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따뜻함의 메타포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욕구와 공감을 중심으로

        이시내 ( Sinae Lee ),민동원 ( Dongwon Min ) 정보통신정책학회 2021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8 No.4

        감각을 통한 경험은 해당 경험이 가지고 있는 ‘메타포(Metaphor)’를 통해 판단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특히 후각과 관련하여, 따뜻한 향의 시뮬레이션이 활성화시키는 메타포 연관 개념이 판단과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사람들이 따뜻함을 지각할 때, 따뜻함이 내포하고 있는 ‘배려,’ ‘온화함,’ ‘가까움’과 같은 의미의 메타포 연관 개념들이 함께 활성화되는데, 이렇게 활성화된 개념은 다른 사람을 돕거나 관계 맺는 것에 대한 경향성을 커지게 한다. 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따뜻한 자극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사회적 연결욕구를 높여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감각 자극 중 후각을 활용하였고, 이의 시뮬레이션을 통한 메타포의 활성화가 친사회적 캠페인의 참여의도(실험 1)와 친사회적 상품의 구매의도(실험 2)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따뜻한 후각 자극의 시뮬레이션은 해당 향을 시뮬레이션 하지 않았을 때보다, 피험자들을 보다 친사회적 행동을 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관계는 사회적 연결욕구에 의하여 매개되었으며(실험 1과 2), 사회적 연결 욕구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조절효과는 사회적 연결욕구가 낮을 때만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연결욕구가 높을 땐, 광고에 대한 공감의 수준과는 관계없이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실험 2). 정리하면, 본 연구는 따뜻한 후각 자극의 시뮬레이션이 친사회적 캠페인의 참여의도와 친사회적 상품의 구매의도라는 소비자의 친사회적 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기업들이 친사회적 캠페인을 진행할 때 소비자의 참여를 이끄는 데 있어 전략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단절이 주는 불안과 고립감이 심화되는 요즘, 사람들 간의 연결감을 회복하면서도 친사회적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수단으로도 본 연구결과가 유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Experiences through the senses influence judgments and behavior through the ‘metaphor’ of the experi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metaphorrelated concepts activated by the simulation of a warm scent on judgment and choice in relation to olfactory sensations. When individuals perceive warmth, metaphor-related concepts such as ‘caring,’ ‘gentleness,’ and ‘closeness,’ all attributes that warmth implies, are activated.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simulation of warm olfactory stimul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prosocial behavior promoting public interest by increasing the need for social connectedness. This was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Specifically, th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a prosocial campaign (Exp. 1) and purchase prosocial products (Exp. 2) were surveyed. The simulation of a warm olfactory stimulus (i.e., vanilla scent) had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the person's need for social connectedness (Exp. 1 and 2). The effect of the metaphor of warmth on prosocial behavior exists regardless of the empathy level of the content (Exp. 2).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imulation of warm olfactory stimul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jects’ participation in prosocial behaviors, such as the intention to join a prosocial campaign or the intention to purchase a prosocial product. The result applies as an effective tool when companies conduct campaigns related to their prosocial practices, and the anxiety and isolation among their audience (for example caused by pandemic-related social disconnectedness) interferes.

      • KCI등재

        항공사 e-서비스스케이프가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시내 ( Sinae Lee ),전명숙 ( Myungsook Jeon )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arketing implications for what functions and attributes are provided in the composition of airline websites and the provision of related service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airline e-servicescapes, trust and intent to purchase. The survey to carry out this study was conducted online for those who had accessed the airline's website within the last three years, and finally, 224 copies were used as empirical analysis data.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ypothesis1, 2, and 3 were adop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in the verification of the impact relationship with airline e-servicescapes and the intent to purchase was shown to be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sequently, the implica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an environment based on web standard technology will need to be stablished in which airline website users can access any device. Second, taking into account visual factors, the establishment of consistent websites with airlines' social media, logos, posters, etc.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in order to improve consumer interaction, airlines will need to design websites to promote through reviews and oral traditions among consumers through advertising and promotion through SNS such as Facebook and Instagram. In addition, a future study suggested that more multiple-choice e-servicescapes will be developed for airlines.

