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AVM 카메라를 활용한 원격 자율주차시스템

        이상영(Sangyoung Lee),이진우(Jinwoo Lee),기석철(Seok-Cheol K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31 No.6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solve problems in parking by applying AVM(Around View Monitoring) to the ToD(Teleoperated Driving) system, one of the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application services. The ToD system is being used as a solution for safely transitioning to MRC(Minimal Risk Condition), and the possibility of teleoperated valet parking was confirmed by applying AVM to the ToD system. In this paper, to implement a general ToD system, we explain how to send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vehicle as well as facilitate remote control and video streaming. In addi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n AVM image and a method for a teleoperated valet parking system using the AVM image are presented. A teleoperated valet parking system using AVM video was tested, and performance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latency for remote control and video streaming through the test.

      • 탄소성접촉면의 나노스케일 열접촉저항

        이상영(Sangyoung Lee),조현(Hyun Cho),장용훈(Yong Hoon Jang)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TCR) of nanosized contact spots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a multiscale analysis which considers the resolution of surface topography. A numerical simulation is performed on the finite element model of rough surfaces. Especially, as the contact size decreases below the phonon mean free path, the size 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is considered to calculate the TCR. In our earlier model which follows an elastic material, the TCR increases without limits as the number of nanosized contact spots increases in the process of scale variation. However, the elastoplastic contact induces a finite limit of TCR as the scale varies. The results are explained through the plastic behavior of the two contacting models. Furthermore, the effect of air conduction in nanoscale is also investigated.

      • 신헤이그협정 가입에 따른 반론에 대한 소고

        이상영(Lee, Sang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7 No.-

        WIPO에서 1999년 7월 신헤이그협정 채택 이후 그간 특허청을 중심으로 동 협정의 가입과 관련하여 많은 찬반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고는 신헤이그협정 가입에 대한 반대 시각의 다양한 쟁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연구자가 수집한 WIPO 통계자료 등을 근거로 하여 객관적 입장에서 반증적인 논의와 유추를 통해 재조명하였다. 신헤이그협정 가입에 따른 반론들은, 수집된 각종 자료들을 고찰한 결과 신헤이그협정 ‘가입에 따른 영향’에 대한 반론들이 근년(近年)에 제안되었으며, 최근 신헤이그협정 가입을 앞두고 이를 위해 국내 ‘디자인보호법 개정안이 발표되었는바, 이에 대한 반론들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두 가지의 반론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첫째, 가입에 따른 영향 관련은 국내 산업이 국제경쟁력확보이후 가입 관련, 주요교역 상대국가입 이후 가입 관련, 변리업계의 부정적 시각 예상 관련 등으로, 둘째, 디자인보호법 개정안 관련은 디자인의 대상 영역 확대 관련, 디자인의 보호범위확대 관련, 기타 개정안 관련, 기타문제 등으로 각각의 반론들을 범주화하고 이를 재조명하였다. There has been much heated debate concerning becoming a member country for the act l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since the adoption of the Geneva Act of the Hague Agreement in July 1999 from WIPO. In this study, many different controversial issues raised by opponents are understood, and figured out and the researcher tries to objectively re-highlight the issue by presenting contrary evidence and judging by inference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by the researcher.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objection raised by the opponents through the data collected, it was found that counter arguments had been set forth recent years concerning ‘the impact resulting from becoming a member country’ for the act, and counter arguments were also raised most recently concerning the revision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announced. Accordingly, this study deals with the two different counter arguments mentioned above. Firstly, concerning the counter arguments as to the impact resulting from becoming a member country for the act, the arguments are categorized into ‘becoming a member country only after secur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ecoming a member country only after major trading partner countries become the members’ and ‘expected negative view points from patent attorneys’. Concerning the counter arguments as to the revision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the arguments are categorized into ‘expansion of the design areas subject to the Design Protection Act’ ‘expansion of scope of protection for design’ and ‘other matters involving the revision of the act’. The researcher tries to re-highlight the issue based on the categories mentioned in the foregoing.

