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투석법에 의한 Heme-iron의 분리

        강인규,인만진,오남순,Kang, In-Kyu,In, Man-Jin,Oh, Nam-Soo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2

        Hemoglobin(Hgb)의 가수분해물로부터 heme-iron을 분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Hgb의 농도, 가수분해도(DH, degree of hydrolysis), 투석용액의 pH, 투석막의 pore size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수분해에 사용된 Hgb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heme-iron의 회수율은 증가하였으나, peptide의 제거율과 HP ratio(총 peptide 중 heme-iron이 차지하는 비율)는 Hgb의 농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Hgb의 가수분해도가 8%, 16%, 24%로 증가함에 따라 투석에 의한 peptide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HP ratio가 13.7%, 20.7%, 31%로 증가하였다. 투석용액에 $KH_2PO_4$를 25 mM이 되도록 첨가할 때는 HP ratio가 25.7%이었으나,50 mM이상의 농도에서는 30.0-32.5%로 증가하였다. 투석용액의 pH 높을수록 heme-iron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투석막을 통한 heme-iron의 세출이 많아졌다. Peptide의 제거율은 투석막이 2kDa에서 5kDa로 커질 때 74.5%에서 87.5%의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heme-iron의 회수율은 투석막의 크기에 따라 감소하여 2kDa에서는 86.5%, 15kDa에서는 79.6%, 25kDa에서 63.1%로 급감하였다. 투석법에 의해 분리, 건조된 heme-iron제품의 heme-iron과 peptide의 함량은 각각 21.7%와 77.0%이었으며, HP ratio는 28.2%, 수율은 6,5%이었다. A method for separating heme-iron from hemoglobin (Hgb) hydrolysate by dialysis was developed. Recovery of heme-iron increased with increasing Hgb concentration, whereas rejection of peptide and separation effciency expressed by HP ratio (heme-iron/peptid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P ratio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degree of hydrolysis of Hgb and $KH_2PO_4$ concentrations of dialysis solution. Recovery of heme-iron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H of dialysis solution due to wash-out of heme-iron across the dialysis membrane caused by increase in solubility of heme-iron. Rejections of peptide were 74.5 and 87.5% (2 and 5 kDa of cut off size, respectively), whereas recovery of heme-iron decreased from 86.5 (2 kDa) to 63.1% (25 kDa). Amounts of heme-iron and peptide of dried heme-iron product were 21.7 and 77.0%, and HP ratio and production yield were 28.2 and 6.5%, respectively.

      • 단열처리 유도배수에 의한 기존 2-Arch 터널의 누수방지 사례

        강인규,류정수,김태수,Kang. In-Kyu,Ryu. Jeong-Soo,Kim. Tae-Soo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is case was successfully constructed as a leakage prevention case of primary 2-arch tunnel located in Anyang, Gyungkido. The leakage of primary 2-arch tunnel was observed at middle wall of tunnel and girder of tunnel. Such a leakage of primary 2-arch tunnel generally occurred due to the damage of the waterproof membrane constructed on the middle wall during the blasting works of right and left tunnel after construction of the middle wall. As the leakage, icicles hanged from girder of tunnel in the winter. In such phenomenon, the risk of the traffic accident in the tunnel was high. In this case, leakage prevention works were successfully constructed using the heat insulated drainage.

      • KCI등재

        논문 : 원지반 부착식 판넬옹벽의 현장 적용성 평가

        민경남 ( Kyoung Nam Min ),이재원 ( Jae Won Lee ),이중관 ( Jung Gwan Lee ),강인규 ( In Kyu Kang ),안태봉 ( Tae Bong Ahn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1

