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龍崗秦簡』 第1~10簡 연구

        이소화(Lee, So-Hwa)(李蘇和),김준수(Kim, Jun-Soo)(金俊秀)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본고는 龍崗秦簡 제1간부터 제10간까지의 내용에 대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해독을 시도하였으며, 쟁점이 되는 부분에는 상세한 주석을 덧붙이고 고찰을 진행하였다. 주석 작업에 里耶秦簡과 岳麓書院藏秦簡 등 용강진간 이후에 발굴된 최신 秦문자 자료를 적극 활용하였으며, 판독에 어려움이 있는 글자에 대해서는 관련 秦문자와의 자형 비교를 진행해 보다 정확한 考釋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용강진간 제1간에서 제10간까지의 내용은 禁苑과 관련된 법률에 대한 기록이다. 금원은 皇家의 가축과 식물들을 기르고 관리하던 정원으로 일반인들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었다. 따라서 하수도로 몰래 드나들거나 출입증 없이 관문을 지나가면 斬止라는 무거운 형벌에 처해졌으며, 공문서의 관리 역시 엄격한 규정 속에서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presents the translation of the first to tenth Longgang Qin Bamboo Strips into Korean based on the findings of preceding studies, along with annotations on the issues worthy of further discussion and related considerations. Longgang Qin Bamboo Strips 1 to 10 contain records about laws related to palace garden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palace garden was a place where livestock and plants belonging to the imperial family were raised and managed, and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to the garden was prohibited. Therefore, actions such as trespassing on a palace garden through the surrounding sewers, entering it without a valid pass, or forging and borrowing such a pass were considered serious crimes and sentenced to heavy punishments including cutting off the left foot. In addition, all those who needed to enter a palace garden for public affairs had to send an official letter to the competent departments of prefectural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s to request entrance to the garden, and the documents sent to these offices must be escalated to higher level agencies. When one enters a palace garden for document delivery or public affairs, he would go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of the relevant documents, and was required to wear a plaque marked “入司馬門久”‘ while in the garden. In this way,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to palace gardens was managed in a very strict and restrictive manner. This study analyzed the letters and vocabulary used in Longgang Qin Bamboo Strips by taking full advantage of Qin character documents unearthed after the discovery of Longgang Qin Bamboo Strips such as Liye Qin Bamboo Strips and Qin Bamboo Strips Collected in Yuelu Academy. By collecting and comparing a large amount of Qin character forms, this study also performed a meaningful analysis on the characters that could not be clearly traced back in Longgang Qin Bamboo Strips or pairs of the characters that were difficult to interpret due to similar forms such as 池 (chí) and 事 (shì) in Strip 1, 闌 (lán) in Strip 2, 襲 (xí) and 人 (rén) and 入 (rù) in Strip 4, 佩 (pèi) in Strip 5, 傳 (chuán) in Strip 9, and 作 (zuò) in Strip 10. Based on the appearance pattern of “黔首” (qiánshǒu) in the strips, this study also found a clue to dating the creation of these strip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ssages “襲人符傳” (xírénfúzhuàn) and “入門衛木久” (rùménwèimùjiǔ) contained in Longgang Qin Bamboo Strips are also included in Zhangjiashang Han Bamboo Strips. This serves as a good example showing that the Han Dynasty inherited the legal system of the Qin Dynas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continuous annotation work and studies on Longgang Qin Bamboo Strips and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strip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심층인공신경망 기반 수질 평가 시스템 제안

        이소화(So-Hwa Lee),고동진(Dong-Jin Koh),김나빈(Na-Bin Kim),박은서(Eun-Seo Park),전동렬(Dong-Ryeol Jeon),봉재환(Jae-Hwan Bong)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하천에 대한 수질 오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원인은 가정에서 쓰고 무분별하게 버리는 생활 하수부터 농,축산 폐수 까지 다양하다. 수질 오염에 의해 수질의 탁도가 저하되고, 녹조 현상이라 불리는 부영양화 그리고 수중의 산소 농도가 부족해지는 용존 산소 부족 현상등이 발생한다. 수질의 변화를 감시하여 수질 오염에 대처하기 위해 수질측정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수질의 연속적인 실시간 감시를 위해 수질측정망 중에서도 수질자동측정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낮은 비용의 이동형 수질자동측정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적은 수의 센서를 사용해 수질 오염도를 분류하는 심층인공신경망 기반의 수질 분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질 분류 시스템은 수소이온농도(pH)와 수온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측정된 수온값은 개발한 선형 회귀 모델을 이용해 용존 산소량(DO)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센서로 측정한 pH와 수온, 그리고 선형 회귀 모델로 추정한 DO는 심층인공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되어 수질 오염도를 세 단계로 분류한다. 선형 회귀 모델과 심층인공신경망을 개발하기 위해 온라인에 공개된 수질 정보를 활용해 훈련 데이터 쌍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질 분류기는 pH와 수온 측정 센서만을 이용하여 pH, 수온, DO 측정 센서를 사용하는 수질 분류기와 같은 수준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적은 수의 센서로도 높은 정확도의 수질 오염도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龍崗秦簡』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 연구

