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한 쇼핑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연구 -기내 엔터테인먼트(In-flight entertainment)시스템을 중심으로-

        박인영(주저자) ( In Young Park ),김명지(공동저자) ( Myeong Ji kim ),이슬(공동저자) ( Yi Seul Jung ),차은수(공동저자) ( Eun Soo Tchah ),이현진(교신저자) ( Hyun Jean Lee ),전수진(교신저자) ( Soo Jin J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인화된 관심과 사용자의 개입을 촉진할 수 있는 기내 서비스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나, 기내 미디어와탑승객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콘텐츠 및 서비스 디자인 방식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오락(in-flight entertainment)용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하여 여행하는 지역 및 문화와 관련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쇼핑경험과 컨텍스트에 대한 현상학적 이론 고찰을 통해 여행자의 컨텍스트적 정보에 기반한 탐색적 쇼핑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화적 브라우징이 정보 구조에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설문조사,관찰, 현장 인터뷰를 통해 쇼핑 경험에서 구현되어야 할 핵심 정보들을 선별하였다. 최종 디자인 프로토타입에서는 여행 목적지의 지도, 문화 스타일이미지, 선호 스타일 퀴즈로 구분된 세 가지 대화 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품 쇼핑 관련 정보와 선호 스타일을 탐색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기내 탑승객이라는 컨텍스트에 초점을 맞춘 쇼핑 서비스가 사용자의 여행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고 문화적 탐색 욕구와 연계된 쇼핑활동을 장려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need for in-flight service supporting personalized interest and user engagement is increasi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provided by in-flight media service and passenger’s context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proposing the interactive shopping experience, which offers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context. The explorative shopping experience as an interactive activity of tourists’ contexts is selected to be a research topic based on a shopping experience framework and phenomenological theory. In order to select core functions and contents to provide, the study executed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 of Chinese tourists in Seoul. aThe final prototype is designed for users to search contextual shopping information through the next three options: choosing the photos of tourist attractions, selecting preferred shopping style, and solving a quiz. It is discussed that a contextual shopping service might transform the in-flight shopping experience by mediateing the conversational relation between context and users.

      • KCI등재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슬아(Seul-Ah Lee),강선화(Seon-Hwa Kang),최원호(Won-Ho Choi),이인경(In-Kyung Lee),정상미(Sang-Mi Ju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1

        연구목적은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18년 4월 23일부터 5월 18일까지 경인지역 병원에 입원 중인 재활환자 7명을 대상으로 MMSE-K와 LICA를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고, 동작관찰프로그램으로는 상지 ROM 댄스, 풀 오버형 옷정리, 운동화 끈 묶기, 수건 개기, 양말 개기, 종이접기, 넥타이 매는 법 총 7가지 과제를 적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sion 20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Wilcoxon signed ranks을 사용하여 값을 구하였다.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한 결과 MMSE-K 점수는 3.29±1.38의 변화량을 보여 p값 0.001로 유의한 값을 보였고, LICA 점수는 기억력에서 12.16±6.73으로 가장 유의한 값이 나왔다. 결론은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영역 중 기억력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영역에서도 점수 향상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동작관찰훈련이 많이 사용되어 추후에는 뇌손상 부위별로 어느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the action-observation training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stroke patient’s cognitive functioning. When it comes to the research methods,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and Literacy Independent Cognitive Assessment (LICA) conducted to assess samples between 23 April and 18 May 2018. Samples are seven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in Kyung-In region. In the meantime, seven tasks such as the range of joint motion (ROM) dance, arrangement of pullover clothes, lacing-ups of a pair, folding up a facecloth and socks, the origami and tying a necktie implemented as the action-observation programme. In order to analys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aired t-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carried out via SPSS version 20 (a statistics programme). The change in value from MMSE-K showed its statistical significant as 3.29 (±1.38, p<.001) as well as value from LICA in recollective powers was 12.16 (±6.73), therefore, the statistic is sai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action-observation training most influenced recollective powers amongst stroke patient’s cognitive functioning areas. Even though development of cognitive functioning discovered in other areas, its values were possibly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ence, future research ought to demonstrate which areas action-observation training is effective according to brain lesion site.