        최근 들어 도심지 재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깎기 비탈면의 효율적 활용과 민원방지 그리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법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판넬식 옹벽은 지보재 보강을 통해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고 전면판인 프리캐스트 판넬과 지보재를 체결하여 개별적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평토압에 저항하는 공법이다. 프리캐스트판넬의 적용으로 기존 옹벽에서 발생하던 콘크리트 현장타설에 의한 공기지연과 콘크리트 품질저하 등의 문제는 다소 해결되었지만 비탈면 과다절취에 의한 사토처리 및 토취장 확보, 및 옹벽 전면 콘크리트 노출로 인한 경관성 저하문제는 여전히 미결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판넬식옹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판넬 전면을 자연암반형으로 연출하고 수직의 원지반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공정을 개선하였으며 실내 및 현장시험을 통하여 개발된 옹벽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판넬에 대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자연암반형 판넬의 자체강도 및 거동특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수직절취 및 원지반 부착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시공 시 보강재 및 비탈면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3차원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사보강에 의한 판넬의 펀칭강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원지반 부착식 옹벽의 시공성 및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계측 및 수치해석적검증을 통하여 원지반 부착식 옹벽 시스템이 시공중 및 장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New building methods are needed to aid increased inner-city redevelopment and industrial construction. A particular area of improvement is the efficient use of cut slopes, with the minimization of associated problems. A retaining wall of precast panels can resist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by increasing the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and reinforcing it through contact with the panels. Precast panels allow quick construction and avoid the problem of concrete deterioration. Other problems to be solved include the digging of borrow pits, the disposal of material cut from the slope, and degradation of the landscape caused by the exposed concrete retaining wall.This study suggest the methods of improvement of an existing precast panel wall system by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panels to that of natural rock and improving the process of adhering the panel to a vertical slope. The panels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and in the field. The laboratory test verified their specific strength and behavior, and the field test assessed the panels`` ground adherence at a vertical cutting. Reinforcement of the cutting slope was also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3D nume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 identified that the shear bar increase the punching resistance of panel. And as a results of test construction, identified the construct abilit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panel wall system adhered to in-situ ground. In addition to that, extended measurement and numerical analysis, identified the long-term stability of panel wall system adhered to in-situ ground.

      • KCI등재

        항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강인규(In-Kyu Kang),이해찬(Hae-Chan Lee),최영서(Young-Seo Choi),여기태(Gi-Tae Yeo) 한국물류학회 2023 물류학회지 Vol.33 No.2

        수도권 항만 지역은 타 항만 지역에 비해 연중 높은 대기오염 농도를 유지하고 있어 대기오염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수도권항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전국항만의 평균 2배 이상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항만 지역에 대한 지속적이고 실현 가능한 항만 대기질 개선정책 방안에 관한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항만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전문가 의사를 통합하여분석할 수 있는 CFPR(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종합가중치 순위에서는 1위가 선박 연료유 황 함유량 기준 강화, 2위가 친환경 선박의 확대, 3위가 선박배출 저감장치 지원확대 순으로 나타났다. 즉 세부요인 1위, 2위, 3위 모두가 선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과 관련된 정책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상위권에 랭크된 정책 항목들은 대부분강력한 규제정책, 대규모 재원 투입, 정부 시설보조금 정책 등이 필요한 정책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항만 대기질 개선정책입안자들에게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책방안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The port areas in the metropolitan area maintain higher concentrations of air pollution throughout the year compared to other port areas, so air pollution management is urgently needed.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port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more than twice the national average. Despite these circumstances, analyses and studies on the sustainable and feasible port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y measures for the port area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olicy priorities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the metropolitan ports.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the CFPR (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 method, which can integrate and analyze the opinions of expert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overall weight rank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ces were shown to be the strengthening of the ship fuel sulfur content standard, the expansion of eco-friendly ships, and the expansion of support for ship emission reduction devices, respectively. That is,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etailed factors were analyzed as policies related to vessel-oriented air pollutant reduction. In particular, most of the policy items ranked at the top were analyzed as policy factors that require strong regulatory policies, large-scale financial inputs, and government facility subsidy polici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presents useful policy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policy makers to improve port air quality.

