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갑상선의 저분화 "도암종"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 1례 보고 -

        이승숙,하창원,조경자,장자준,Lee, Seung-Sook,Ha, Chang-Won,Cho, Kyung-Ja,Jang, Ja-June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1994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5 No.1

        저자들은 접할 기회가 흔치 않은 갑상선의 저분화암종인 일명 "도암종"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1예를 경험하고 조직학적으로 확인하였기에 문헌검색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흡인 도말된 세포들은 비교적 깨끗한 도말배경에 중등도 이상의 높은 세포밀도를 보였으며, 세포들은 개개로 흩어지는 양상과 판상의 군집을 이루는 양상이 어우러져 관찰되었다. 때로 세포들이 소포배열을 이루는 곳도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종양세포들은 비교적 비슷한 크기와 모양을 나타내었으나 일부의 세포들은 현저한 다형성을 보였다. 일부의 세포에서 핵에 주름을 보였으나 소수에 불과하여 이는 어떤 갑상선병변에서나 관찰할 수 있는 비특이적 변화로 간주되었다. 세포의 겹침이 별로 없이 높은 세포밀도를 보이는 점, 세포가 개개로 흩어지는 양상과 소수 다형성이 현저한 세포의 혼재 등은 본 종양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소견을 염두에 둠으로써 수술전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 case of poorly differentiated "insular" carcinoma of the thyroid is presented and discussed with references to the literature. U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our case, the aspirates were highly cellular with tumor cells appearing as dispersed isolated cells as well as in dense clusters and syncytial formations. Occasional microfollicles containing colloid were evident. Most of nuclei were fairly uniform with considerable variability and a few showed definite atypical features. Nuclear grooving was additional features. Necrotic debris was not seen. Our cytologic findings were correlated well with histology, confirming typical insular pattern of tumor cells with the presence of occasional pleomorphic cells and papillary carcinoma-like features. With much attention to cytological features of insular carcinoma, it would be possible to diagnose a preoperative suggestive diagnosis, even though not definitive.

      • 타액선병변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이승숙,박인애,함의근,이상국,Lee, Seung-Sook,Park, In-Ae,Ham, Eui-Keun,Lee, Sang-Kook 대한세포병리학회 1993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4 No.2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has become a frequently used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lesions in the head and neck.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e salivary glands were performed on 66 patients. In 59 patients with satisfactory samples, cytologic diagnoses were as follows; there were 47 benign lesions, including pleomorphic adenoma(20), Warthin's tumor(3), benign cystic lesion(4), Inflammatory lesion(4), lymphoid lesion(3), myoepithelioma(1), unspecified benign neoplasm (5), and unclassified benign lesion(7). There were 6 cases of undetermined malignancy and 6 malignant lesions including mucoepidermoid carcinoma(3), adenoid cystic carcinoma(1),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1), and metastatic carcinoma(1) in cytologic diagnosis. In 25 patients, the cytologic diagnosis was correlated with histologic findings. The sensitivity of the benign lesion was 96% and the specificity was 82%. There was no false-positive diagnosis.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pleomorphic adenoma were 75% and 95%, respectively. Some of Warthin's tumors were confused with benign cystic lesion due to frequent cystic change of the tumo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alignant lesions were 56% and 88%, respectively. There were three false negative diagnoses. Two mucoepidermoid carcinomas were correctly diagnosed by cytology. Two of three adenoid cystic carcinomas were misdiagnosed as benign tumor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학적사고로 본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연구-여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승숙 ( Lee Seung 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6 No.-

        회화예술이 갖는 美的 意味와 哲學的 價値를 통해 時間과 空間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의도이다. 동양회화의 기본원리는 對立과 呼應같은 관계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는 儒敎, 道敎, 佛敎와 같은 東洋哲學이 그 基底에 있다. 특히 여백은 동양회화의 표현기법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무한한 자유를 상징하는 체계로서 자리 잡고 있다. 여백의 무한한 경계는 시각적으로 도달 할 수 없는 부분인 동시에 筆墨으로 표현 할 수 없는 영역이다. 여백은 잔잔하고 고요한 가운데 많은 뜻을 함축하고 있고 그 깊은 곳에서 배어나오는 아름다운 자태를 표현하는 것이 동양의 마음을 담은 그림이다. 동양예술은 기교의 강조 보다 여백을 지향해 왔는데 이는 시간적으로 無限이면서 공간적으로 아직 未完이기도 한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how our conception and awareness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by philosophical value of esthetic meaning the Fine Art has. The basic principle of Oriental painting is based on relationships such as confrontation and harmoniz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influenced by oriental religions like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Emptiness especiall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n essential way of expressing, symbolizing the unlimited freedom of time and space. The unlimited frontier of emptiness is an unreachable area of visual attraction, also inexpressible area of oriental painting. The emptiness implies a lot of meanings in its calmness, and it can be called an Oriental painting when the inner beauty of the painting itself is taken out by the emptiness. The Oriental Arts have not been about techniques, it have been about the emptiness. It symbolizes both the unlimited potential of time and the imperfectness of spac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승숙(Lee, Seung-Suk),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를 주제로 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분석․고찰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의 경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7년 10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다문화가정 영유아 및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 경험 또는 이중언어 교육을 주제로 한 논문 총 89편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연도별,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부터 최근까지 이중언어 관련 논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2012년「다문화 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이 발표되고 이중언어 교육 강화를 추진과제로 설정하면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이와 관련한 연구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연구주제는 이중언어 관련 이론 및 정책 방안 모색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실태 조사, 인식 및 태도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부모대상 연구가 많았으며, 특히 결혼이민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유형을 분석한 결과 질적 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연구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분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bilingua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looked at 89 published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sis papers from 2006 to October 2017. The analyzed research topics included infant and child bilingual language usage, experience and bilingual education. These conclusions then became the foundation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garding bilingua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the result of the annual research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a sharp increasing trend in bilingual research from 2012 to present. In 2012, the government started a policy to strengthen bilingual education. As a result, interest and research in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d from 2012. Secondly, the analysis of research themes showed that bilingual related theories and research to create new government policies had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ing this, the two most popular themes were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ism and development. Third,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children and infants were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s. After children and infants, adults were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s. If we separate adults into mothers and fathers, father based papers were especially insufficient as there were only 3. Fourth, analysis of research types showed that qualitative research,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as the most popular. Following this, quantitative method was the most popular and within quantitative papers, difference analysis was the most popular.

