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분권과 지역 거버넌스의 어울림 : mismatch와 관련 쟁점

        이시철(Lee Shi-Chul) 한국지방정부학회 2005 지방정부연구 Vol.9 No.1

        이 논문은 지방분권의 커다란 흐름과 함께 최근 관심이 더해지고 있는 지역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하여, 이 둘의 어울림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포함한 몇가지 쟁점을 폭넓은 시각에서 정리한다. 우선 지방분권의 최근 논의들을 짚어보면서 분권시대 지역 거버넌스의 현실, 특히 몇가지 두드러지는 mismatch들을 실천적 사례와 함께 관찰하고 그 유형별 극복방향에 초점을 두어 우리나라 지역공동체에서 지향하여야 할 바람직한 지역 거버넌스의 방향을 새로이 발견하려 한다. The issue of local governance is neither new nor fully explored in reality, particularly in association with decentralization. This paper observes how local governance has been, and should be, working together with the irreversible trend of decentralization in Korea. Current mismatches between the two values a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some of desirable responses to address the mismatches are also discussed in a broad context. This paper will hopefully invite further discussion, with empirical evidence and arguments, in rediscovering Korean localities.

      • KCI등재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 만족도 평가 :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이시철(Lee, Shi-Chul),김선영(Kim, Sun Young),박상훈(Park, Sa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이 논문은 코로나19라는 초대형 재난 상황에서 우리나라 대학의 초기 대응을 살펴보되,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2020년 봄학기 비대면 수업의 학생만족도 등을 1차적으로 평가하였다. 우선, 정상수업이 이루어졌던 2019년과 견주어 핵심 교육수요층인 학생집단의 기말 강의평가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감염병 확산 초기인 3월 말과 비대면 학기가 마무리된 7월 말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점별로 달리 나타난 강의평가의 변화, 예컨대 불만족의 요인을 짚어보았다. 팬데믹과 비대면 강의 모두 미증유의 경험으로서, 본 연구는 어디까지나 거점국립대 하나를 사례로 살펴본 초기 평가에 그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지만, 2020년 가을학기 이후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있는 비대면 수업의 효과성과 학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시사점을 찾고, 대학교육의 바이러스 재난 대응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려는 첫 번째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청되는 시대에, 학생-교수-대학행정이 긴밀히 연결된 비대면 수업 및 성적관리는 학술적·실천적 논의의 가치가 높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ponses of Korean universities to COVID-19 disaster in 2020, particularly focusing on student evaluations on untact classes at KNU, one of Korea’s largest national universities. We attempted to overview some critical issues regarding untact lectures in the spring semester. Then, upon discussing and analyzing student evaluations across three vantage points, we discovered meaningful disparities between the spring semesters of 2019 and 2020, and between late March and July of 2020. The discussion on probable factors that may have affected student dissatisfaction follow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regular classes and untact ones in 2020. This study, despite obvious limitation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unprecedented class experiences and to provide some policy messages for higher education in responding to a severe virus disaster like COVID-19.

      • KCI등재

        A Tale of Two Greens

        Shi-Chul LEE(이시철)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3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Korea’s nation-wide “Green Growth” policies with “green urbanism” in European cities. Despite little consensus on what the concept actually is or how different it is from such similar notions as sustainable development, one can argue that a number of green urbanism campaigns and policies have sprung up and prevailed over the past 20 years on European soil. By contrast, Korea’s Green Growth strategy dates back only to 2008. While we can hardly find continent-wide common standards or unified criteria, there are certain features that distinguish green urbanism from Korea’s Green Growth drive. After briefly reviewing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s of the two approaches,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focus is on their conceptual and institutional bases, policy processes, and some policy foci. While the well-publicized Green Growth of Korea appears to be commendable in a sense, its long-term effectiveness is not as clear. Lessons form European green urbanism, particularly its grass-root approach and collabo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ought to be applied in the context of Korea. The nation"s traditional culture, political and geographical setting, and administrative experiences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he process. Last but not least, social sustainability and local dynamism do matter; community voices have to be heard and local needs incorporated into the big picture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 지방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상호 작용

