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물질적 결핍과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종단연구

        이순아 ( Soon A Lee ),이상록 ( Sang Rok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노인들이 경험하는 제반 생활상의 물질적 결핍의 양상과 그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 물질적 결핍의 경험과 노인의 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에는 3차부터 9차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모형을 주요한 분석기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음식과 필수재, 주거와 의료 영역의 11개 항목 중 한 가지 이상의 항목에서 물질적 결핍을 경험하는 노인의 비율이 매년 12~2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질적 결핍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경험한 집단의 정신건강이 양호하지 못하였으며, 두 가지 이상의 중복 결핍을 경험한 집단은 정신건강 상태가 더욱 좋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득수준을 비롯하여 여타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물질적 결핍은 주요하게 노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러 영역의 결핍 중 음식 영역의 결핍(불안정한 식생활)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이었으며, 결핍 경험의 수가 늘어날수록 노인의 정신건강은 더욱 유의하게 나빠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 대상의 빈곤정책 개선과 정신건강 수준의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material hardship for older peopl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hardship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are from the 3 to 9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And we utilized a major analysis methods of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GEE) mo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2 to 22 percent of the elderly experience one or more material hardship in food, utility, housing, medical area. Next, mental health of olde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material hardship was poor.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two or more overlapping material hardships was even more poorly. Finally, in the other socio-economic factors in controlled conditions, material hardship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food insecur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than other areas of material hardship.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material hardships were worse the mental health of old peop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have proposed plans for improving anti-poverty policies and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책 관련 초등교육 연구 동향 및 그림책 활용 양상 연구

        이순아 ( Lee Soonah ),임성만 ( Lim Sungm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은 학년에 상관없이 널리 활용되고 있고 그림책 관련 연구들이 2000년대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초등교육을 다룬 국내 그림책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종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유·초 연계교육과 독서교육이 강조된 2015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에서 그림책이 어떻게 접근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그림책 활용 양상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초등 수업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등학교 교육현장과 관련된 그림책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99편을 7가지 대범주와 43개의 코드로 구성된 분석기준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리뷰방식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난 20여년간 초등교육에서 국내 그림책 연구들은 꾸준하게 명맥을 유지하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유아교육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연구대상이 초등 전학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그림책은 학년 구분 없이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교육매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그림책은 일반 수업활동 자료 및 매체이자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는 상담 및 치료 도구로서 활용 측면이 확대되었다. 넷째, 언어 및 문학교육에서 그림책의 활용도가 높았고, 교육과정 연계성을 실제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초등현장에서 서사그림책 위주 활용 경향성이 높았으며, 교수·학습적 자료 유용성과 이야기 주제적합성 측면의 접근과 활용이 두드러졌다. 이를 토대로 초등교육에서 보다 다양한 장르의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그림책이 가진 다표상성과 상호작용성에 주목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사회 및 과학교과 영역으로 확대·적용하고 창의력, 상상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미래역량 발달을 위한 그림책의 초등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studies and explore how to use picture books more effectively in elementary teaching. We analyzed 99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19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using narrative review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were research types, approaches to picture books, picture book genres, developmental are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nection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Regard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first, the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increased for the past 20 years.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is still not abundant compar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across all grades, which meant that picture books would be helpful educational media. Third,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as available teaching materials and as counseling and healing tools for helpi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th, picture books’ utility tended to be higher in particular, in the language education areas such as Korean and English subjects and less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Lastly, story picture books tended to be the most us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They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ory topics or specific characteristics as language learning materials such as easy vocabulary, simple sentences, or repetitive expressions. To expand practical uses of picture books in elementary teaching contexts, the approach to picture books focused on their multimodality and intertextuality will be needed. Presenting foreign teaching cases, we suggest that picture books should be used in more various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history, or science. They would also be useful to increase elementary students’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예비교사가 경험하는 정서의 특성과 역할 탐색