      • KCI등재

        도시민의 도시농업 경험이 농촌체험관광에 미치는 영향

        이인환,이효정,이슬,전인철,김용근,Lee, In-Hwan,Lee, Hyo-Jeong,Lee, Seul-Bi,Jeon, In-Cheol,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도시민 중 도시농업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집단 간의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사와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로 도시농업의 경험유무를 구분하고 농촌체험관광의 참여의사, 참여이유, 불참이유, 긍정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농업의 비경험자와 경험자 간 비교분석을 하기위해 서울시 우수텃밭농장과 도심지 여가공간을 방문한 수도권 도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 경험자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지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체험관광이 가지고 있는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과 자녀교육효과를 가장 큰 목적으로 두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바쁜 일상생활 때문이라는 응답이 농촌체험관광 불참이유의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수긍하였고, 특히 집단 간 비교하였을 때 작물재배 및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농촌체험관광의 부정적 이미지로 집단 간 낯선 환경, 흥밋거리 부족, 농촌마을을 방문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시농업 경험 유무에 따라 참여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Y/N in participating the urban farming and to analyze the intention in farm village experience tourism, reason to participate and non-participation, the positive image and negative image between the urbanite group experience in urban farming and the other group that does not experience it.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to the metropolitan urbanite who visited exemplary field farmhouse and urban recreation space to analyze the comparison of groups that experience or do not experience urban farm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experiencing urban farming are relatively less i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than those who do not experience it. Second, the largest reason to participate in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is found to be the natural environment of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ity and the effect on children's education. Third, most answers on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is because of the busy daily life. Fourth, urbanite have positive image in general about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Especially, whe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was made, it wa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crops growing and the natural environment difference in the city. Fifth, about the negative image on the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it showed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unfamiliar scenery, shortage of eye catching and fun, and the necessity and cost between the groups. Consequently,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e recognition of the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on urbanite were checked, it was revealed that Y/N experience in the urban farming made negative influence to the willing.

      • KSAE 자작 전기자동차 트랙션 모터의 냉각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김영찬(Young Chan KIM),이인재(In Jae LEE),박정빈(Jung Bin PARK),장유정(Yu Jeong JANG),우솔휘(Sol Hwi WOO),이슬이(Seul-li LEE),백수황(Soo-Whang BAEK),이상욱(Sang Woo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9 No.11

        In this study, traction motor cooling duct for KSAE jajak EV wa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was validated by real vehicle driving tests. Traction motor cooling duct was designed by using general purpose commercial CAD program SolidWorks and prototype was manufactured via 3D Printing. Flow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predict cooling performance of cooling duct and it showed that the cooling duct can guide ram air to traction motor located in the backside of the jajak EV which can be helpful for the traction motor cooling. Coastdown test was performed to find the aerodynamic drag increase due to the cooling duc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rag increase can be negligible. Finally, cooling test was performed and the real results showed that the cooling duct can decrease the traction motor temperature by approximately 7 to 11 degrees during highloading driving condition with negligible increase of road-load.

      • KCI등재후보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흡기근 강화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비활동적 성인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슬기(Seul-Ki Kang),박지혜(Ji-Hye Park),이수연(Su-Yeon Lee),이슬인(Seul-In Lee),최단(Dan Choe),정찬주(Chan-Joo Jeong),강효정(Hyo-jeong Kang),유영대(Young-Dae Yoo)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2019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Vol.7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on respiratory function in sedentary adult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19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spiratory muscle training with ultrasound image(n=10), aerobic exercise(n=9). Both of group performed the exercise 3 times a week for 4week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wilcoxon test to compare before and after significant difference of factors on each groups and the mann-whitney test to compare two group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FVC, FEV1, VC, IC between the groups(p<.05).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eems that inspiratory muscle training with ultrasound image might be effective like aerobic exercise for sedentary adults.

      • KCI등재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국내 유통 식품 함유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정량 분석

        이슬(Lee-Seul Song),김영학(Young-Hak Kim),김기쁨(Gi-Ppeum Kim),안경근(Kyung-Geun Ahn),황영선(Young-Sun Hwang),강인규(In-Kyu Kang),윤성원(Sung-Won Yoon),이준수(Junsoo Lee),신기용(Ki-Yong Shin),이우영(Woo-Young Lee),조영숙(Young S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3