        이시철 ( Lee Shi-chul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는 전혀 새롭지 않은 주제이지만 완전한 논의가 이루어진 것도 아니다. 한국의 지방관료제가 이 나라의 민주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역시 활발한 논의가 적었다고 여긴다. 이 논문은 1980년대 이후 20여년간 정치 민주화가 지방의 관료제와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해왔는지, 특히 지방 공무원들이 각 지역의 민주적 변화에 발맞추어 어떻게 기여 또는 반응했는지를 관찰한다. 앞부분에서 한국의 분권화, 지방자치 발전 과정 및 선행 연구를 개관한 후, 민주화에 대한 지방관료제의 역할을 주로 세가지, 즉 관료제의 힘, 범위, 문화 측면에서 살필 것이다. 다양한 분석과 사례를 정리한 결과, 한국의 지방관료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민주화 과정에서, 관련 제도의 성립과 집행이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긍정적 역할을 했다고 마무리한다. 물론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많은 장애와 도전과제가 남아 있다. While the issue of bureaucracy and democracy is neither new nor fully explored, the impact of Korea`s local bureaucracy on the country`s democratization has rarely been explored.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deal values of political decentralization have interacted with the country`s local bureaucracy, which inherently has dark side in itself. The focus is on how local government employees have contributed, or responded, to the democratic change of their communities, particularly since the 1980s. At the outset, the experiences of Korea`s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are briefly reviewed. It is then examined how the bureaucrats have played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terms of three features: bureaucratic power, scope, and culture. We conclude that Korea`s local bureaucracy has contributed, at least in part, to the progress of democratization, helping design and implement the institutional system, certainly with a number of challenges ahead.

      • KCI등재

        지역정책의 건강효과성과 건강형평성 : 상충과 어울림

        이시철(Shi-Chul Lee)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4

        지역 단위의 정책이나 계획이 개별 시민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새로운 주장이 아니지만, 다양한 건강친화 정책이 효과성과 함께 모든 시민에게 골고루 혜택이 갈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정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성과 형평성 측면으로 나누되 교차하여 살핀다. 관련 이론과 제도를 포괄하는 가운데 한국의 ‘건강도시’ 등 사례의 시사점도 언급하면서 두 가치의 접점을 찾는다. 건강형평성은 정책의 혜택이 지역 안팎에서 균형 있게 배분되는지의 이슈인데, 학술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의미 또한 상당하다. 이 논문은 효과성-형평성의 양립 가능성, 상호배타성을 관찰하는 분석틀을 제시하면서 그 둘이 어떻게 어우러질 수 있을지를, 또한 이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모색한다. 비록 동반-상충관계가 있지만, 지역단위의 건강정책이 의미 있게 지속가능하려면 두 가치가 조화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지금까지 이 둘의 상호 작용 가능성을 직접 탐색한 연구가 별로 없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미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 경험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체화하게 될 것이다. While the argument that local policy or planning affects individual’s health is not new, it has yet to be further explored how effective it is and how fairly citizens benefit from diverse health-friendly policy or programs. This manuscript examines local policies’ health impact from two perspectives: effectiveness and equity. At the outset, we review relevant theories and practices, including health disparities and Korea’s health city initiatives. The issue of health equity embrace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is paper shows a different way to measure if the two values are compatible or mutually-exclusive, employing a new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how the two can be reconciled. Possible measurements for both values are also examined. Future empirical analyses, based on a framework explored in this paper, would reveal more empirical evidence to explain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effectiveness and health equ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준공영제 등 시내버스체계 개편의 과정과 성과 평가

        이시철(Lee Shi-Chul),유세종(You Sejo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08 도시 행정 학보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report and discuss the restructuring measures over the past years on city bus system in Daejeon, with much emphasis on the transition to 'semi-public bus system.' Public bus has long been observed not only in academia but in the real world. Daejeon, following Seoul, launched a new bus system in 2005, together with a mixture of reform policy tools. This paper summarizes the policy process of the new approaches and attempts an early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s of the general bus users, bus companies, and city government. Various literatures along with government materials are reviewed at the outset of the study; an empirical survey targeting the citizens were also conducted in 2007 in order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the new scheme has been effective. The analysis shows mixed results. While some measur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raffic card and free-transfer system received welcome from most respondents, neither the semi-public bus system nor bus route change appeared to be as effective as initially intented to. Additionally, City Hall's increasing financial burden is not the least concer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시정책과 토지 다이어트의 건강영향 모색

        이시철(Lee, Shi-Chul) 한국도시행정학회 2012 도시 행정 학보 Vol.25 No.1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rationales and the virtues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individual and urban health, and moves on to how specific nature of urban policies can positively affect citizens"physical and, perhaps, mental health. Existing literatures regarding government-healthand planning-health linkage are reviewed. The concept of "land diet," which is not exactly familiar in academia, is elaborat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critical dimensions: spatial, temporal, and internal. The discussion of how these different features of land diet will likely have impact on individual and community health is follow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issues. The focus of the paper revolves around how such an individual interest of health can be interwined in civic arena over urban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