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 과제별 역량 분석 연구: 순위합법을 중심으로

        이슬아(Seul A Lee),한은정(Eun Jung Han)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2

        요약: 이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의 추진 과정에서 각 시도교육청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보다 실제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지방교육자치 추진 과제별로 필요 역량과 이들 중 중요 역량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계와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전문가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순위형 다중응답분석 방법 내 순위합법 방식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방교육자치 과제 추진을 위해 지방교육행정기관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과제별로 다양하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 조직, 개인 차원의 역량이 모두 필요하지만 특히 개인의 역량이 보다 많이 중요 역량으로 분석되어, 선행연구에서 개인 단위의 역량이 강조되어 온 것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법령 및 재정과 관련한 일부 특수한 과제를 제외하고는, 지역과 학교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을 바탕으로 정책을 기획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방교육자치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체별 역량을 규정하는 접근이 아니라, 각 추진 과제별 중요 역량에 초점을 두고 이를 계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방교육자치의 추진 방향이 학교나 지역교육의 자율화와 다양성 제고에 있으며, 지방교육행정기관이 이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면서 이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order to examine the competencies that each provincial and local education office should possess in the context of promoting local education autonom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for each task associated with advancing local education autonomy. The survey of experts' perception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ranking method within the ranking multi-response analysis metho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carry out tasks related to local educational autonomy vary by task. While competencies at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are all deemed essential, individual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as particularly crucial. These results align with previou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competencies. Furthermore, with the exception of specialized tasks related to laws and finances, the ability to plan and support policies throug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with regions and schools was highlighted as vital. Thes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key competencies for each initiative to promote local educational autonomy. They also indicate that local educational autonomy involves bolstering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schools and local education, with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ies assuming a pivotal role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 advance these objectives.

      • KCI등재

        병원성 박테리아 검출용 헤테로다인 복조 기반 광섬유 바이오 센서

        이슬이(Seul-Lee Lee),고영종(Youngjong Ko),김장현(Jang Hyun Kim),강현욱(Hyun Wook Kang),이용욱(Yong Wook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4 No.11

        In this paper, we demonstrated an optical fiber biosensor based on heterodyne demodulation to detect five pathogenic bacteria species forming biofilms, such as Escherichia Coli, Vibrio Vulnificu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Iniae, with their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sensor detects the fluorescence of the five bacteria species with the intrinsic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amino acid tryptophan, whose excitation and emission wavelengths are 280 and 350 nm, respectively. The fabricated sensor consists of an UV light source for excitation of bacteria, a high sensitivity detector for detection of fluorescence signals emitted from the excited bacteria, and a lock-in amplifier for amplification of the detected fluorescence signals. The lock-in amplifier can remove various noise signals coupled with the desired fluorescence signals and amplify the magnitude of the desired signal through the heterodyne demodulation technique. This signal processing technique enables the detection of the weak picowatt (pW) fluorescence signals.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our sensor can successfully detect the intensity of the fluorescence signal emitted from five pathogenic bacteria species whose concentration lies within 10² to 10<SUP>7</SUP> CFU/ml.

      • KCI등재

        직교 입력 편광에 따른 위상 천이 장주기 격자의 pH 및 온도 응답에 관한 연구

        이슬이(Seul-Lee Lee),이용욱(Yong Wook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5 No.3

        In this paper, we demonstrated an optical fiber sensor based on a phase-shifted long-period fiber gratin g (PS-LPFG) that could realiz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urrounding pH and temperature variations. The PS-LPFG composed of a grating-free fiber region (GFFR) in the middle of two identical LPFGs was fabricated on high-birefringence fiber (HBF) with CO₂ laser pulses. In addition, a π phase shift formed by setting the length of the GFFR as half of the grating period of an LPFG allows a transmission dip to split into two attenuation bands at two different resonance wavelengths. Since HBF can preserve a linear state of polarization (SOP) if the input SOP is aligned with one of its two principal axes (fast or slow axis), a PS-LPFG inscribed on HBF (HB-PS-LPFG) can create two different transmission spectra for two orthogonal input SOPs, i.e., linear horizontal polarization (LHP) and linear vertical polarization (LVP). To investigate pH and temperature responses of the fabricated HB-PS-LPFG, the dip wavelength separation bet ween two different attenuation bands was used as a sensor indicator for an LHP or LVP input SOP. Consequently, pH- and temperature-induced wavelength variations of the two sensor indicators showed linear and independent spectral responses to both pH and temperature variations in a pH range from 3 to 11 and a temperature range from 25 to 65 °C. With these unique pH or temperature responses of the two sensor indicators, the fabricated sensor could realiz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pH and temperature.

