2 intervention. Tier 2 phonics intervention comprised 10 sessions delivered across five weeks. All the lessons were designed to instruct the reading and spelling of final consonants. After the intervention, all six participants improved their phonemic awareness,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skills based on CBA results. The t test results also showed that students’ improvement on standardized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reas of phonemic awareness,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These results imply that Hangul phonics instruction was effective as a tier 2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Authors suggest that Hangul phonics need to be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especially for students who need extra help. Concerns regarding students from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implements of tier model in the school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철자쓰기부진 아동에게 중재반응이론을 적용한 Tier 2 한글파닉스 교수를 제공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ier 1 중재 후 선별된 6명의 철자쓰기부진 아동들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10회기의 한글파닉스 중재를 실시한 결과 모든 참여자의 음소인식, 단어읽기, 철자 수행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중재 후에도 그 효과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사전, 사후에 실시한 표준화검사에서도 음운인식과 단어인지, 철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한글파닉스 중재가 철자쓰기부진 아동들의 음운인식과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임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방법과 연구결과는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Tier 2 중재반응모델의 형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재반응모델을 학교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수와 평가방법에 대한 교사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