      • KCI등재

        유사디자인 제도의 보호범위의 모형화와 디자인 권리 확대 방안

        이상영(Lee Sang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디자인 보호법의 유사디자인제도에 대한 의의와 유사판단의 근거를 밝히고 한계점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사디자인 제도의 불명확한 보호범위를 구체적으로 도식화함으로써 유사디자인권으로 실시할 경우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디자인 보호범위를'개념적','일반적','최상의' 보호범위로 모형화하고 이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사례를 통해 유사판단의 실례를 분석하는 동시에 연구자가 정리한 모형화를 적용하여 일반적 보호범위와 최상의 보호범위 단계를 예시하여 디자인 권리의 확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곧 모든 디자인에 유사디자인을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이 가장 우려되는 디자인에 대하여 유사범위의 설정을 통해 보호망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최상의 디자인 권리를 행사하는 방안으로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도의 운용면에서 현재의 유사디자인제도 보다 관련디자인제도가 제3자의 실시에 대한 확실한 권리 행사를 할 수 있으므로 이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 하겠다. This study is to explore on the significance of the similar design system in Design Protection Law the basis of judgment on similarity and relevant limitations. Further the unclear scope of protection in the similar design system is specifically schematized here so that the rights to similar design can be strategically applied. In addition the scopeof design protection is modeled into the'conceptual','general' and'supreme' scopes of protection for the purpose of discussion. Besides cases are introduced to analyze actual examples of judgment on similarity. At the same time themodeling arranged by the investigator is used to illustrate the steps of general and supreme scopes of protection and to seek for how to extend design rights. To sum up the present study suggests forming a protection net by establishing the scope of similarity for some design that are most susceptible to imitation not by having every design registered with similar designs which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supreme design rights. Lastly in terms of operating the system as the related design system rather than the current similar design system can guarantee firm execution of rights against actions of third parties this system needs adopting immediately.

      • CAE 기법을 활용한 저항점용접 용접성 평가

        이상영(Sangyoung Lee),고태호(Taeho Ko),기왕호(Wangho Kee),장용훈(Yong Hoon J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weldability of resistance spot welding is evaluated by using a numerical simulation code considering a coupled electric-thermal, mechanical, metallurgical procedure. This study is performed to obtain the several variables in resistance spot welding. which are difficult to measure quantitatively in the experi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the numerical results lor nugget sizes are validated to replace the experimental results. Several effects of a coa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of different kind of metal combinations are also investigated. An effective approach is suggested to control the amplification of current to reduce the variation of hardness at the nugget area due to phase transformation.

      • KCI등재

        공리주의자의 헌법전 연구

        이상영(Lee, Sangyo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3

        이 글은 벤담의 헌법전의 전반적인 구조와 특징적 내용을 정리하려고 시도한다. 위험을 무릅쓰고 아주 도식적으로 보면, ‘공리성’에 기초하는 벤담의 사상적 흐름은, Common Law비판 → 법 일반론 → 법학(분석적 법이론 → 법원과 사법 과정 → 법개혁과 입법 → ‘Pannomion’(완전한 법체계) 등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벤담 사상의 정점이자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은 헌법전이다. 이 글에서는 벤담 ‘헌법전’의 전반적인 체계를 살펴볼 것이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초 시기에, 그리고 그 어느 나라에서도 그렇게 정교한(통치기구 부분에 대한 상세한 규정들을 포함하는 정도) 성문헌법전의 전례가 없는 상황에서, 한 국가의 ‘완전한’ 헌법전의 초안을 마련하는 작업 중에서 가장 힘든 것은 하나의 완결된 체계를 세우는 것이었을 것이다. 벤담은 1830년 ‘헌법전I’을 출간하면서 어느 정도 자신의 체계를 완성하였다고는 하나, 여전히 그 체계는 미완성이다. 필자는 미완성의 체계를 갖는 ‘헌법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벤담 헌법전에 포함된 구체적인 내용들, 즉 그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 조문들의 내용을 영역 별로 정리·설명한다. 단순하게 그 장의 숫자를 보자면 벤담 ‘헌법전’은 총 32개의 장(chapter)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별로 절(section)로 구분하고, 각 절에는 조문(article, ART.)들이 규정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벤담 ‘헌법전’의 각 장과 절, 그리고 각 조문들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것이다. 벤담에 대한 다양한 방향의 접근들이 대부분 그렇겠지만, 특히 벤담의 헌법전에 대한 탐구는 특별히 ‘도전적’인 의미를 갖는다. 필자는 이번 글에서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모든 나라에 적용 될 수 있는 완전한 헌법’을 구성하고자 했던 벤담의 헌법전에 대해 도전적인 정리를 시도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rrange and grasp Bentham’s ‘Constitutional Code’, to trace the Bentham’s evaluation of codification of Constitutional Code of Bentham and thereby to perceive some understandabl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Bentham’s ‘Constitutional Code’. To perceive, at least access to the Bentham’s evaluation of Codification of Constitutional Code, it is in its nature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onceptualize the line of Bentham’s theory of utilitarianism and codification. The line of Bentham’s thought, based on ‘utility’, goes in phases further, critique of Common Law - rule (or law) in general - jurisprudence (analytical legal theory) - court and judicial process - legal reform and legislation (legislation and adjudication) - ‘Pannomion’ (‘Complete Code of Laws’). And all these would be ended by codifying of Constitutional Code by Bentham. Bentham’s particular distaste for Common Law system and natural rights was a starting point of Bentham"s theory of legislation which inspired his earliest works. Bentham, in his lifelong academic writings, attacked both the practice and the theory of common law, so much as he tried to constitute a alternative entire system of law and codification. Bentham argued it is impossible to have rights without a government or without law. Ultimately, maybe Bentham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plan of the complete body of laws, ‘Pannomion’ and tried to codify Constitutional Code. And in the formation of such a work the sole proper all-comprehensive end should be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whole community governors and governed together,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should be the fundamental principle.