      • KCI등재

        한국, 미국, 호주의 통합운영학교 관련 정책국제 비교 연구 :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이슬아(Seula Lee),이연우(Yeonwoo Lee),한유경(You-Kyung H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기존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통합운영학교 정책이 현재 미래학교의 중요한 학교 모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사회적 맥락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해외 사례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통합운영학교의 방향을 탐색하고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통합운영학교 정책을 구성하는 구조, 제도, 행위자의 상호작용과 전체적인 맥락을 한국, 미국, 호주의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통합운영학교 정책은 인구학적 변화에 대한 사회적 대응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연계를 통해 미래사회에 대비하고자 하는 대안적인 학교 모형으로서 획일적이고 경직되어 있던 학교제도의 변화를 가지고 왔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로의 전환과 정책 패러다임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미국은 학교 재정 및 교육의 질 제고의 연장선상에서 통합운영학교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호주는 도·농간 교육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복지차원에서 농촌지역의 통합운영학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미국과 호주의 통합운영학교 정책은 경로의존성을 띠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결론] 한국의 통합운영학교 정책이 새롭게 설정한 정책 목표와 의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통합운영학교 관련 정책을 단계적으로 보완 수정하여 미래의 불확실성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Purpose] South Korea is experiencing a rapid decrease in school-aged population due to a low fertility rate. Combined schools, which have been centered on rural areas, are currently being presented as an important school model for the future.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of combined schools in Korea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system improve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changes in social contexts and analysis of international cases. [Research Method]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interactions between the structure, institutions, and actors and overall contexts of combined school policies by comparing case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Results] Korea’s combined school policy can be understood as a changing policy paradigm in that it is not only a social response to demographic changes, but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school model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By contrast, combine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re aimed at improving school finance and educational quality, and Australia is promoting combined schools in rural areas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equit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combine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have the tendency of path dependence. [Conclusion] In order to realize the newly set policy goals of combined schools, it is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systematically respond to future uncertainties by taking necessary steps to improve and revise policies concerning combined schools.

      • KCI등재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 시각적 특징 분석 - 서울 소재의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의 2010년~2015년 포스터를 중심으로-