        이소화(Lee So-Hwa)(李蘇和)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7 No.-

        본고는 龍崗秦簡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의 내용에 대해 해독을 시도하였다. 이 14매의 죽간이 담고 있는 대략의 내용은 禁苑과 관련한 秦법률인 秦苑律에 대한 기록이다. 秦苑律은 상당히 엄격하게 시행되었는데 금원의 출입과 관련하여 위법 행위를 한 자는 무거운 형벌에 처해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해독 작업을 통해 秦代 사회와 법률, 언어와 문자에 대해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고는 龍崗秦簡 第11~22簡·68簡·181簡의 기존 연구에 충분한 예증을 찾아 보충하거나 誤釋 부분에 대해서는 정정 의견을 제시하는 등,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문자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보다 심도있는 고찰을 진행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contents of Longgang Qin Bamboo Strips 11 to 22, 68, and 181. These 14 bamboo strips contain records of QínYuànlǜ (秦苑律), the Qin dynasty law regarding palace gardens. It was found that the law was strictly enforced, punishing those who violated the law in relation to entering the palace gardens with severe sentences.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se bamboo strips opened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law, language, and scripts of the Qín Dynasty. This study also offers more in-depth insights into Longgang Qin Bamboo Strips 11 to 22, 68, and 181 using an approach in the study of letter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findings, supplementing the previous studies on these bamboo strips with new proofs and correcting errors in interpretation. Furthermore, give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ew Qin character documents are constantly unearth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continuous annotation work and studies on the whole of Longgang Qin Bamboo Strips.

      • KCI우수등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Fabrication 연구(I) - PET/PETG Blends의 물리적 특성 -

        이소화,현은재,황성혁,제갈영순,장상희,김봉식,Lee, So Hwa,Hyeon, Eun Jae,Hwang, Seong Hyeok,Jang, Sang Hui,Kim, Bong Sik 한국섬유공학회 1999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6 No.10

        Blend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G) were prepared on a twin-screw extruder. Blend films were prepared by solid state extrusion on a capillary rheometer, Crystallinity, thermal, dynamic mechanic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blend films were investigated. PET/PETG blend films exhibited single $T_{g}$ and $T_{m}$ because of the compatibility of PET with PETG. The crystallinity and density of these blend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draw ratio. Storage modulus of PET/PETG blend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draw ratio. The viscosity of PET/PETG blends was lower than that of the parent polymers and exhibited a minimum at the PET/PETG composition of 90/10. The tensile strength of PET/PETG blend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draw ratio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PETG content.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감정 분류를 이용한 표정 연습 보조 인공지능

        김동규(Dong-Kyu Kim),이소화(So Hwa Lee),봉재환(Jae Hwan B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표정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인공지능은 서술형 문장과 표정 이미지로 구성된 멀티모달 입력을 심층신경망에 사용하고 서술형 문장에서 예측되는 감정과 표정 이미지에서 예측되는 감정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출력하였다. 사용자는 서술형 문장으로 주어진 상황에 맞게 표정을 연습하고 인공지능은 서술형 문장과 사용자의 표정 사이의 유사도를 수치로 출력하여 피드백한다. 표정 이미지에서 감정을 예측하기 위해 ResNet34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FER2013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훈련하였다. 자연어인 서술형 문장에서 감정을 예측하기 위해 KoBERT 모델을 전이학습 하였으며 AIHub의 감정 분류를 위한 대화 음성 데이터 세트를 사용해 훈련하였다. 표정 이미지에서 감정을 예측하는 심층신경망은 65% 정확도를 달성하여 사람 수준의 감정 분류 능력을 보여주었다. 서술형 문장에서 감정을 예측하는 심층신경망은 90%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감정표현에 문제가 없는 일반인이 개발한 인공지능을 이용해 표정 연습 실험을 수행하여 개발한 인공지능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was developed to help with facial expression practice in order to express emotions. The developed AI used multimodal inputs consisting of sentences and facial images for deep neural networks (DNNs). The DNNs calculated similarities between the emotions predicted by the sentences and the emotions predicted by facial images. The user practiced facial expressions based on the situation given by sentences, and the AI provided the user with numerical feedback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emotion predicted by sentence and the emotion predicted by facial expression. ResNet34 structure was trained on FER2013 public data to predict emotions from facial images. To predict emotions in sentences, KoBERT model was trained in transfer learning manner using the conversational speech dataset for emotion classification opened to the public by AIHub. The DNN that predicts emotions from the facial images demonstrated 65% accuracy, which is comparable to human emotional classification ability. The DNN that predicts emotions from the sentences achieved 90% accuracy.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AI wa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with changing facial expressions in which an ordinary person was participated.

      • KCI등재
      • KCI등재

        마찰전기 효과가 접목된 하이브리드 자기-기계-전기 발전 소자의 출력 특성 향상연구

        백창민 ( Chang Min Baek ),김민우 ( Min Woo Kim ),이지원 ( Ji Won Lee ),김현아 ( Hyun Ah Kim ),정지윤 ( Ji Yun Jung ),윤준현 ( Jun Hyeon Yoon ),김효일 ( Hyo Il Kim ),박예진 ( Ye Jin Park ),김기훈 ( Gi Hun Kim ),소화 ( So Hwa Kim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5 No.6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that can convert wasted various energy into usable electrical energy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batteries for the powering of IoT sensors and small electronic devices. Hybrid energy harvesting is known as a technology that enhances the output power of single energy harvesting device by housing two or more various energy harvesting mechanisms.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hybrid MME (Magneto-Mechano-Electric) generator coupled with the triboelectric effect. Through FEA modeling, four triboelectric materials, including PI (Polyimide), PFA(Teflon), Cu, and Al, we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expected triboelectric potentials. The effect of surface morphology was investigated as well. Among various combination of triboelectric materials and surface morphologies, PFA-Al combination with the surface morphology having nano-scale square projections showed highest output potential under triboelectrification. It is also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output voltage and power of the hybrid MME generator with triboelectric material comb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