        식품의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일반적인 분석 방법은 Kjeldahl 및 Soxhlet 시험법과 같은 기존의 화학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방법은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고 많은 비용과 분석 시간이 소모되며 복잡한 추출과정을 거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식품 및 농산물 자원에 함유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을 근적외 분광분석법(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분석시료는 517종의 다양한 식품 시료를 예측모델 개발용 (calibration set) 412종과 예견치 분석용(validation set)162종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기존의 화학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된 성분들의 분석 결과와 근적외 스펙트럼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각 성분별 예측모델을 검토하였으며, 변형부분최소자승법(MPLS) 및 다양한 수처리와 산란보정을 이용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산란방식은 각각 weighted MSC, standard MSC 및 SNV only로 수처리는 각각 1차 미분(1st derivative, 4 nm gap, 5points smoothing, 1 point second smoothing), 2차 미분(2, 5, 5, 3) 및 1차 미분(1, 1, 1, 1)을 적용하여 예측모델을 검토한 결과 R2값이 0.971, 0.974 및 0.937로 높고 SEC값은 4.066, 1.080 및 1.890으로 낮은 최적의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세 성분의 최적 예측모델에 의한 상관도와 잔차 히스토그램을 검토한 결과 세 성분 모두 근적외 분광분석법 예측모델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적의 예측모델을 미지의 식품 시료 162종에 적용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r2(SEP)값은 0.987(2.515), 0.970(1.144) 및 0.947(1.370)로 r²값은 높으며 SEP값은 낮은 양호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방의 결정계수(R², r²)값은 탄수화물, 단백질에 비해 다소 낮은 양상을 나타내므로 추후 식품검체에 적용 시 탄수화물 및 단백질 성분에 비해 예측결과의 정확성이 다소 낮을 수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처리 단계에서 복잡한 추출과정, 많은 비용소모, 분석시간 및 고도의 분석기술을 요하는 기존 습식 화학분석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검토되었던 근적외 분광분석법은 다량의 식품분석 시료를 분석하기에는 매우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며, 이런 점들을 고려해 보면 근적외 분광분석 예측모델들은 추후에 미지 식품시료에 함유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기존 분석법을 대체하여 편리하고 빠르게 함량을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oods contain various nutrients such as carbohydrates, protein, oil, vitamins, and minerals. Among them, carbohydrates, protein, and oil are the main constituents of foods. Usually, these constituents are analyzed by the Kjeldahl and Soxhlet method and so on. However, these analytical methods are complex, costly, and time-consuming. Thus, this study aimed to rapidly and effectively analyze carbohydrate, protein, and oil contents with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A total of 517 food samples were measured within the wavelength range of 400 to 2,500 nm. Exactly 412 food calibration samples and 162 validation samples were used for NIRS equ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respectively. In the NIRS equation of carbohydrates, the most accurate equation was obtained under 1, 4, 5, 1 (1st derivative, 4 nm gap, 5 points smoothing, and 1 point second smoothing) math treatment conditions using the weighted MSC (multiplicative scatter correction) scatter correction method with MPLS (modified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In the case of protein and oil, the best equation were obtained under 2, 5, 5, 3 and 1, 1, 1, 1 conditions, respectively, using standard MSC and standard normal variate only scatter correction methods with MPLS regression. Calibrations of these NIRS equations showed a very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calibration (R²: carbohydrates, 0.971; protein, 0.974; oil, 0.937) and low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carbohydrates, 4.066; protein, 1.080; oil, 1.890). Optimal equation conditions were applied to a validation set of 162 samples. Validation results of these NIRS equations showed a very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prediction (r²: carbohydrates, 0.987; protein, 0.970; oil, 0.947) and low standard error of prediction (carbohydrates, 2.515; protein, 1.144; oil, 1.370). Therefore, these NIRS equations can be applicable for determination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oil contents in various foods.

      • KCI등재

        가정에서의 튀김유지 재사용과 보관에 따른 산패도 및 관능적 특성 평가

        이슬 ( Seul Lee ),강선희 ( Sun Hee Kang ),김민경 ( Min Kyoung Kim ),송순란 ( Soon Ran Song ),윤효진 ( Hyo Jin Yoon ),이민우 ( Min Woo Lee ),강희진 ( Hee Jin Kang ),황인경 ( In Kyeong Hwa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duration of frying and storage period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oils using at home. The materials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four kinds of vegetable oils: soybean, canola, extra virgin olive and pure olive oils, and shortening. Chicken breasts were fried in oils heated at 180℃. The oils were stored with or without filtering and reused 3 times, during the 10 day period. The extra virgin and pure olive oils showed higher acid, peroxide value and yellowness than the other oils (p<0.05), but soybean oil showed the highest increase in acid, peroxide value and yellowness with reusing and storage. In sensory evaluation, the chicken breast fried with soybean oils remarkably decreased the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l frying oils are available because acid and peroxide values of the oils are lower than the standard level. However, reusing soybean oil should be noted with caution in that it is very easy to reduce rancidity, and extra virgin olive oil is not appropriate for frying.