        이슬예리 ( Lee Sl Ye Ri ),박수진 ( Park Soo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1980년대 컴퓨터의 대중화와 디지털 폰트의 개발로 한글 레터링에 대한 관심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캘리그라피와 한글 레터링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매체에 다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본고는 문화예술 포스터의 타이틀의 경우 한글 레터링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으며, 시대성을 빠르게 반영하는 매체의 성격상 레터링 표현 역시 다양하게 시도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글 레터링의 개념과 시대적 흐름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에 나타난 한글 레터링의 조형적 분석을 통해 시각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인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는 서울 소재의 연 관람인원 100,000명 이상인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으로 한정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 동안 열린 공연, 전시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을 분석하였다. 한글 레터링 분석을 위해 글자 표현 유형을 부리형, 민부리형, 구상적 장식형, 비구상적 장식형, 복합 유형으로 분류하여 한글 레터링 사용 면적 비율, 포스터에 사용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SD조사연구방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2011년을 제외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의 활용이 꾸준히 증가하며, 구상적·비구상적 장식형의 증가와 복합 유형이 새롭게 등장한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구상적·비구상적 장식형, 복합 유형은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전시 이미지 보다 문자를 주된 시각 요소로 적극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한글 레터링이 타이틀로서의 정보 전달 기능뿐 아니라, 포스터의 주요 시각 요소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복합 유형은 2011년 이후 사용이 빈번해졌으며, 한글 레터링을 전면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이 두드러졌다. 이는 최근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에 나타난 한글 레터링 활용의 큰 변화로 볼 수 있다. 연구 주제인 한글 레터링의 조형적 분석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표현 방법이 어우러진 특징으로 인해 세분화된 분류와 분석의 한계점이 다소 있었다. 하지만, 한글 레터링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해당 활용 분야와 흐름을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조형적 측면의 한글 레터링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font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computer in 1980s, the concern for the Hangeul lettering declined. However, as the public concern for the calligraphy and Hangeul lettering heightened in 2000s, it began coming on the scene again through various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 and the time flow of the Hangeul lettering theoretically and determine visual feature through the formative analysis of the Koran lettering appearing in the domestic culture art posters. The letter expression type was classified into the serif type, sans serif type, objective decoration type, non-objective decoration type, and complex type for the Hangeul lettering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e use of the Hangeul lettering of the domestic culture art poster increased steadily from 2010 to 2015 except for 2011, and the objective/non-objective decoration types increased and the complex type appeared newly. Also, these types displayed a tendency of using the letter actively as the main visual element, from which it was confirmed the Hangeul lettering was being used as the main visual elements of the poster. In the formative analysis of the Hangeul lettering, a study theme, there was a limit of the subdivid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due to the feature that various and complex expression ways were in harmony.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use field and flow of the Hangeul lettering at this point in time that the Hangeul lettering is increasing,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of the Hangeul lettering research of the formative aspect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생의 학사경고에 관한 원인 탐색 : P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슬이(Lee Seulyi),김은정(Kim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사경고에 관한 원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P국립대학 재학생 중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2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사경고 경험 2회 이상이 있는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학사경고의 주요 원인으로 학습동기부족, 심리적요인, 학습전략, 전공불일치, 기초지식 부족이 나타났으며 심층 인터뷰 결과에서는 학사경고의 주요 원인으로 전공불일치로 인한 학습동기 저하, 치열한 입시준비로 인한 심리적 소진, 낮은 자신감과 열등감으로 인한 학업포기,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학습 무기력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추후연구에서의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causes of academic prob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8 students who had experience with academic probations in P University in Busa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nine students with more than two academic probations through mixed method research.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ain causes for academic probations were lack of academic motivation, psychological factors, absence of learning strategy, mismatch in major field, and lack of basic knowledg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revealed poor academic motivation due to mismatch in major field, psychological exhaustion due to intense preparation for entrance exam, abandonment of study due to low self-confidence for study and inferiority complex, and learning helplessness due to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on studies.