      • KCI등재

        권리로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담론분석

        이승숙 ( Lee Seung-suk ),남기창 ( Nam Ki-ch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4

        본 연구는 권리로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놀이 현황 및 유아의 놀이 활성화를 위한 어머니들의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는 어머니 10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유아기 놀이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가 누려야 할 기본 권리로서 놀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유아의 놀이현황을 살펴보면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놀이 시간이 부족하고, 유아의 연령, 형제여부, 주거형태 등에 따라 놀잇감 및 놀이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유아들은 대부분 가정에서 놀이를 하거나 실외 놀이터 보다는 블록방, 문화센터와 키즈카페 등 상업적인 놀이 공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의 놀이 활성화를 위해 어머니들은 선행학습을 조장하는 사회적분위기의 변화, 놀이와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 놀이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기를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들에게 권리로서 유아의 놀이의 본질과 가치, 중요성을 알리고 가정에서 유아의 놀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We conducted interviews targeting 10 mothers to look into mot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Here are the results of our research. First, mothers fail to understand that children have the basic right to play. Second, the older the young children get, the shorter their time for play become, and play materials and play pattern varied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siblings status, and types of housing.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young children`s play, mothers say strongly that social atmosphere of encouraging the prerequisite learning must be changed. They also demand the development of play-related programs and securing of the space for play. Finally our research suggest the necessity of national support to advocate to mothers the nature, value and importance of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o revitalize young children`s play at home.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이승숙(Lee, Seung Suk),송나리(Song, Na Ri),배지희(Bae, Ji H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놀이에 대해 교사들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의 놀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놀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유아의 놀이란 유아 스스로가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교사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활동이라 하더라도 유아들이 즐거움을 느낀다면 그 역시도 놀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놀이를 유아들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교사가 유아의 놀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갈등을 느끼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많은 업무로 인하여 유아의 놀이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유아들과 놀이를 할 시간이 부족할 때 갈등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열악한 놀이 환경 속에서 갈등을 느끼고 있었으며 최근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 놀이가 제한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놀이의 신념과 맞지 않는 상황일 때, 놀이규칙과 유아의 자유로운 선택 사이에서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play and the tension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s playtime at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4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that they highly value children’s joy and pleasure in play. The teachers felt that activities planned by teachers could also be considered as play if children experienced joy and pleasure in the activity. In addition, teachers thought that children should be allowed to make their own choices for pla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eachers experienced tensions due to inadequate preparation time for children’s play as well as lack of time to play together. Further challenges included poor play facilities for play, restrictions in outdoor play activities due to the fine dust air pollution problem, and classroom rules that were in conflict with children’s freedom in play activities.

      • KCI등재

        이중언어 교육지원 과정에 참여한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의 어려움 및 변화 과정

        이승숙(Lee Seung Suk),배지희(Bae Ji-H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과정에서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 지 살펴보고, 이중언어 교육지원 후에 나타나는 어머니와 자녀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4쌍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 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이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과정에 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정보 부족과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주 의 사람들의 부정적인 시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교육기관으로 자녀의 언어 환경이 변화하 는 과정에서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언어 교육지원 과정에 참여한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역량이 강화되었고, 자녀의 이중 언어 교육에 대한 신념을 보다 확고히 하게 되었다. 이중언어 교육 지원을 받은 가정의 유아들은 어머니 모국어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점차 균형적인 이중언어 발달을 보이게 되었으며, 부모 나라의 두 언어와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iculties and changes of Chinese immigrant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ilingual education support.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with four Korean-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bilingual education support. The results indicate that Chinese immigrant mothers showed lack of information on bilingual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i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using mother’s language with their children. The mothers also reported that children began to use more Korean and less Chinese as they entered kindergarten, which made it even more difficult for them to encourage bilingualism. Mothers of Korean-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became more competent in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using both Korean and Chinese after participation in bilingual education support in this study. They also became more convinced about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The children developed positive attitude toward bilingualism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using both Korean and Chinese. Bilingual education support provided for the familie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lso helped the children establish their identity in two cultu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