      • KCI등재

        Aminoethoxyvinylglycine 침지처리가 ‘쓰가루’ 사과의 저온저장중 에틸렌발생과 세포벽성분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인규(In-Kyu Kang),최철(Cheol Choi),최동근(Dong Geun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쓰가루’사과를 AVG용액에 침지하여 저장하였을 때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과 세표벽을 구성하고 있는 비섬유성 중성당들의 분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고자 실시하였다. 관행수확기인 8월 20일에 과실을 수확하여 AVG 50 및 75㎎ㆍL­¹용액에 5분간 각각 침지처리하여 무처리 과실과 함께 0±1℃의 저온저장고에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시기별로 과실의 품질, 에틸렌 발생량 및 세포벽구성 불질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저온저장 60일 동안의 과실의 경도와 산 함량은 무처리 과실에 비하여 AVG 처리 과실에서 현저히 높았다. 에틸렌 발생량은 AVG 처리 과질이 무처리 과실에 비하여 1/10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AVG 침지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쓰가루’ 과실의 세포벽 비섬유성 중성당들의 변화를 보면 water, CDTA 및 Na₂CO₃가용성분획에서의 주요 구성당은 arabinose와 galactose이었고, 특히 galactose 함량의 변화가 가장 컸다. 특히 water-soluble fraction에서 무처리 과실들의 arabinose와 galactose의 함량은 과실이 연화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지만 AVG를 처리한 과실들은 그 함량 변화가 미미한 증기를 보여 세포벽으로부터 이들 당들이 분해되지 않고 세포벽에 결합되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확후 쓰가루 과실을 AVG용액에 침지처리하였을 때 ‘쓰가루’ 과실의 저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ostharvest dipping treatment with aminoethoxyvinylglycine (AVG) on ethylene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cell walls of ‘Tsugaru’ apple fruits during storage. Fruits were harvested on August 20, soaked in AVG 50 and 75 ㎎ㆍL­¹ solution for 5 minutes, and stored in cold storage chamber at 0±1℃ for 60 days. Fruit quality factor, ethylene productions, and cell wall component changes were investigated at 20 days interval. As a result, the fruit firmness and acid content were much higher in AVG treated fruits than those of untreated one during 60 days of cold storage. Ethylene production of AVG treated fruits was reduced to the level of 1/10 compared with untreated one. As to the change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the cell walls of ‘Tsugaru’ fruits, the major sugar was arabinose and galactose in water, CDTA and Na₂CO₃ soluble fractions. The content of arabinose and galactose in untreated fruits increased as the softening of fruits was in progress, but the fruits treated with AVG showed a little change during storage, so it is predicted that these two cell wall compositional sugars were not solubilized by the treatment of AVG. Accordingly, the marketability of ‘Tsugaru’ fruits could remarkably increase when soaking the fruits in AVG solution after harvest.

      • KCI등재

        기내 배양 사과 대목 M.9의 순화 후 휘묻이 번식 시 발근 관련 생리적 특성 변화

        권순일,김목종,강인규,Kwon Soon-Il,Kim Mok-Jong,Kang In-Kyu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2 No.3

        본 실험은 사과 왜성대목 M.9 조직배양묘를 12회 이상 계대배양 시켜 발근, 순화 후 포장에서 휘묻이에 의해 번식을 할 경우, 복토된 발근 예정 부위의 호르몬, 무기성분 등의 변화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휘묻이 후 첫 부정근 출현 일수는 기내유래 M.9는 25일, 일반 M.9는 30일이었다. 발근율은 기내유래 M.9는 100%였으며 일반 M.9는 83%였다. 휘묻이 할 줄기 부분의 IAA 함량은 기내유래 M.9가 일반 M.9에 비해 높았으나 휘묻이 20일 및 30일 후에는 일반 M.9가 더 높았다. 그러나 ABA 함량은 일반 M.9가 휘묻이 직전, 10일 후 및 20일 후의 기내유래 M.9에 비해 훨씬 더 많았다. 기내 유래 대목의 질소, 붕소, 망간, 아연의 함량은 모두 일반 M.9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기내유래 대목의 sucrose, glucose, fructose, maltose 함량과 일반 기외대목의 함량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기내 유래 및 일반 M.9 대목의 리그닌 변화는 휘묻이 전, 10일 후, 30일 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러므로 기내유래 대목의 발근력의 증가는 당류와 호르몬의 함량 변화 보다는 무기성분과 리그닌 함량 변화에 더 많이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oting on tissue cultured M.9 (Malus domestica Bork. cv, tcM.9) after layering in field. We investigated an appearance period of first root in shoot, rooting ratio, contents of indole-3-acetic acid (IAA), abscisic acid (ABA), inorganic matters, sugars, and lignin in rooting areas of stems by layering. First root in shoot of tcM.9 and natural M.9 appeared 25 and 30 days after layering (DAL), respectively. Rooting ratio was much higher in tcM.9 than in natural M.9. The content of IAA was higher in tcM.9 than in natural M.9 before layering, but it was reversed at 20 and 30 DAL. In contrast, the content of ABA was much higher in natural M.9 than in tcM.9 in case of both before and 10 and 20 DAL. The contents of N, B, Mn, and Z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cM.9 than in natural M.9 both before and 10 and 20 DAL. The contents of sugars in tcM.9 had the similar pattern of the contents of inorganic material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sucrose and glucose at 30 DAL as well as the content of maltose at 20 and 30 DAL. The content of lign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cM.9 than in natural M.9 before layering and 10 and 30 DAL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20 DAL. Therefore, improvement of rooting ability in the tissue cultured root stock M.9 might be due to the changes of inorganic matters or lignin rather than that of sugars and hormones.

