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ierre Robin Sequence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증례 보고

        이소피아(Sophia Rhee),송지수(Ji Soo Song),신터전(Teo Jeon Shin),김영재(Young-Jae Kim),김정욱(Jung-Wook Kim),장기택(Ki-Taeg Jang),이상훈(Sang-Hoon Lee),현홍근(Hong-Keun Hyun) Asia association of Disability and Oral health 2019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Vol.15 No.1

        PRS는 소하악증, 설하수증, 구개열의 세가지 임상적 특징을 갖는 질환으로 상기도 폐쇄로 인한 호흡곤란, 섭식장애를 나타낸다. PRS 환아는 치과 치료 시 호흡 관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또한 다양한 증후군이 동반될 수 있어 치과 치료시 전신적인 상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다발성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내원한 PRS 환자에 대한 보고로 기도 확보 및 유지의 어려움이 예상되었으나 치과적 치료를 전신마취하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Pierre Robin sequence(PRS) is characterized by a triad of clinical signs: micrognathia, glossoptosis and cleft palate. These anatomical deformities of PRS predispose patients to respiratory problems and feeding difficulties at birth. Maintaining oral hygiene and enduring dental treatment are complicated by their general conditions of PRS patients. We present a case of dental treatment of PRS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A 3-year-old boy with PRS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caries treatment.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revealed multiple carious lesions. Considering the patient’s medical condition and compliance of treatment,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was decided. Despite expected challenges of managing the airway of the patient, intubation was performed successfully.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ulp treatments and restorations using composite resin and stainless steel crowns. No complications were observed during and after the procedure.

      • KCI등재

        Distribution of Pediatric Malocclusion Pati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이소피아,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현홍근,Rhee, Sophia,Song, Ji-Soo,Shin, Teo Jeo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Hyun, Hong-Keun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2

        이번 연구는 2017 - 2019년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5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골격 형태를 측모두부방사선 분석으로 파악하고 골격 형태와 관련된 임상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골격 형태에 따라 행해진 치료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임상의가 교정치료 계획 수립시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령분포는 7세 연령군이 교정진단을 받은 환자 중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골격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4.2%로 가장 많았고 2급은 22.2%, 3급은 23.6%를 차지하였다. 골격성 1급의 경우 상하악 모두 후퇴인 환자가 34.4%, 골격성 2급의 경우 상악은 정상범주이나 하악이 후퇴인 경우가 39.5%, 골격성 3급의 경우 상악 후퇴 및 하악 전돌이 3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수직적 골격형태는 brachyfacial type이 55%으로 가장 많았고 mesofacial type은 31.9%, dolichofacial type은 13.1%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중 43.3%가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다. A total of 580 patients, who visited and received an orthodontic diagnosi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17 to 2019,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keletal patterns of pediatric orthodontic patients determined with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keletal pattern and probable associated clinical features. Also, the moda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for each skeletal classification was investigated to aid in therapeutic decisions. Patients aged 7 year accounted for the largest age group; 54.2% of patients showed a skeletal class I pattern, 22.2% showed a skeletal class II pattern, and 23.6% showed a skeletal class III pattern. Bi-maxillary retrusion for skeletal class I, retruded mandible with normal positioning of the maxilla for skeletal class II, and retrusion of the maxilla with protrusion of the mandible for skeletal class III were the largest subgroups by skeletal pattern. Brachyfacial type accounted for 55.0% of patients, followed by 31.9% of mesofacial type and 13.1% of dolichofacial type. The prevalence of anterior crossbite in the study was 43.3%, higher than that in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