      • KCI우수등재

        초기 인지능력과 유아기 지능 간의 관련성

        이슬아(Seul Ah Lee),이순행(Soon-Hang Lee),방희정(Hee-Jung Bang)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6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ental development and preschool intelligence. Methods: A total of 51 children were administered with the Cognitive scale and Language 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3rd Edition (K-Bayley-III); after one year, K-WPPSI was used to measure preschool intelligence. Results: First, the K-Bayley-III Cognitive and Language sca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Verbal, and Full-Scale IQ (PIQ, VIQ, and FSIQ) in the K-WPPSI. Second, the strongest predictive variable for VIQ was language development, followed by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K-Bayley-III . In addition, the predictive variable that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PIQ was the K-Bayley-III cognitive development index. Finally, the Cognitive and Language scales of the K-Bayley-III had an appropriate level of discrimination, and the cut-off composite scores of the K-Bayley-III were also adjusted 2-3 points below 85 for predicting at-risk delay, as defined by the K-WPPSI.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ontinuity of cognitive performance across early childhood. The K-Bayley-III , which includes the Cognitive and Language scales from the Mental scale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BSID-II ), is a useful and valid test for predicting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의 속성이 고객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슬아 ( Lee Seulah ),정재희 ( Chung Jae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IT 기술의 발전 및 인건비 상승과 더불어 언택트 문화의 확산으로 최근 유통업계에서 무인매장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인매장은 고객보다는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조성되어 있다. 현재의 무인 매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객 경험을 강화하는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인매장 고객 경험의 핵심속성을 도출하여 각각의 속성이 고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무인매장의 현황, 무인매장에 관한 선행 연구, 서비스스케이프의 구성 요소와 효과를 고찰하였다.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의 핵심가치를 도출하기 위해 무인매장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과 UX/서비스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13개의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총 1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핵심가치를 네 가지 속성으로 분류한 후, 해당 속성이 고객태도와 지속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 속성은 개인화, 접근성, 즉시성, 개방성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그 중 즉시성이 고객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다음은 개방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화와 접근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태도는 지속의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매장과 유사한 경험(개방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인매장만의 독특한 목적(즉시성)에 적합한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 무인매장은 성장 초기단계로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한 분야이다. 서비스의 기본 조건으로 여겨지던 인적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무인매장에 있어서 공간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고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소와 속성에 대한 연구는 심도 깊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무인매장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의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추후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expansion of untact culture along with the high labor cost and the advanced IT technology, recently the number of unmanned stores is rapidly on the rise in retail industry. However, most of the unmanned stores are designed in the perspective of the supplies rather than customers. In order for the current unmanned store to grow continuously, a servicescape design that enhances the customer experience is essential.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ore attributes of customer experience in unmanned store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each servicescape attribute on customer attitude. (Method) The study herein conducted both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in parallel. First, through reference study, the status of unmanned stores, the precedent studies on unmanned stores, and the elements and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were observed. To draw out the core values of the servicescape of unmanned st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ustomers with experience in unmanned stores and UX/service design exper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7 people based on 13 core values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rst, through an element analysis, core values were classified into four attributes, and then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n customer attitude,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analyzed. (Results) The attributes of the servicescape of unmanned stor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ersonalization, accessibility, immediateness, and openness. Among them, immediatenes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ustomer attitude, followed by open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personalization and accessi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ustomer attitude affects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conclusion, a design strategy of the servicescape suitable for the unique purpose(immediateness) of unmanned stores is required, while providing an experience similar to that of existing manned stores(openness). (Conclusions) Unmanned stores are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therefore sufficient amount of study in this area has not been carried out. The role of space in unmanned stores is even more critical because human service, which has been considered the basic condition of service, is not provided. However, so far studies on detailed factors and attributes that influence customer behavior has not been conducted in depth.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servicescape of unmanned stores as basic reference and to contribute to boost the future study on the servicescape of unmanned stores.

      • KCI등재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 분석

        이슬비범(Seul-Bi-Bum Lee),유기웅(Ki-Ung Ryu)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2

        본 연구는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교육요구 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행동사건인터뷰를 통해 장례지도사의 역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안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 수정되었다. 역량모델이 적합한지 점검하기 위해 장례지도사 53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은 모두 4개의 역량군과 14개의 역량 및 42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으며, 역량군과 역량 및 행동지표에 대해서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개의 역량군은 직무지식, 업무수행, 의사소통, 관계구축이며, 이들 역량군에는 장례업무 전문성, 종교절차, 공중보건 위생관리문제 해결, 감정 조절, 고객응대, 설득 및 영향, 공감형성, 소통협업, 갈등관리, 고객관계 구축 역량 등이 포함된다.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에 대해 설문을 통한 각 역량별 중요도와 보유도 및 교육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해 차이가 있어 교육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개발, 보건,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of the funeral director and to analyse the training needs. In order to do so,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devis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on the funeral director’s competency from literature reviews and behavioral event interviews. Through expert review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finally modified. To verify whether the competency model is appropriate, the survey was held toward 53 funeral directors. The competency model of the funeral director was consisted in a total of 4 competency groups and 14 competencies and 42 behavioral indicators. As the result of the validity analysis on the competency groups, the competency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it was confirmed to be valid. The 4 competency groups are job knowledge, job performance, communication, and building relationship. In these competency group it includes professional funeral work, religious procedures, solution on public health sanitation management, emotional control, response to customer’s needs, persuasion and influence, developing sympathy, cooperation in communication, managing conflicts, and competencies such as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s the result of each importance factor and possession degree as well as the training needs from the survey on the competency model of the funeral director, the difference was found in all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us the training need was confirmed. The results can be used for informing policy discussions and next steps with regards to the field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