      • KCI등재

        기내배양 사과 대목의 기외 삽목 시 발근과 순화에 미치는 배양조건 및 생장조절물질의 효과

        권순일,김정희,강인규,김목종,Kwon, Soon-Il,Kim, Jeong-Hee,Kang, In-Kyu,Kim, Mok-Jo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사과 왜성대목 M.9와 M.26 조직 배양묘를 통기성 마개와 비통기성 마개의 MS배지에서 생장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험되었다. 또한 배양묘의 생육 변화와 이 배양묘를 발근촉진제 침지 처리 후 기외 삽목을 하여 발근 및 순화를 동시에 시키기 위해 실시하였다. 배양병내의 $CO_2$와 에틸렌의 농도는 통기성 마개 배양병이 비통기성마개 배양병 보다 낮았다. 통기성 마개 배양병내의 온$.$습도 변화는 광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반복되었다. 통기성 마개 배양묘의 기공은 외기에서 즉시 관찰 시 닫혀 있었으나 비통기성마개 배양묘의 기공은 외기에서 20분 후 관찰 시에도 열려 있었다. 통기성 마개 배양묘의 엽록체 지수와 잎 면적은 모두 비통기성 마개의 것 보다 높았다. 기외 삽목시 발근율은 M.9와 M.26 모두 300 mg/L IBA+ 3% sucrose 침지 처리 구에서 각각 86.5%와 85.4%로 가장 높았으며 순화율은 각각 71.7%와 70.0%로 가장 높았다. 통기성 마개 배양묘의 순화율은 비통기성마개 배양묘 보다 모든 침지 처리구에서 순화율이 비슷하거나 높았다. Growth of M.9 (Malus domestica Bark. cv) and M.26 (Malus domestica Bark. cv) of dwarf apple rootstock, cultured on MS agar medium in a vessel with ventilating stopper (VS) and then in vivo rooting and acclimatization under combined-treatment by some materials with IBA, were investigated. Concentration of $CO_2$ and ethylene in the vessel with VS was lower then in the vessel with non-VS.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vessel with VS was repeated by light condition. Stomatal pares of tissue in the vessel with VS were immediately closed after plantlets were exposed to room humidity but those in the vessel with non-VS were opened after 20 minutes exposure to room humidity. Leaf area and chloroplast index of tissue in the vessel with VS was higher then in the vessel with non-VS. In vivo rooting ratio and acclimatization ratio of M.9 and M.26 was highest in 300mg/L IBA+3% sucrose dip-treatment among other combined- treatments.

      • KCI등재후보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관비의 효과

        박무용(Moo-Yong Park),강인규(In-Kyu Kang),양상진(Sang-Jin Yang),정재권(Jai-Kwon Cheung),변재균(Jae Kyun Byun)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2