        이순아(SoonAh Lee),김현진(Hyunjin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첫 교생 실습에서 경험하는 정서의 원천 및 특성을 밝히고 그 정서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 남부 T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소속된 32명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교생실습 보고서와 기말설문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매우 다양한 긍정 혹은 부정 정서를 경험하였고 한 사건 안에서 두 가지 이상의 정서를 복합적으로 드러내며 급격한 정서 변화를 보이기도 했다. 둘째, 예비교사의 정서적 경험은 학교현장에서의 주요 상호작용 대상인 아동과 현장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비롯되었는데,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경험하는 정서는 예비교사들이 가진 기존의 학생에 대한 기대와 교육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과 관련되었다. 한편 현장지도교사와의 관계에 있어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상하관계로 인식하였고, 그에 따른 압박감과 불안이나 긴장감 등의 부정 정서를 많이 보고했는데, 이는 그들의 부족한 현장경험과 교사로서의 낮은 자기효능감과도 연결되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정서는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 인지적 지각 및 해석과 행동반응 뿐만 아니라 미래교사로서의 자신의 이미지 형성과 미래행동의 결단에까지 역동적으로 관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가 되기 위한 예비교사의 배움과 성장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이 중요하며, 교사양성 교육에서 일반 학습자나 경력교사와 구별되는 예비교사의 정서적 경험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ypes and sources of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their first inter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32 American students i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prepared students for Pre-K to 4<SUP>th</SUP> grade teaching certification. Data sources included 96 reflective journals describing critical incidents during their internship and students’ responses on the open-ended survey that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Data analysis took an induc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methods proposed by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interaction with their pupils and cooperating teachers. These emotional experiences were influenced b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students and by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Ts. In line wit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oles of emotions in learning,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played an active role in triggering disciplinary or teaching actions(as well as future actions) and also reflected their unstable identities as future teac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are essential parts of learning to teach and developing their teacher identities. Insights into emotions and emotional change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are important in order to provide better support they need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한국사회 가구빈곤의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이순아(Soon-A Lee)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1

        본 연구는 빈곤 결정의 다차원성에 주목하여 한국사회 가구빈곤의 결정요인을 미시와 거시수준으로 구분한 통합모델을 구축하고, 이들 각각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시수준 요인으로는 가구주의 성별과 학력, 취업상태, 가구유형 등 개인 및 가구 단위의 특성들을, 거시수준 요인들로는 한국사회 전반의 경제와 분배, 노동시장 상황과 인구구조 등을 반영하는 지표들을 상정하여 각각의 독립된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1990년부터 2011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와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제반 사회지표들의 시계열 자료를 병합하여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상대빈곤이 상당히 심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빈곤의 심화에는 경제성장의 둔화, 소득불평등의 심화, 노동시장 상황의 악화 등 제반 거시적 사회환경의 변화가 일련의 배경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미시자료의 분석결과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빈곤층에서 개인 및 가구의 취약한 특성의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층분석결과 한국사회의 가구빈곤에는 취약한 개인 및 가구특성 뿐 아니라 개인들이 통제하기 어려운 제반 거시적 사회환경 측면들에 의해 주요하게 결정되고 있음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 완화를 위해 미시적 측면에만 초점을 둔 정책적 접근에서 탈피하여 사회환경 및 구조 개선과 같은 거시적 측면을 포괄하는 적극적 대응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income poverty in South of Korea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micro level and macro level. Micro-leve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household such as householder’s gender,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family type, etc. and macro-leve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such as economic growth, income inequality, labor market conditions, population composition and etc. The source data are the merged longitudinal data derived from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and various social indicators of Korea provided by the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rom 1990 to 2011. And the study utilized a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HGLM) to simultaneously analyze micro level and macro level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poverty status of a househo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 poverty is getting wor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the late 1990s in South Korea. Changes in the macro-social environment such as slowdown the economic growth, worsening the income inequality, and deterioration the labor market conditions, etc.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deepening of poverty.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micro-data, retention of the vulnerabl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poor as in the previous studies. Finally, household poverty in South Korea that is determined by the overall macro-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s difficult to be controlled by the individuals, as well as the vulnerabl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household. Consequentl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due to the results mentioned in the above. Poverty policies should move away from the approach focusing only on the microscopic side to the macro inclusive and active approach accompanying th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improvements.