      • KCI등재

        원료콩의 파종시기와 산지에 따른 재래식 간장의 품질 특성 비교

        강선희 ( Sun Hee Kang ),이슬 ( Seul Lee ),고종민 ( Jong Min Ko ),황인경 ( In Kyeong Hwa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4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made with soybeans sown in different producing regions(Hadong, Paju) and in different seeding periods(late-May, mid-June, late-June). The total acidity, salt content, chromaticity, browning, amino nitrogen content an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soy sauce sampl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cidity level and the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oy sauce made with mid-June soybeans, and that these properties increased as the sauce aged. Salt content increased with the aging period regardless of the region of production.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Paju soy sauce was the highest in late -June, and for the Hadong region, highest in late-May. The sauce made with Hadong soy beans showed an increase in reducing sugar cont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ging period. Reducing sugar content in the samples of Paju soy sauce decreased up to 60 days of aging, but increased after this point. In Paju soy sauce, the brightness(L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d-June, and the Hadong variant it was higher in late -May. The yellowness(b value) at the beginning of the aging process was high in late -June for Hadong soy sauce, but overall it was higher in the mid-June period. The more matured soy sauce samples were darker and showed both higher a and b values. The browning was the lowest in the mid -June regardless of the regions and it increased with the aging period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regions. The salt, amino nitrogen contents, browning and yellowne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the seeding period of soy beans ma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ed soy sauce alongside the aging conditions.

      • SCOPUSKCI등재

        품종별 청고추의 항산화 효과 및 유방암 세포주에서의 세포 사멸 연구

        윤효진(Hyo-Jin Yoon),이슬(Seul Lee),황인경(In-Kyeong Hwang)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품종별 green pepper에 있는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하여 고추에 주로 함유된 flavonoids인 quercetin, luteolin, apigenin의 양을 측정하고, 이들로 인한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이에 국내산 green pepper의 flavonoids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의 항산화 및 유방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예방에 있어 잠재적인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풋고추, 청양고추, 꽈리고추, 오이고추, 할라피뇨 5종의 기능성 성분으로 flavonoids 와 vitamin C 함량을 측정한 결과, 주요 플라보노이드는 luteolin, quercetin, apigenin 이었으며, 대부분의 고추에서 luteolin의 함량이 가장 높고, quercetin, apigenin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5가지 품종의 고추 가운데 꽈리고추에서 luteolin, quercetin, apigenin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꽈리고추가 가장 높았으며, 청양고추, 할라피뇨, 풋고추, 오이고추의 순으로 나타났다. 5가지 품종의 green pepper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양은 할라피뇨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다음으로 꽈리고추가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으나, 품종간의 유의적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꽈리고추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할라피뇨가 가장 적게 측정되었다. Green pepper 추출물의 DPPH, ABTS 자유기 소거 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품종별로 살펴보면, 5가지 품종 중에서 꽈리고추의 소거 활성능이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Green pepper 추출물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방암 세포 MCF-7과 MDA-MB-231 세포를 사용한 결과, 두 세포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성 성분과 함께 라디칼 소거 활성능이 가장 좋았던 꽈리고추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IC50 값(MCF-7: 826.07 μg/mL, MDA-MB-231: 719.58 μg/mL)을 나타내어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꽈리고추 추출물을 처리하여 유방암 세포주 MCF-7에서의 apoptosis 유도 단백질을 측정한 결과, Bax, cleaved caspase-3, PARP가 발현되어 꽈리고추 추출물이 apoptosis 형태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green pepper에는 luteolin, quercetin, apigenin의 flavonoids를 비롯하여 vitamin C와 같은 기능성 성분과 페놀 화합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꽈리고추는 5가지 품종의 green pepper 가운데 가장 우수한 항산화 및 항암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poptosis 형태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아 유방암의 치료 및 예방에 잠재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in vitro 실험의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in vivo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lavonoid,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MDA-MB-231). Four varieties of Korean green peppers (KP: kkuri pepper, PP: phut pepper, CP: cheongyang pepper, OP: ohi pepper) and one foreign green pepper (JP: jalapeno) were used. The contents of luteolin, quercetin and apigenin, which are abundant flavonoids in green pepper, were the highest in KP. Also,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were the highest in KP, followed by CP, JP, PP, and OP (KP: total phenol 13.29±0.45 mg GAE/g D.W., total flavonoid 7.02±0.13 mg QE/g D.W. In DPPH ·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KP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the result of viabilit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KP ha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peppers have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and can be a possible candidate f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