        본 실험은 1996년부터 1999년까지 4년동안 ‘후지’/M.26 4년생을 이용하여 시비량을 추천시비량의 1/3로 줄여 관비로서 공급하였을 때 수체생장과 과실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진흥청 표준시비량을 요소, 용성인비, 염화칼륨으로 추천 시비방법에 따라 시비한 구를 대조구로 하였고, 관비는 N:P:K의 비율을 10:5:7.5로 한 조제액비(RF) 관비처리구와 N:P:K의 비율이 17:8:26인 시판용 액비 Polyfeed-52(PF-52) 관비처리구를 각각 두었다. 대조구로는 10a당 시비량을 농촌진흥청 추천시비량인 N:P:K=10:5:7.5㎏으로 하고, N과 K는 기비 60%와 추비 40%로 나누어 시비하였고, 인산은 전량 기비로 사용하였다. 수체생육 상태는 관비처리구들에서 절간장과 평균 신초장이 대조구보다 짧았으며 정단신초장과 신초발생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평균 과중은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다소 큰 경향이었으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경도는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착색의 정도도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Hunter a값이 높고 b값은 낮아 보다 선명한 착색을 보였다. 엽내 인산 함량은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그 밖의 N, K, Ca, Mg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토양내 질소와 칼리 함량을 보면 관비처리구들에서는 시기별변화가 적었으나 대조구에서는 6월에서 9월까지 관비처리구들에서 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농촌진흥청 추천시비량의 1/3로 줄인 관비처리가 토양에 추천시비량을 시용하는 것보다 사과나무의 수체 안정과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는데 더 우수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fertigation on the tree growth, fruit quality and yield in 4-year-old ‘Fuji’/M.26 apple trees for four years from 1996 to 1999. The treatments were prepared with liquid refining fertilizer (RF, N:P:K=10:5:7.5 ㎏/10a) and commercial liquid fertilizer, Polyfeed-52 (PF-52, N:P:K=17:8:26 ㎏/10a). The control (N:P:K=10:5:7.5 ㎏/10a) was prepared with nitrogen, potassium and phosphate. Nitrogen and potassium were applied 60% basal fertilizer and 40% side dressing. Phosphate was applied with 100% basal fertilizer for this experiment. The length of internode and the average length of shoot were shorter in RF and PF-52 treated apple tre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hoots and length of the terminal shoot. The average fruit weight was slightly heavier in the treatments tha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uit number among treatments. In additio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and hardness were higher in RF and PF-52 treatments. Fruit coloring in the treatment was much brighter than the control as Hunter ‘a’ value was higher and ‘b’ value was lower. Phosphate content in leaves was higher in RF and PF-52 treatment, and nitrogen,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not different.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 in soil were a little bit changed through RF and PF-52 treatment, but those of the control was higher between June and Septemb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rtigation seemed to be useful for the better coloration and increase of nutrient uptake efficiency in the production of fruits with high quality and stabilization of tree growth in ‘Fuji’/M.26 apple trees.

      • KCI등재

        세장방추형 ‘홍로’ 사과나무의 수관 부위별 수광상태와 잎 및 과실의 특성

        송주희(Ju-Hee Song),강인규(In-Kyu Kang),최동근(Dong Geun Choi)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4

        ‘홍로’/M.9 세장방추형 수형에서 수관위치에 따른 광환경과 잎과 과실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관을 상부와 하부, 그리고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수관상단의 외부가 투광량이 가장 높았고, 광합성속도는 수관하단의 내부보다 약 4.5배 높게 나타났다. 잎의 생장은 수관 내부 잎이 외부 잎보다 더 넓고 얇았으며, 잎의 책상조직 첫번째 층의 두께는 수관외부(110.3㎛)가 수관내부(68.5㎛)보다 두꺼웠다. 과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도는 투광률이 높은 수관외부의 과실이 내부보다 높았다. 과실의 가용성 유리당 함량은 수관외부 과실이 내부보다 높았다. 수관내부의 과실은 숙기가 지연되었다. 과피는 수관내부 과실에서 더 두꺼웠고 왁스층의 발달도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수관내부의 광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수관 부위별로 숙기에 따른 분할 수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For this analysis, canopies of slender-spindle ‘Hongro’/M9 apple trees were divided into 4 positions: upper, lower, exterior, and interior parts. The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st in the external part of the upper canopy of the tree, where it was 4.5 times higher than in the internal part of the lower canopy. This differenc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light penetration based on canopy position. Analysis of leaf growth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leaves situated in the internal part of the canopy were larger and thinner than those in the external part of the canopy. The difference in leaf thickness was mainly due to thickness of the primary layer of palisade tissues (68.5 and 110.3 ㎛ for internal and external leaves, respectively). Fruit weight and qualit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xtent of light penetration. Fruit weight, soluble solid content, and red skin color were higher in the fruits from the external part of the canopy. Thus, fruit maturity was delayed in the internal part of canopy. The fruit skin and wax layer were thicker in fruits from the internal canopy than in those from the external canopy.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a need for improved light penetration in internal parts of the canopy and for split harvesting depending on maturity at different canopy pos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