      • KCI등재
      • KCI등재

        교실담화를 통한 지식의 협력적 구성과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

        이순아(Lee Soo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혼자 책을 읽는 것보다 둘씩 혹은 여럿이 나누는 대화를 통 해 어떤 정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고 지식을 효과적으로 축적하기도 하는 데, 이는 왜 그럴까라는 물음에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학습 에 있어서 학생들 간에 이루어지는 협력적 대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논의하고 협력 적 교실담화의 기제로서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의 역할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 였다. 본고에서는 협동과 구별되는 협력의 의미를 살펴보고 담화의 본질적인 속성으 로서 사회성, 상호작용성, 맥락성과 대화성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협력은 두 사람 이 상이 대화를 통해 어떤 경험이나 개념에 대한 공유된 의미를 형성하는 것이고, 그 대화 과정에서 학생들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관점과 목소리를 경험하며 적극적 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학생들은 협력적 담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 는 인지적인 불균형과 상반된 아이디어 간의 충돌을 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아이 디어나 관점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생산적이고 열려있는 대화의 공간을 창출 하는 데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은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고 나와 다른 관점을 고려해서 기존의 관점을 바꿀 수 있는 변화의 촉매제로서의 역할 을 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의 지적 성장을 가져온다. 끝으로 이 논문은 질문과 토론이 사라진 우리나라 교실 수업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과 의 견이 존중되고 학습과정에서 그들이 느끼는 지적·심리적 저항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협력적 교실담화를 촉진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lassroom discourse in learning, springing from a question of why talking and working together would be more effective in knowledge building than reading and studying alone. Simply setting students up for a discussion does not guarantee that they will actively exchange ideas and engage in meaning-making activities. For collaborative discussions, it is crucial how students react to expressed ideas, negotiate with multiple voices, and make their own meaning. In this article, the nature of collaborative discourse is discussed and the concept of “Resistance” that students experience and express in classroom discussions is introduced. Collaborative classroom discourse is based on social, reciprocal, situated, and dialogic interaction. Generally, resistance did seem centered on negative emotions or reluctance to engage,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stance would positively function as the initial impetus to considering new ideas and contribute to an open and productive discus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lusions are draw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이순아 ( Soon Ah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미국의 예비교사와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 문화교류 프로젝트에 참여한 미국의 예비교사 37명, 한국의 예비교사 42명의 비동시적 온라인 소집단 토론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미래 교사로서의 교수목표는 11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는데, 미국 예비교사들은 배움에 대한 가치와 즐거움을 강조한 정서적 측면의 교수 목표를 강조한 반면, 한국 예비교사들은 자아발달 및 적성교육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두 문화의 예비교사들은 미래교사로서 가지고 있는 어려움과 관련해서 공통적으로 교수방법, 학급관리, 교사로서의 정체성 관련 문제를 많이 언급하였는데, 그 중에서 미국 예비교사들은 학급 및 학생의 행동관리 부분을, 한국 예비교사들은 교수방법 측면을 가장 큰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 면에서도 미국 예비교사들은 수업 기술을, 한국 예비교사들은 학생 이해를 위한 지식을 각각 좋은 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 지목함으로써 문화 간 차이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예비교사들의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온라인 대화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문화·보편적으로 혹은 문화·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두 문화 예비 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비교·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과 교사교육 분야, 그리고 학교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teaching is and their concerns as future teachers. Participants included 42 Korean and 37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in three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sessions of an intercultural project. Data sources included 30 written transcripts of all discussion sessions produced by 10 mixed groups. Data analysis was inductive and aimed at generating themes. Eleven categories were identified with respect to preservice teachers` aspirations for teaching and most participants` goals for teaching touched on more than one category. Interestingly, whereas Korean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self-development and aptitude education, Americans described affective aspects of learning the most. Korean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eaching methods and skills as their greatest concern in becoming new teachers, whereas Americans focused on classroom and behavior management the most.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what knowledge or skills are required to be good teachers, whereas American participants described teaching skills as most crucial, Koreans emphasized knowledge of children`s development for understanding their future students. Findings suggest that culture impacts an individual`s perceptions about teaching and teachers,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importance for teacher educators to consider students` conceptions of teaching contextualized in different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