      • KCI등재

        민법 기초이론으로서 처분수권의 입법필요성

        이상영(Lee, Sangyo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비교사법 Vol.27 No.4

        우리 학계와 실무계에서는 처분수권을 인정하고 있으면서도 민법의 기초이론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무효행위나 무권대리의 한 종류로 이해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처분수권의 불비로 인해 초래된 문제점을 몇 가지 판례의 사례를 예시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대리의 본질은 대리행위이며, 무권리자의 처분행위는 권리자의 동의나 추인이 핵심인데 이를 구분하지 않음으로써 무권대리행위와 처분행위, 처분행위의 대리와 무권리자의 처분행위를 해석하는데 혼선이 있다. 또 무권대리에서 추인이 있으면 처음부터 유권대리가 있었던 것처럼 보충적 치유적 성질이 있는데 반하여 처분행위에서는 추인이 있더라도 무권리자는 완전히 배제되고 권리자가 당사자가 되는 권리창설적 성질이 있는데도 무권리자의 처분행위에 무권대리의 규정을 유추 적용하는 것도 문제이다. 이를 통해 처분수권은 대리보다 넓은 상위개념으로서 사법상 다양한 형태의 법률관계에 탄력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광범한 무권리자의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 명의대여에 의한 법률관계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법 전체를 포괄하는 기초이론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의사표시의 기초적 법률사실이 동의와 추인이라는 점, 동의와 추인이 처분수권의 중심축이라는 점, 그리고 처분수권이야말로 의사표시에 관한 기초이론이라는 점 등을 기본원칙으로 하는 입법안을 제시하였다. 즉 처분수권의 미비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원인도 동의와 추인에 관한 일반규정이 우리 민법에 없기 때문이므로 처분수권 제도를 채택하려면 동의와 추인의 일반규정도 같이 신설해야 하며, 그 위치는 의사표시 절에 두는 것이 적절하다고 제안하였다. Die mit einer Einwilligung und Genehmigung verbundene Rechtsmacht, wirksam im eigenen Namen über fremdes Vermögen zu verfügen, wird als Verfügungsermächtigung bezeichnet. Aus dem ihr zugrunde liegenden Prinzip wurde sich der Anwendungsbereich von Verfügungsermächtigung aus praktischen wirtschaftlichen Bedürfnissen auf mehrern privatrechtlichen Institute erweitert. Jedoch wird es die Verfügungsermächtigung nicht im KBGB ausdrücklich geregelt. In dem Wissenschafsbereich und Praxis wurde allerdings Nützlichkeit dieses Instituts anerkannt. Aber findet analoge Anwendung §133 KBGB über Genehmigung von Vertrtung ohne Vertretungsmacht auf Genehmigung des Berechtigten über Verfügungsgeschäft eines Nichtberechtigten. Andererseits ist die Wirksamkeit der Verfügung durch einen Nichtberechtigten nur von Einwilligung oder Genehmigung des Berechtigten abhängig. Daher ist der wesentliche Bestand von Verfügungsermächtigung Einwilligung und Genehmigung von Berechtigter. Einwilligung und Genehmigung sind also sowohl wichtigen Elementen der Willenserklärung als auch Zentralpunkt von Verfügungsermächtigung. Dennoch fehlt auch dem KBGB anders als dem BGB eine allgemeine Regelung über Einwilligung und Genehmigung. Darum beschäft sich in dieser Schrift neben dieser allgemeine Regelung mit Gesetzgebung von Verfügungsermächtigung als Grundlegende Theorie im bürgerlichen Recht. Die §§ 113a-113c in dem vorgeschlagenden Entwurf für Reform des KBGB enthalten allg, keineswegs abschließende Regeln über die Erteilung und Verweigerung der Zustimmung sowie das Wirksamwerden des zustimmungsbedürftigen Rechtsgeschäfts. § 113d betrifft den Sonderfall einer Zustimmung zu der Verfügung durch einen Nichtberechtigten. Bei der Bedürftigkeit von dem neuen Titel für Einwilligung und Genehmigung wird auch dieser Entwurf auf den deutschen BGB maßgebend berücksichtigt werden.

      • 나이트 비전 시스템 소개 및 차량 적용 검토

        이상영(Sangyoung Lee),장형수(Hyungsu J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An infrared camera detects the pedestrian or another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video system. And the image shows the heat radiated by objects. So the user can drive more safely and comfotablely at the heavy fog, rain and pitch-darkness condition. As a result, Overseas customers prefer the system. But domestic case does not. Any domestic car maker does not accept NVS. And dometic customers don’t know about that. Therefore, the technical level is also very low. I’ll research NVS characteristic and technical demand for thr car environment and make it easy to design Night Vision System next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