      • KCI등재

        볼프강 쾨펜의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공간서술

        이시내 ( Lee Sinae ) 한국괴테학회 2016 괴테연구 Vol.- No.29

        20세기의 문예학 서술이론이 주로 시간적 관점에 근거하여 서술시간과 서술된 시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집중한 반면, 21세기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작품속에 나타나는 공간과 공간성이 어떤 양상을 띠고 있으며, 이는 현실의 공간개념과 어떤 차이를 가지는가 하는 데에 있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현대사회에서 공간개념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는지 강조한다. 한편,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소통체계의 발달로 오늘날의 공간은 물리적 영토, 국가, 고향등과 같은 전통적 의미를 잃어가고 있으며, 점차 가상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비록 공간개념이 급속히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한 개인의 정체성은 자신의 고향 공간과 분리시켜 생각될 수 없다. 일찍이 볼프강 쾨펜이 꿈꾼 유토피아적 공간은 베를린이었다. 1920년대의 베를린은 많은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모여드는 유럽의 대표적 대도시였다. 어머니의 죽음 후 출생지 그라이프스발트를 떠나온 쾨펜은 `베를린 뵈르젠 쿠리어 Berliner Borsen-Courier`에서 일자리를 얻었으며, 작가로서의 길을 갈 수 있었다. 마르셀라이히 라니츠키는 쾨펜의 작품이 보여주는 현대성을 누구보다 먼저 발견하였으며, 그를 타고난 `아스팔트 작가 Asphaltliterat`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쾨펜이 베를린을 좋아했던 이유는 무엇보다 그곳의 여러 카페들에서 느낄 수 있는 자유롭고 지적인 분위기 때문이었다. 특히 그가 자신의 `영혼의 고향`이라고 부른 카페가 바로 로마니셰스 카페이다. 쾨펜은 1965년 `카페하우스 Ein Kaffeehaus`라는 제목으로 자신이 사랑했던 마음의 고향에 일종의 오마주를 남겼는데, 4쪽 분량에 달하는 단 한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극도로 이례적인 언어구조물 안에서 그가 말하고자 한 주제는 중세로부터 낭만주의를 거쳐 프로이센 제국과 나치즘에 이르기까지 독일민족이 걸어온 역사와 변화의 모습들이다. 텍스트는 거대한 분량의 역사적 시간이 언어의 가장 작은 단위 혹은 공간으로 축약된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폭격과 함께 자신의 `비밀스런 조국 geheimes Vaterland`은 사라졌지만, 작가는 텍스트에서 기억의 공간을 재생산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창조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브랜드 진정성이 구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시내(Sinae Lee),민동원(Dongwon Min) 한국경영학회 2016 經營學硏究 Vol.45 No.4

        Recently, many corporates, for example Aveda, Lush, Kiehl’s, make a great effort to promote their brand’s authenticity to enhance the corporate-customer relationship, which in turn improve consumers’ brand loyalty and purchase.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ors which influence the effect of brand authenticity on consumers’ responses. When consumers perceive that brand has authenticity, they are likely to perceive low risk on the choice of the brand because they judge the brand is trustworthy, which means the consumers save their effort to judge and choose the br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when consumers feel that they make less effort (e.g., time, money, cognition, etc.), they are satisfied with the target more. Fluency literature also shows that the ease with which individuals perceive a target leads to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target. In the perspective of effort saving strategy, individuals often evaluate the level of trust of a target using various heuristics which are inexpensive processing strategies. Based on literature, the authors expect that brand authenticity positively affects the perception of effort saving, in turn, increases trust on the brand, because brand authenticity helps consumers to use efficient strategy. In the experiment using an advertisement and consumer review, we investigates whether consumers’ effort saving perception and trust on brand mediate the effect of brand authenticity on word of mouth (WOM) and purchase intention. Results show that the brand with (vs. without) authenticity leads more positive effect on WOM and purchase intention. Moreover, this process is mediated by participants’ effort saving perception and trust on the brand. Specifically, Contrast reveals that <brand authenticity à effort saving à brand trust à DVs> is stronger than <brand authenticity à brand trust à DV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effort saving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n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authenticity, brand trust, and consumer responses. Based on our findings,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research idea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경영자 능력과 감사 전 재무제표에 관한 연구

        김응길(Kim, Eunggil),이시내(Lee, Sinae) 한국국제회계학회 2021 국제회계연구 Vol.- No.95

        [연구목적] 본 논문은 경영자의 능력이 감사 전 재무제표와 감사 후 재무제표의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두 재무제표 사이에 총자산, 총부채, 매출액, 당기순이익 차이가 경영자 능력에 따라 차별적인지 분석한다. [연구방법] 2014년 개정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이 개정되어 상장사는 감사 전 재무제표를 사전에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되어있다. 감사 전 재무제표는 감사인의 의견이 반영되기 전 경영자의 의도와 주장이 잘 나타나있다.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상장 법인의 감사 전 재무제표 자료를 활용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 감사 전 재무제표의 총자산, 총부채, 당기순이익은 경영자 능력이 높을수록 감사 후 재무제표와 차이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 능력이 높을수록 감사전 재무제표의 당기순이익에 대한 과소계상 경향이 증가함을 실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당기순이익을 보고한 표본은 경영자의 능력이 높을수록 당기순이익 차이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당기순손실 표본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 능력이 회계정보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관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영자의 특성, 능력이 회계정보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 중 전체의 감사 전 재무제표 자료를 처음 활용하는 실증연구이다. 그 동안의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감사인의 의견이 반영된 회계정보를 활용하여 경영자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았거나, 제한적인 자료를 활용하였다면 본 연구는 표본의 범위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differences between preliminary accounting information by listed firms and reported information. [Methodology] According to prior studies, more able managers are not likely to select opportunistic behavior due to their high reputation. In addition, they tend to strictly apply accounting standards by strengthening internal controls and monitoring, and are likely to measure and recognize more reasonably based on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firm’s business as well. Thus more able managers expect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audit to be low. Therefore, we predict that high managerial ability would decrease the difference between unaudited and audited accounting information. [Findings] The main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the difference in total assets, total liabilities and net income. Next, more able managers are more likely to underestimate the net income of the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Lastly, in the group reporting positive net income, the difference in net income decreases as the manager’s ability increas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sample reporting negative net income. Overall,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tone of previous studies that managerial 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counting attributes. [Implications]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use accounting information reflecting the opinions of auditors or use limited data. However,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r’s characteristics on accoun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unaudited accounting information of all KOSPI-listed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